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RCA 돌연변이 가계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 평가
Evaluation of Psychosocial Impact and Quality of Life in BRCA Mutation Family 원문보기

Journal of genetic medicine, v.7 no.1, 2010년, pp.67 - 77  

한상아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김새리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강은영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김정현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하태현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양은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  임재영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  한원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노동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연구소) ,  김성원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인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계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암진단 및 돌연변이 보유 여부가 심리 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BRCA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13가계에서 암에 이환된 보인자 17명, 이환되지 않은 보인자 16명, 건강한 비보인자 13명이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낙관, 유전성 유방암관련 지식수준과 삶의 질을 설문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설문시기는 유전자 검사 후 평균 21개월(6-35)로 세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254). 세 군 간의 우울, 낙관, 육체적 삶의 질은 유사했다. 불안은 세 군 모두에서 일반인 보다 상승되어 있었다. 이환된 보인자의 정신적 삶의 질은 암에 이환된 보인자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9, P=0.017). 다변량 분석 결과 정신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인자는 암이환여부(P=0.043)와 직업유무(P=0.008) 였다. 결 론: 같은 돌연변이 가계 내에서 돌연변이 유무는 우울, 불안, 낙관에서 심리적반작용을 일으키지 않았으나, 돌연변이 가계 구성원의 불안 수준은 돌연변이 유무에 관계 없이 높았다. 본 연구는 소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한 단면적 연구이나, BRCA 유전자 검사에 수반될 수 있는 심리적 스트레스 및 그에 대한 대처법을 수립하는 데 기초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psychological impact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ancer diagnosis and mutation status in Korean families with BRCA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affected carriers (AC), 16 unaffected carriers (UC) and 13 healthy non carriers (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들이 느끼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유전자 검사와 더불어 통합적인 유전자 상담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특히, 일차적인 카운슬링의 대상자가 되는 돌연변이가 발견된 유방암환자와 그 가족구성원의 심리 상태와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이 연구는 BRCA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유한 13 가계를 대상으로 이환된 보인자군, 건강한 보인자군, 건강한 비보인자군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 유전성 유방암 관련 지식을 비교 분석한 국내 최초의 보고이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된 가계 구성원 중 이환된 보인자가 모두 여성이고 결혼력이 유의하게 많았던 것은, 이것은 BRCA 유전자가 연령대가 높은 여성에서 잘 발생하는 유방암 및 난소암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기 때 문이라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단위의 심리적 반응 및 상호작용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게 하는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흥미롭게도 돌연변이 보인자의 가족은 암 이환 여부나, 돌연변이 보유 여부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보였다. 이는, 유방암 환자의 가족 또한 본인이 유방암에 걸릴지도 모른다는 인식 때문에 정신적 압박감(distress)이 상당하다는 연구 결과25) 및 심지어 유전적인 문제가 없는 사람 또한 정신적 압박감(distress)를 받고 있다는 보고26)와 유사한 소견이며, 가족 단위의 심리적 반응 및 상호작용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BRCA 돌연변이 시 70세까지 유방암에 걸릴 위험성은 평균 몇 퍼센트인가? 개인의 암 위험도는 유전자 검사 결과를 통해 추정할 수 있으며, BRCA 돌연변이 시 70세까지 유방암에 걸릴 위험성은 평균 60-80%, 난소암의 위험성은 10-20%로 알려져 있다1). 유전자 검사 결과는 환자에게 알려지는 암 위험도를 기초로 암 검진과 예방법에 있어 집중검사,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화학적 예방법, 유방 또는 난소에 대한 예방적 절제술에 이르는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2).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는가? 서구에서는 BRCA 관련 유방암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심리적, 교육적 상담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해 유전자 검사를 받는 대상자들의 정신적 부담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해 왔다.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심리사회적 결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암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유방암 환자의 직계 존비속들은 암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전반적인 정신적 부담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toniou A, Pharoah PD, Narod S, Risch HA, Eyfjord JE, Hopper JL, et al. Averag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associated with BRCA1 or BRCA2 mutations detected in case Series unselected for family history: a combined analysis of 22 studies. Am J Hum Genet 2003;72:1117-30. 

  2. Robson M, Offit K. Clinical practice. Management of an inherited predisposition to breast cancer. N Engl J Med 2007;357:154-62. 

  3. Bonadona V, Saltel P, Desseigne F, Mignotte H, Saurin JC, Wang Q, et al.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diagnostic genetic testing for cancer susceptibility: Reactions and behavior after the disclosure of a positive test result.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2002;11:97-104. 

  4. Guttmacher AE, Collins FS, Carmona RH. The family history-More important than ev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4;351:2333-6. 

  5. Lerman C, Schwartz M. Adhere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women at high risk for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993;28:145-55. 

  6. Lindberg NM, Wellisch D. Anxiety and compliance among women at high risk for breast cancer. Ann Behav Med 2001;23:298-303. 

  7. Butow P, Meiser B, Price M, Bennett B, Tucker K, Davenport T, et al. Psychological morbidity in women at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study. Psychooncology 2005;14:196-203. 

  8. Coyne JC, Benazon NR, Gaba CG, Calzone K, Weber BL. Distress and psychiatric morbidity among women from high-risk breast and ovarian cancer families. J Consult Clin Psychol 2000;68:864-74. 

  9. Lerman C, Kash K, Stefanek M. Younger women at increased risk for breast cancer: perceived risk,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rveillance behavior. J Natl Cancer Inst Monogr 1994:171-6. 

  10. Wellisch DK, Gritz ER, Schain W, Wang HJ, Siau J.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daught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Part I: Daughters and comparison subjects. Psychosomatics 1991;32:324-36. 

