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가뭄특성의 공간적 분석
Spatial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1, 2010년, pp.15 - 24  

유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경우 지점빈도해석의 단점을 보완한 지역빈도해석법이 자주 실무에 적용되고 있으나, 가뭄에 관련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아직까지 지점자료를 이용한 가뭄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지역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질한 가뭄특성을 지닌 지역을 구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강우관측 지점자료 중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보유한 58개의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가뭄의 심도, 지속기간, 강도, 발생빈도 등과 같은 가뭄특성인자를 생성하였다. 가뭄특성인자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특성을 지닌 지역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뭄특성인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K-means 기법을 적용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동질한 가뭄특성을 지닌 지역을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가뭄 특성의 공간적 해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지점빈도 해석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역빈도 해석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s often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oint frequency analysis to estimate probability rainfall depths. However, point frequency analysis is still used in drought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a practical method to categorize the homogeneous regions of drought ch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동질한 가뭄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의 구분을 바탕으로 군집별 표준강수지수(SPI)의 특성과 공간적으로 가뭄의 지속기간에 따라 가뭄과 습윤상태가 어떠한 확률적 거동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는 지점분석을 실시하였을 경우의 가뭄사상의 자료수 보다 가뭄특성이 동질한 다지점의 가뭄사상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통계적 특성임으로, 표본 자료의 수가 부족할 수 있는 지점분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지점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을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질한 가뭄의 특성을 지닌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국 58개 강우 관측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강수지수 (SPI)를 산정하여 60개의 가뭄속성인자 생성하였다.
  • (1992)는 일반적으로 관측된 가뭄 지속기간과 심도를 각각 분리하여 분포시켜 가뭄의 특성을 얻어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뭄의 특성치(지속기간, 심도)가 가뭄의 특성을 정량화 하는데 있어서, 상호간에 어느 정도의 상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Eq. (2)를 이용하여 가뭄 지속기간과 심도의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 분석 시, 유의할 점은? 즉 평균수준(혹은 절단수준)을 선정하고 가뭄의 지속기간, 심도, 발생간격 등을 정의한 후 이를 시계열 분석하여 가뭄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Yevjevich, 1967). 하지만, 가뭄은 홍수와 달리 진행 속도가 느리고, 시·공간적으로 매우 비균질하게 발생하므로(Salas et al., 2005), 가뭄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는 분석이 필요하다.
가뭄특성인자의 의의는?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강우관측 지점자료 중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보유한 58개의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가뭄의 심도, 지속기간, 강도, 발생빈도 등과 같은 가뭄특성인자를 생성하였다. 가뭄특성인자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특성을 지닌 지역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뭄특성인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K-means 기법을 적용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동질한 가뭄특성을 지닌 지역을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가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가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관측지점별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현상을 정량화하고, 이를 통해 가뭄특성을 평가한다. 즉 평균수준(혹은 절단수준)을 선정하고 가뭄의 지속기간, 심도, 발생간격 등을 정의한 후 이를 시계열 분석하여 가뭄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Yevjevich, 1967). 하지만, 가뭄은 홍수와 달리 진행 속도가 느리고, 시·공간적으로 매우 비균질하게 발생하므로(Sala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경기개발연구원 (2004). 경기북부 농업가뭄현황 감시기법 연구. 기본연구 2004-06, pp. 20-24. 

  2.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 (2007).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B호, pp. 267-276. 

  3. 국립기상연구소 (2009). 기후변화 이해하기 III - 서울의 기후변화. 국립기상연구소, pp. 8. 

  4. 김보경, 김상단, 이재수, 김형수 (2006).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B호, pp. 69-78. 

  5. 김휘린, 박무종, 윤용남 (2004). “자료계열 특성에 따른지역가뭄빈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27-1031. 

  6. 남우성, 김태순, 신주영, 허준행 (2008). “다변량 분석기법을 활용한 강우 지역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517-525. 

  7. 노형진 (2001),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pp. 437-476. 

  8. 박우창, 승현우, 용환승, 최기헌 (2003). 데이터 마이닝 개념 및 기법, 자유아카데미. pp. 413-434. 

  9. 오태석, 오근택, 문영일, 이일주 (2007). “군집분석과 비매개적 지역빈도 해석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942-1945. 

  10. 유철상, 안재현, 류소라 (2004). “포아송과정을 이용한 가뭄의 공간분포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0호, pp. 813-822. 

  11.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 (2006),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691-702. 

  12. 차석빈, 김홍범, 오홍철, 윤지환, 김우곤 (2008). 사례를 통해 본 다변량 분석의 이해, 백산출판사. pp. 257-271. 

  13. 허준행, 이영석, 신홍준, 김경덕 (2007). “우리나라 강우 자료의 지역빈도해석 적용성 연구(I):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 2B호, pp. 101-111. 

  14. Dinpashoh, Y., Fakheri-Fard, A. Moghaddam, M., Jahanbakhsh, S., Mirnia, M. (2004). “Selection of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regionalization of Iran's precipitation climate using multivariate methods.” Journal of Hydrology, Vol. 297, pp. 109-123. 

  15. Hosking, J.R.M., and Wallis, J.R.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 Approach Based on L-mo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Mallants, D., and Feyen, J. (1990). “Defining homogeneous precipitation regions by mean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29, pp. 892-901. 

  17. Mathier, L., Perreault, L., Bobe, B., and Ashkar, F. (1992). “The use of Geometric and Gamma-related distribution for frequency analysis of water deficit.”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ck Assessment, Vol. 6, pp. 239-254. 

  18.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Proceedings Eigh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pp. 179-187. 

  19. Puvaneswaran, M. (1990). “Climatic classification for Queensland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0, pp. 591-608. 

  20. Salas, J.D., Fu, C., Cancelliere, A., Dustin, D., Bode, D., Pineda, A., and Vincent, E. (2005). “Characterizing the severity and risk of drought in the Poudre River, Colorado.”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5, pp. 383-393. 

  21. Sen, Z. (1976). “Wet and dry periods of annual flow serie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2, pp. 1503-1514. 

  22. White, D., Richman, M., and Yanel, B. (1991). “Climate regionalization and rotation of principal compon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1, pp. 1-25. 

  23. Yevjevich, V.M.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Hydrology Paper 23,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lorado. 

  24. Zhang, J., and Hall, M.J. (2004).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the Gan-Ming River basin in China.” Journal of Hydrology, Vol. 296, pp. 98-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