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호스피스센터-보건소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재가암환자 관리 프로그램 평가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Collaboration between a Hospice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3 no.4, 2010년, pp.216 - 224  

이해숙 (대구파티마병원 호스피스센터) ,  박선희 (대구파티마병원 호스피스센터) ,  정영순 (대구경북지역암센터) ,  이부경 (대구경북지역암센터) ,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말기 재가암환자 관리를 위한 병원호스피스센터와 보건소 간의 연계 프로그램을 평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재가암환자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호스피스센터-보건소 재가암관리 연계 사업은 1) 협약체결, 2) 재가 말기암환자 발굴 및 등록, 3) 가정호스피스 방문 서비스 제공, 4) 만족도 조사의 단계로 전개되었다. 일 호스피스센터와 지역의 3개 보건소가 협약을 체결하였고, 2009년 2월 1일에서 12월 31일까지 11개월 동안 43명의 환자에게 605건의 가정호스피스 방문을 실시하였다. 방문기록지 분석을 통해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과 제공된 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 중 20명에게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76.7%가 60세 이상이었고, ECOG 전신 수행상태 점수는 0점과 1점이 각각 37.2%, 39.5%이었다. 환자가 병식이 있는 경우는 90.7%, 호스피스 동의서에 서명한 경우는 62.8%였다. 초기방문 시 환자의 주 호소는 전신쇠약감(86.0%)과 식욕부진(72.1%)이 가장 많았다. 평균 총 서비스 기간은 144.42일이었고, 총 605건의 방문 중 간호사 방문이 371회로 가장 많았다. 각 방문중 정서적 지지와 건강상담이 가장 빈번하게 제공되었고, 서비스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 4.45점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재가 말기암환자 관리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중간평가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의뢰된 대상자는 입원형 호스피스보다 기능 상태가 양호하고 서비스 제공기간이 길었으며,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특히 정서적지지와 환자상태 설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방문횟수와 빈도, 임종기 관리, 병원입원 재입원하는 환자관리에 대한 기준과 서비스 표준마련은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community-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CBPCMP) which was collaborated between a hospice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The CBPCMP proceeded on four steps; 1) Signing agreements with three public health centers, 2) Enroll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시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한 호스피스 센터와 보건소연계 재가암환자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중심 호스피스 서비스 모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 전국적인 조직망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보건소 재가암환자 관리 사업과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과의 연계는 현재의 3차 의료기관 중심 말기암환자 관리 행태와 저소득층의 의료 소외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민간과 공공의 협력모델로 제안되어 왔다(5,6).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내 호스피스센터와 지역의 보건소가 협력하여 재가 말기암환자를 발굴하고 가정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한 연계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모델구축에 있어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 호스피스팀 중 간호사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가? 방문 후 의사는 초기평가기록지와 경과기록지,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돌봄 면담지, 사목자는 영적돌봄 초기면담지와 방문기록지, 그리고 자원봉사자는 방문기록지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가정호스피스 간호사는 대상자의 등록에서 종결까지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등록기록지, 방문기록지(증상기록, 방문서비스 내용기록), 통증평가기록지, 사별가족 초기 면담지, 사별가족 돌봄기록지, 그리고 종결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가정호스피스 서비스란 무엇인가? 가정호스피스 서비스는 호스피스팀이 가정에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총체적 돌봄을 의미한다. 가정 호스피스팀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고 각 팀원이 필요에 따라 방문하였다.
가정 호스피스팀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가정호스피스 서비스는 호스피스팀이 가정에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총체적 돌봄을 의미한다. 가정 호스피스팀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고 각 팀원이 필요에 따라 방문하였다. 방문 후 의사는 초기평가기록지와 경과기록지,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돌봄 면담지, 사목자는 영적돌봄 초기면담지와 방문기록지, 그리고 자원봉사자는 방문기록지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8. 

  2. Cho H, Son JY, Heo JD, Jin EH.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28-36. 

  3. Cho H, Son JY, Heo JD, Jin EH. A study on demand and the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95-201. 

  4.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Internet]. Seoul: The Korean Doctors' Weekly; c2005. [cited 2010 Feb 20]. Available from: http://doc3.koreahealthlog.com/3203. 

  5. Park SM, editor. Practice and improvement scheme of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Th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6 Jul 1; Daegu, Korea. Seoul: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6;S14-6. 

  6. Kim BH, Jung Y.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management system of home-stay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1;4(2):154-60. 

  7. Frank DF, Canadian Hospice Palliative Care Association. A model to guide hospice palliative care: based on national principles and norms of practice. Ottawa:Canadian Hospice Palliative Care Association; 2002. 

  8. Kim SY. Development of the service model for hospice palliative care in terminal cancer care. Gwacheon: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5. 

  9. Miyashita M, Misawa T, Abe M, Nakayama Y, Abe K, Kawa M. Quality of life, day hospic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d their caregivers in Japan. J Palliat Med 2008;11(9):1203-7. 

  10. Kim JH, Choi YS. Activities of a home hospice organization.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0;3(1):28-38. 

  11. Yun YH, Heo DS, Bae JM, Im SA, Yoo TW, Huh BY, et al.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Cancer Assoc 1998; 30(1):188-97. 

  12. Moon DH, Choe WS, Lee MA, Woo IS, Kang JH, Hong YS, et al. Clinical considerations about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died in hospice unit. Korean J Med 2004;67(4):341-8. 

  13. Yun CH, Lee JY, Kim MR, Heo DS. Problems of the current referral system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2;5(2):94-100. 

  14. Kim JS. Present status and future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Korean J Med 2004;67(4):327-9. 

  15. Lee SW, Lee EO, Huh DS, Noh KH, Kim HS, Kim SR, et al. The study on the medical and nursing service needs of the termin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J Korean Acad Nurs 1998;28:958-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