$\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발량 관련 기후인자와 팬증발량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Pan Evaporation and Climate Values Related to Actual Evaporat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2, 2009년, pp.117 - 129  

정대일 ,  강재원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해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으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된 팬증발량은 지난 수십 년간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관측된 국내 18개 기상관측소의 팬증발량과, 증발에 관련된 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팬증발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강수량과 온도는 증가추세를,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은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특히, 일조시간과 일조율의 감소추세는 팬증발량과 지역적으로 상당히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점도를 그려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일조시간과 일조율은 팬증발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강수량의 경우는 팬증발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강릉관측소 사례연구에서 Penman공식에 의해 추정된 개방된 수면에서의 증발량은 팬증발량에서 보인 것 같은 뚜렷한 하향추세가 검증되지 않아, 기존에 팬증발량 관측값으로부터 증발량을 추정하는 것은 장기적인 증발량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팬증발량이 실제증발량과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갖기 때문에, 팬증발량이 감소하더라도 실제증발량은 증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aporation over the world is expected to increase owing to increase in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However, pan evaporation around the world has decreased in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in 18 meteorological gauging stations in Korean peninsula, investigates the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과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실제증발량이 팬증발량이나 잠재증발량보다 커지는 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모순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Fig. 6에 도시한 결과를 통해서는 Brutsaert and Parlange(1998)가 지적한 대로 강릉지점에서의 팬증발량이 감소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실제증발량은 증가할 수 있다는 점과, 팬증발량과 실제증발량이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형 팬증발량의 추세분석 결과를 제시한 이길하 등(2007)의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팬증발량 감소에 대한 원인과 인과관계를 유추할 수 있도록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들과 팬증발량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강수량 증가와 일조시간의 감소가 팬증발량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서로 다른 두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산점도(scatter plot)를 그려 두 변수간의 선형 또는 비선형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18개 기후관측소에 대해 팬증발량과 6개의 기후학적 인자들에 대한 산점도를 그려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기후관측소 마다 서로 다른 평균과 분산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통일하기 위해 각 지점의 자료는 각각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해 표준화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형 팬증발량의 추세분석 결과를 제시한 이길하 등(2007)의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팬증발량 감소에 대한 원인과 인과관계를 유추할 수 있도록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들과 팬증발량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강수량 증가와 일조시간의 감소가 팬증발량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잠재증발량을 산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Penman식을 이용하여 잠재증발량을 산정하고 이를 팬증발량과 서로 비교 제시하였다.
  • 증발량의 변화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강릉관측소 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Penman공식에 의한 수표면의 잠재증발량을 구하고 이를 팬증발량과 비교하였는데, 기후학적 인자들을 입력하여 Penman공식에 의해 추정된 증발량에서는 아주 미세한 감소현상을 보일 뿐이었으며, 이는 팬증발량 관측값에서 보여준 뚜렷한 감소추세와는 매우 상반된 결과였다.

가설 설정

  • (8)의 상수값들은 ε = 0.9, η = 1.1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 상수 ε과 η는 선행연구가 없어 팬증발량과 실제증발량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적당한 값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잠재증발량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증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잠재증발량은 수분공급에 제한을 받지 않는 토양 혹은 수표면에서 증발을 위해 주어진 증발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증발량을 의미하는데, 잠재증발량 산정을 위한 가장 간단하고 흔한 방법이 증발접시(pan)를 이용해 팬증발량을 관측하고 여기에 증발접시계수(pan coefficient)를 곱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팬증발량의 감소는 잠재증발량의 감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증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증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는데, 온도를 비롯한 태양복사에너지, 풍속, 기압, 습도와 같은 기상학적 인자들뿐만 아니라, 증발표면의 특성이나 수질까지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증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팬증발량 감소 원인 두 가지는 무엇인가? 팬증발량 감소 원인에 대해서는 두가지 설명이 힘을 얻고 있는데, 하나는 증발접시 주위에서의 습도상황의 변화가 원인이라는 주장이고(Brutsaert and Parlange, 1998), 다른 하나는 구름과 에어로졸(aerosol)의 증가로 인한 일사량의 감소가 원인이라는 주장이다(Roderick and Farquhar, 2002). 먼저 Brutsaert and Parlange(1998)의 주장에 대해 살펴보면, 그들은 강우량과 구름량의 증가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표면에서의 실제증발량이 증가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광섭, 임태경 (2006). "1973년부터 2004년까지의 관측된 대형증발량 자료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583-596 

