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 개발 - 부산지역 일개 보건소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Center-Based Hospice Management Model: Pilot Project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Busan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3 no.2, 2010년, pp.109 - 119  

김숙남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최순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영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  이소라 (부산광역시 금정구보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호스피스 서비스의 원칙, 일선 보건소의 특수성과 지역사회 가용자원을 고려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방법: 호스피스 관련 선행연구, 문헌고찰, 관할지역 내 호스피스 실태조사 및 시범운영 평가를 통해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1개 보건소와 부산지역 말기암환자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이 연구팀을 구성하여 호스피스 시범사업 운영체계 확립, 호스피스 서비스 전달체계 구성 및 제공 그리고 시범운영 평가를 통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 개발의 3단계 추진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결과: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은 보건소의 특수성과 해당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간의 연계를 통한 총체적 서비스 제공이다. 지역암센터는 관할지역 보건소에 재정적, 행정적인 부분을 지원해 주고, 보건소는 호스피스사업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협력대학에 사업을 위탁하여 전체 사업운영에 대한 기획을 위임하였다. 또한 사업지원단과 사업자문단을 통하여 호스피스 운영과 관련된 제반문제를 지원받는 체계를 구성하였다. 방문간호 팀으로부터 재가 말기암환자를 의뢰받은 호스피스 담당간호사는 환자를 등록시키고 초기사정을 거친 후 호스피스 팀 회의를 거쳐 서비스 우선순위를 정한 다음, 필요한 서비스와 함께 자원봉사 파견을 통한 총체적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운영모델은 재가 암환자를 중심으로 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론: 보건소가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은 의료시각지대에 있는 재가 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통해 지역 보건복지 정책의 질적 향상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part of a drive to develop a community health center-based hospice management model which is concerned with hospice care at a community health care setting and available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y. Methods: Development of a community health center-based hospice man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개월간 이루어진 본 시범사업의 목표는 보건소 호스피스 사업을 위한 팀 구성, 자원봉사자 발굴 및 교육, 보건소 직원 및 팀원의 호스피스에 대한 교육, 지역주민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확산 그리고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사례관리의 경로를 확인하여 운영모델의 기본 틀을 구성하는 것이다. 연구기간 종료 후 사업보건소는 본 연구를 토대로 운영모델 발전을 위한 2차년도 시범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개발된 운영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좀 더 발전적인 운영모델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K구 보건소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관련 선행연구, 문헌고찰, 관할지역 내 호스피스 실태조사 및 시범운영 평가를 통하여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1개 보건소와 부산지역 말기 암환자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이 연구팀을 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 추진과정을 거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팀은 시범사업 보건소장 1인, 의료기관 마취통증의학 전문의 1인 그리고 간호학 교수 2인으로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문헌과 보고서 및 보건소 현상황을 검토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보건소 중심의 호스피스 운영 전달체계를 마련하여 일개 보건소 현장에 시범사업 형태로 적용해 봄으로써 공공의료기관 중심의 재가 말기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가 암환자 관리 서비스 수준은 이러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의 다양한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
  • 목적: 호스피스 서비스의 원칙, 일선 보건소의 특수성과 지역사회 가용자원을 고려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방법: 호스피스 관련 선행연구, 문헌고찰, 관할지역 내 호스피스 실태조사 및 시범운영 평가를 통해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1개 보건소와 부산지역 말기암환자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이 연구팀을 구성하여 호스피스 시범사업 운영체계 확립, 호스피스 서비스 전달체계 구성 및 제공 그리고 시범운영 평가를 통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 개발의 3단계 추진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보건소와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운영모델’을 개발하여 민간의료기관 차원의 호스피스 서비스가 다소 부족한 부산광역시에 공공의료기관 차원에서 호스피스 서비스 운영모델을 개발하여 본 운영모델을 타 보건소로 확대ㆍ적용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K구 보건소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관련 선행연구, 문헌고찰, 관할지역 내 호스피스 실태조사 및 시범운영 평가를 통하여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1개 보건소와 부산지역 말기 암환자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이 연구팀을 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 추진과정을 거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서비스의 원칙과 일선 보건소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운영모델을 개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타 ‘보건소 호스피스사업에 바라는 내용’에 대한 개방식 질문에 대해서 응답자 대부분이 무응답이었으며, 소수 응답자들의 주 내용은 ‘호스피스’와 ‘암에 대한 이해’와 같은 내용을 보건소에서 자주 교육 해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와 암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 재가 암환자 관리 사업은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제공 가능한 보건의료서비스를 통합적,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지역사회 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대시키고, 가족 구성원의 환자 보호 및 간호 등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 따라서 국가에서는 보건소가 중심이 되어 방문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재가 암환자 관리를 추진하게 되었다.
  • 부산광역시 일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시범사업 실시 후, ‘호스피스사업지원단’ 회의와 ‘보건소 호스피스 팀’ 및 ‘연구 팀’ 간의 회의를 통하여 사업평가 과정을 거쳤다. 지역사회가 가진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호스피스 사업의 확대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운영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운영모델에 의하면 지역암센터는 관할지역 보건소에 재정적, 행정적인 부분을 지원해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암으로 사망하고 있는 암 환자는 연간 몇 명인가? 전 세계적인 건강 문제인 암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암환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연간 6만 5천여 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36만여 명의 환자와 가족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기관이 부족할 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말기환자의 절반 이상이 적절한 서비스를 못 받고 있는 실정이다(1).
말기환자의 절반 이상이 적절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서비스를 못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인 건강 문제인 암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암환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연간 6만 5천여 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36만여 명의 환자와 가족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기관이 부족할 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말기환자의 절반 이상이 적절한 서비스를 못 받고 있는 실정이다(1).
재가 암환자 관리 사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국가에서는 보건소가 중심이 되어 방문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재가 암환자 관리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사회 주민의 보건소 암환자 관리에 대한 신뢰도 부족과 재가 암환자들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부재, 재가암 전담인력의 수적 부족 및 재가 암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과 인식 부족 등의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재가 암환자 사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5,6). 특히 보건소 중심의 재가 암환자 관리 사업에서 말기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서비스는 거의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Sohn MS.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National Cancer Center Symposium; 2005 Jan 18; Seoul, Korea.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05.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ome care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Gwache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3. Park YH.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Cheonan: Soon Chun 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2005.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 guide for national cancer control project. Gwache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5. Cho H, Son JY, Heo JD, Jin EH.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3):128-36. 

  6. Cho H, Son JY, Heo JD, Jin EH. A study on demand and the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4): 195-201. 

  7. Kim SN. Hospice.palliative care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2007 Korean society for hospice.palliative care conference; 2007 Jul 7; Busan,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7.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control 2015: second term 10 year action plan for cancer control. Gwache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9. Ko IS, Kim CJ, Lee TW, Lee KJ, Kim ES, Ma HY, et al. Evaluation of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 Korean Acad Nurs 2002;32(3):344-54. 

  10.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Research, Inje University.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in community health center & hospice connection. Academy forum in autumn; 2006 Nov 16; Busan, Korea. Busan: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Research, Inje University; 2006. 

  11. Statistics Korea. 200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Statistics Korea;2004. 

  12. Moon YM, Ham OK, Kim JH, Lim JY. Degree of pain, and barriers and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among home care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08;22(2):1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