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에서 말기암환자에게 나쁜 소식 전하기
Breaking Bad News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3 no.4, 2010년, pp.209 - 215  

김창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암환자에 대한 진실통고와 관련하여, 나쁜 소식과 의사소통, 말기암환자에 대한 진실 통고, 나쁜 소식 전하는 방법, 문화적 차이, 말기암환자의 여명예측 등을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우리문화와 현실에 적합한 말기암환자들을 위한 진실통고의 지침과 호스피스완화의료교육 및 수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4) 이상적인 진실 통고방법; 진실(불치병)을 알려주는 것은 환자가 문제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점진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환자가 그 문제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을 때 문제를 요약하고 예후에 대해 이야기한다. 면담 도중에 설명을 멈추고 환자의 생각과 걱정을 물어보고,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쁜 소식 전달의 초기 목적은? 나쁜 소식 전달의 초기 목적은 ① 정서적 환기의 허용, ② 문제에 대한 공동인식 수립, ③ 기본적 정보욕구에 대한 대처, ④ 자살을 포함한 즉각적인 의료적 위험에 대처, ⑤ 고통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⑥ 추적을 위한 기본계획의 확보, ⑦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예측, ⑧ 고독과 고립을 최소화(포기하지 않도록 안심시킴)시키는 데 있다(10).
암 통고를 받는 환자는 어떤 심리변화 단계를 겪는가? 또한 암 통고를 받는 환자는 충격ㆍ불안ㆍ부정기를 거쳐, 반응성 우울기, 낙관기, 종교철학에의 귀의기의 심리변화단계를 겪는다. 반응성 우울기에는 불면증, 식용상실, 울음과 동시에 일상생활양식의 붕괴 및 분노를 보이다가, 낙관기는 의사와 치료를 위한 동맹을 맺었다는 느낌이 들면서 시작되며, 귀의기는 마음자세가 종교적 철학적으로 되는 시기이다(7).
암의 치료에 환자 스스로 적극적으로 협조하도록 가족의 도움을 구하여 따뜻한 배려와 함께 희망적으로 진실을 알려야 하는 이유는? 암환자에게 진단을 통보해야 하고 통보자로는 의사가 가장 적합하며 진단의 통보과정에서 서양과는 달리 가족이라는 요소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암의 치료에 환자 스스로 적극적으로 협조하도록 가족의 도움을 구하여 따뜻한 배려와 함께 희망적으로 진실을 알려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oyle D, O'Connell S. Breaking bad news: starting palliative care. J R Soc Med 1996;89:590-1. 

  2. Kumar M, Goyal S, Singh K, Pandit S, Sharma D, Verma AK, et al. Breaking bad news issues: a survey among radiation oncologists. Indian J Palliat Care 2009;15:61-6. 

  3. 2009 statistical result of death and cause of death [internet]. Daejeon:Statistics Korea;c2010. [cited 2010 Sep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4. Yun YH, Rhee YS, Nam SY, Chae YM, Heo DS, Lee SW, et al.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1):17-28. 

  5. Whang KS. Chosunilbousa. 1979 Aug 28. 

  6. Cho DY. Behavioral science. 1st ed. Seoul:IL CHO KAK;2001. p. 419-24. 

  7. Cho DY. Behavioral science and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st ed. Seoul:IL CHO KAK;1985. p. 271-8. 

  8. Back AL, Arnold RM, Baile WF, Tulsky JA, Fryer-Edwards K. Approaching difficult communication tasks in oncology. CA Cancer J Clin 2005;55:164-77. 

  9. Buckman R. How to break bad news: a guide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1st ed. Baltimore: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10. Rabow MW, McPhee SJ. Beyond breaking bad news: how to help patients who suffer. West J Med 1999;171:260-3. 

  11. Tanaka H, Tsukuma H, Masaoka T, Ajiki W, Koyama Y, Kinoshita N, et al. Suicide risk among cancer patients: experience at one medical center in Japan, 1978-1994. Jpn J Cancer Res 1999; 90:812-7. 

  12. Kim CG. Bereavement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3):120-7. 

  13. Dias L, Chabner BA, Lynch TJ Jr, Penson RT. Breaking bad news: patient's perspective. The Onchologist 2003;8:587-96. 

  14. Ferris FD, Canadian Hospice Palliative Care Association. A model to guide hospice palliative care: based on national priciples and norms of practice. Ottawa: Canadian Hospice Palliative Care Association; 2002. 

  15. Back AL, Anderson WG, Bunch L, Marr LA, Wallace JA, Yang HB, et al. Communication about cancer near the end of life. Cancer 2008;113(7):1897-910. 

  16. Mehta PN. Communication skills - breaking bad news. Indian Pediatrics 2008;45:839-41. 

  17. Hwang AR. Communication to hospice cl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1):1-11. 

  18. Wahl CW. Games people play when they are dying. Medical Economics 1969;20:106-20. 

  19. Lasagna L. The prognosis of death. In: Brim OG, ed. The dying patients. New York:Russel Sage Foundation;1970. p. 67-82. 

  20. Park J, Yang S, Choi SE, Choi KM, Hong YS, Lee KS. The disclosure of cancer diagnosis and its prognosi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2):169-78. 

  21. Yun YH, Lee CG, Kim SY, Lee SW, Heo DS, Kim JS, et al. The attitude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ward the disclosure of terminal illness. J Clin Oncol 2004;22:307-14. 

  22. Rajesh G, Pradeep V, Rajshree J, Om R, Max W. Informing patients about cancer in Nepal: what do people prefer? Palliative Medicine 2006;20:471-6. 

  23. Tse CY, Chong A, Fok SY. Breaking bad news: a Chinese perspective. Palliative Medicine 2003;17:339-43. 

  24. Goncalves F, Marques A, Rocha S, Leitao P, Mesquita T, Moutinho S. Breaking bad news: experiences and preferences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t a Portuguese oncology centre. Palliat Med 2005;19:526-31. 

  25. Fujimori M, Parker PA, Akeichi T, Sakano Y, Baile WF, Uchitomi Y. Japanese cancer patient's communication style Preferences when receiving bad news. Psychooncology 2007;16:617-25. 

  26. Hong YS, Yeom CH, Lee KS. Loss and grief in Asian cultu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8;1(1):1-5. 

  27. Baile WF, Buckman R, Lenzi R, Glober G, Beale EA, Kudelka AP. SPIKES-A six-step protocol for delivering bad news: application to the patient with cancer. Oncologists 2000;5:302-11. 

  28. Choi YS. Breaking bad news. J Korean Acad Fam Med 2005; 26(4):376-7. 

  29. Maiko Fujimori, Yosuke Uchitomi. Communication with cancer patients. Cancer therapy.jp [Internet]. 2008;7(1):44-7 [cited 2008 Feb 29]. Available from: http://www.cancertherapy.jp/psycho/2008_winter/pdf/2008winter_06.pdf. 

  30. Suh SY. Survival prediction of terminal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4):171-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