  2. 김성원, 김형수 (2007). "비선형 증발량 및 증발산량 시계열의 모형화를 위한 신경망-유전 알고리즘 모형: 1. 모형의 이론과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호, pp. 73-88 

  3. 노재경 (2002). "기상자료를 이용한 일 증발량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1167-1172 

  4. 유승환, 최진용, 장민원 (2006). "논벼에 대한 Penman-Monteith와 FAO Modified Penman공식의 작물계수산정."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49권, 제1호, pp. 13-23 

  5. 이길하, 오남선, 정신택 (2007). "우리나라 연안의 팬증발량 변화 양상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9권, 제3호, pp. 244-252 

  6. 임창수 (2008). "증발산 산정방법들의 비교 - 잔디기준 작물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2호, pp. 212-228 

  7. 임혁진, 권형중, 배덕효, 김성준 (2006). "CA-Markov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강댐 유역의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5호, pp. 453-466 

  8. 허승오, 정강호, 하상건, 김정규 (2006). "FAO Penman-Monteith 모형의 증발산량 산정에 이용되는 기상요소의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39권, 제5호, pp. 274-279 

  9.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or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United Nations-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FAO), Rome, Italy 

  10. Brutsaert, W. and Parlange, M.B. (1998). “Hydrologic cycle explains the evaporation paradox.” Nature, Vol. 396, p. 30 

  11. Chattopadhyay, N. and Hulme, M. (1997). “Evapor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India under conditions of recent and future climate chang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87, pp. 55-73 

  12. Golubev, V.S., Lawrimore, J.H., Groisman, P.Y., Speranskaya, N.A., Zhuravin, S.A., Menne, M.J., Peterson, T.C., and Malone, R.W. (2001). “Evaporation changes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and the former USSR: A reassessmen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8, pp. 2665-2668 

  13. Lawrimore, J.H. and Peterson, T.C. (2000). “Pan evaporation trends in dry and humid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 No. 6, pp. 543-546 

  14. Liu, B.H., Xu, M., Henderson, M., and Gong, W.G. (2004). “A spatial analysis of pan evaporation trends in China, 1955-2000.”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09, D15102, DOI:10.1029/2004JD004511 

  15. Liu, C.M. and Zeng, Y. (2004). “Changes of pan evaporation in the recent 40 years in the Yellow River Basin.” Water International, Vol. 29, pp. 510-516 

  16.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and grass.” Proceedings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93A, pp. 120-146 

  17.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2). “The cause of decreased pan evaporation over the past 50 years.” Science, Vol. 298, pp. 1410-1411 

  18.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4). “Changes in Australian pan evaporation from 1970-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4, pp. 1077-1099 

  19.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5). “Changes in New Zealand pan eaporation since the 1970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5, pp. 2031-2039 

  20. Salas, J.D. (1993). Analysis and modeling of hydrologic time series, Chapter 19, Handbook of Hydrology, D. Maidment (ed.), McGraw-Hill, Inc., N.Y., USA 

  21. Shuttleworth, W.J. (1993). “Evaporation.” in Handbook of Hydrology, Maidment D.R. (editor), McGraw-Hill Inc., New York 

  22. Tebakari, T., Yoshtani, J., and Suvanpimol, C. (2005). “Time-space trend analysis in pan evaporation over kingdom of Thailand.”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0, pp. 205-215 

  23. Valiantzas, J.D. (2006). “Simplified versions for the Penman evaporation equation using routine weather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331, pp. 690-702 

  24. Xu, J.Q., Haginoya, S., Saito, K., and Motoya, K. (2005). “Surface heat balance and pan evaporation trends in Eastern Asia in the period 1971-2000.”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pp. 2161-21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