  11. Croyle RT, Smith KR, Botkin JR, Baty B, Nash J. Psychological responses to BRCA1 mutation testing: preliminary findings. Health Psychol 1997;16:63-72. 

  12. Smith KR, West JA, Croyle RT, Botkin JR. Familial context of genetic testing for cancer susceptibility: moderating effect of siblings' test results on psychological distress one to two weeks after BRCA1 mutation testing.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9; 8:385-92. 

  13. Lodder L, Frets PG, Trijsburg RW, Meijers-Heijboer EJ, Klijn JG, Duivenvoorden HJ, et al. Psychological impact of receiving a BRCA1/BRCA2 test result. Am J Med Genet 2001;98:15-24. 

  14. Tercyak KP, Lerman C, Peshkin BN, Hughes C, Main D, Isaacs C, et al. Effects of coping style and BRCA1 and BRCA2 test results on anxiety among women participating in genetic counseling and testing for breast and ovarian cancer risk. Health Psychol 2001; 20:217-22. 

  15. Meiser B. Psychological impact of genetic testing for cancer susceptibility: an update of the literature. Psychooncology 2005;14:1060-74. 

  16. Lerman C, Hughes C, Benkendorf JL, Biesecker B, Kerner J, Willison J, et al. Racial differences in test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llowing pretest education for BRCA1 gene testing.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9;8:361-7. 

  17. Son B, Ahn S, Lee M, Park S, Kim S, Society KBC. Hereditary Breast Cancer in Korea: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Breast Cancer 2008;11:1-9. 

  18.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2 

  19. Scheier MF, Carver CS, Bridges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 Pers Soc Psychol 1994:67:1063-78. 

  20. Han DW, Lee CH, Tark JK. Standardization of Spielberger's anxiety test. http://www.koreanpsychology. or.kr. accessed April 16, 2009 

  21. Ware JE. SF-36 health survey update. Spine 2000; 25:3130-9. 

  22. Green MJ, Biesecker BB, McInerney AM, Mauger D, Fost N. An interactive computer program can effectively educate patients about genetic testing for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Am J Med Genet 2001;103:16-23. 

  23. Partridge A, Adloff K, Blood E, Dees EC, Kaelin C, Golshan M, et al. Risk perceptions and psychosocial outcomes of women with ductal carcinoma in situ: longitudinal results from a cohort study. J Natl Cancer Inst 2008;100:243-51. 

  24. Reich M, Lesur A, Perdrizet-Chevallier C.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breast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Breast Cancer Res Treat 2008;110:9-17. 

  25. Condello C, Gesuita R, Pensabene M, Spagnoletti I, Capuano I, Baldi C, et al. Di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in oncogenetic counselling for hereditary and familial breast and/or ovarian cancers. J Genet Couns 2007; 16:625-34. 

  26. Geirdal AO, Reichelt JG, Dahl AA, Heimdal K, Maehle L, Stormorken A,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in women at risk of hereditary breast/ovarian or HNPCC cancers in the absence of demonstrated mutations. Fam Cancer 2005;4:121-6. 

  27. Koehly LM, Peters JA, Kenen R, Hoskins LM, Letocha Ersig AL, Kuhn NR, et al. Characteristics of Health Information Gatherers, Disseminators, and Blockers Within Families at Risk of Hereditary Cancer: Implications for Family Health Communication Interventions. Am J Public Health 2009;99:2203-9. 

  28. Caruso A, Vigna C, Maggi G, Sega FM, Cognetti F, Savarese A. The withdrawal from oncogenetic counselling and testing for hereditary and familial breast and ovarian cancer. A descriptive study of an Italian sample. J Exp Clin Cancer Res 2008;27:75. 

  29. Meiser B, Butow P, Friedlander M, Barratt A, Schnieden V, Watson M, et al. Psychological impact of genetic testing in women from high-risk breast cancer families.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02;38:2025-31. 

  30. Foster C, Evans DG, Eeles R, Eccles D, Ashley S, Brooks L, et al. Non-uptake of predictive genetic testing for BRCA1/2 among relatives of known carriers: attributes, cancer worry, and barriers to testing in a multicenter clinical cohort. Genet Test 2004;8: 23-9. 

  31. Van Roosmalen MS, Stalmeier PFM, Verhoef LCG, Hoekstra-Weebers JEHM, Oosterwijk JC, Hoogerbrugge N, et al. Impact of BRCA1/2 Testing and Disclosure of a Positive Test Result on Women Affected and Unaffected with Breast or Ovarian Cancer.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2004;124 A:346-55. 

  32. Schwartz MD, Peshkin BN, Hughes C, Main D, Isaacs C, Lerman C. Impact of BRCA1/BRCA2 mutation testing on psychologic distress in a clinic-based sampl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2;20:514-20. 

  33. Watson M, Foster C, Eeles R, Eccles D, Ashley S, Davidson R, et al. Psychosocial impact of breast/ovarian (BRCA 1/2) cancer-predictive genetic testing in a UK multi-centre clinical cohort.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4;91:1787-94. 

  34. Schlich-Bakker KJ, ten Kroode HF, Ausems MG. A literature review of the psychological impact of genetic testing on breast cancer patients. Patient Educ Couns 2006;62:13-20. 

  35. Burke W, Daly M, Garber J, Botkin J, Kahn MJ, Lynch P, et al.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care of individuals with an inherited predisposition to cancer. II. BRCA1 and BRCA2. Cancer Genetics Studies Consortium. JAMA 1997;277:997-1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