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기상자료를 이용한 설마천의 토양수분 예측
Prediction of Soil Moisture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in Selmacheon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0 no.5B, 2010년, pp.437 - 444  

주제영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정성원 (유량조사사업단)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수분은 물 에너지 순환에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문인자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분은 온도, 바람, 토성에 의한 증발과 식생에 의한 증산에 의하여 결정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각 인자와 토양수분과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Flux tower(설마천 타워)에서 생성되는 측정인자인 대기온도, 비습, 풍속을 고려하여 토양수분 예측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실측치와 비교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수분은 특히 겨울에는 지중온도와 매우 강한 양의 상관계수를 가졌으나 이외의 항인 대기온도, 비습, 풍속과는 상관성이 낮게 산정되었다. 봄부터 가을까지의 자료에서는 지중온도가 토양수분과 매우 강한 음의 상관계수를 가지며 대기온도와 비습의 경우 상당한 음의 상관계수를 가지며 풍속은 식생의 영향으로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계절별 토양수분을 추정하여 이를 측정값과 비교하였으며 결정계수($R^2$)는 봄의 경우 0.82, 여름의 경우 0.81, 가을의 경우 0.82, 겨울의 경우 0.96로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토양수분에 대한 지표상의 수문기상인자들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는 공간해상도가 비교적 큰 원격탐사 토양수분의 downscaling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표상의 물 에너지 순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oisture has been recognized as the essential parameter whe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land surface and atmosphere in water and energy recycling system.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it is related with the temperature, wind, evaporation dependent on soil proper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마천지역에 대하여 이뤄진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지역에 설치된 Flux tower의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의 기후특성을 고려한 측정인자간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각 인자의 토양수분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도출하였으며, 주요 지표항간의 관계를 이해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 강우 후의 토양수분 감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기간 동안 각 계절별 대표성을 띄는 기간을 추출하여 각 인자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각 계절별로 강우 후의 토양수분 감쇄기간을 연구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설마천 유역의 2008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과 지중온도, 대기온도, 비습, 풍속 간의 관계를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분은 지중온도와 반비례 관계임을 기존 연구를 통해 증명이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겨울기간에 지중 온도와 토양수분의 관계가 정비례 관계임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중회귀분석에서 고려하여야 할 점은 세가지로 1)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 즉 다중공선성이다. 2) 어떤 잔차항이 다른 잔차항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오차항의 자기상관 또는 계열 상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ux network은 어떤 데이터를 제공하나요? 지난 몇 해 동안, 400여 곳이 넘는 세계적인 FLUXNET은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이산화탄소, 수증기, 에너지 유동의 교환에 관하여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서 에디 공분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Flux network는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생태계 해석, 물, 에너지유동에 관한 지속적인 측정값을 제공한다(http://daac.ornl.gov/FLUXNET/).
정량적 수문해석을 위해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요? 예를 들면, 유출 특성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순환과 물 순환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즉, 정량적 수문해석을 위해서는 토양수분의 정량적 해석과 동시에 대기 인자와의 연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이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대기-지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Bosch 등, 2006; Choi 등, 2008).
토양수분이 수문 현상을 이해할 때 주요변수인 이유는? 토양수분은 수문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주요변수이다. 예를 들면, 유출 특성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순환과 물 순환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즉, 정량적 수문해석을 위해서는 토양수분의 정량적 해석과 동시에 대기 인자와의 연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병수, 김계수(2009) SPSS 17.0 사회과학 통계분석, 남양프로세스. 

  2. 권효정, 이정훈, 이연길, 이진원, 정성원, 김 준(2009) 설마천 유역의 혼효림에서 관측된 증발산의 계절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한국농림기상학회, Vol. 11, pp. 39-47. 

  3. 임경택, 이영형, 성낙창(2002) 수문기상학, 지구문화사. 

  4. 진지웅, 황교택, 최민하, 이승오, 정성원(2009) CLM을 이용한 설마천의 토양수분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Vol. B, P1-91.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 특성 조사. 연구, 건기연 98-077. 

  6. Barling, R., Moore, I., and Grayson, R. (1994) A quasi-dynamic wetness index for characteri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zone of surface saturation and soil water content, Water Resources, Vol. 30, No. 4, pp. 1029-1044. 

  7. Bosch, D.D., Lakshmi, V., Jackson, T.J., Choi, M., and Jacobs, J.M. (2006) Large scale measurements of soil moisture for valid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Georgia soil moisture experiment of 2003, Journal of Hydrology, Vol. 323, pp. 120-137. 

  8. Choi, M., Jennifer, M., and Bosch, D.D. (2008) Remote sensing observatory validation of surface soil moisture using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E, Common Land Model, and ground based data: Case study in SMEX03 Little River Region, Georgia, U.S., Water Resources. Vol. 44, W08421. 

  9. Dingman, S.L. (1994) Physical Hydrology, ISBN : 0-02-329745-X,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America. 

  10. FLUXNET (2009) http://daac.ornl.gov/FLUXNET/. 

  11. Idso, S., Schmugge, T., Jackson, R., and Reginato R. (1975) The utility of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for remote sensing of soil water statu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80, pp. 3044-3049. 

  12. Lakshmi, V., Jackson, T., and Zehrfuhs, D. (2003) Soil moisturetemperature relationships: results from two field experiments, Hydrol. Process, Vol. 17, pp. 3041-3057. 

  13. Lee, T.J. and Pielke, R.A. (1991) Estimation the soil surface specific humidit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1, pp. 480-484. 

  14. Myers, W., Linden, S., and Wiener, G. (2009) A Data Mining Approach to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Prediction, Seventh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Applications to the Environmental Sciences, Phoenix, Az. 2-1. 

  15. Sutinen M.L., Holappa T., Ritari A., and Kujala K. (1999) Seasonal changes in soil temperature and snow-cover under different simulated winter conditions: Comparison with frost hardiness of Scots pine(Pinus sylvestris) roots, Chemosphere: Global Change Science 1, pp. 482-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