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Clustering analysis of Korea's meteorological dat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2 no.5, 2011년, pp.941 - 949  

여인권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전국 72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우리나라 기상자료를 평균연결법에 의한 계층적 병합방법을 통해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 기상자료에서 유도된 군집의 특성을 파악해 본다. 이 분석에서 유도된 군집과 2010년 기후변화에 따른 식중독 발생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산맥을 경계로 구분한 군집을 비교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72 weather stations in Korea are clustered by the hierarchical agglomerative procedure based on the average linkage method. We compare our clusters and stations divided by mountain chains which are applied to study on the impact analysis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 due to climate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년도 지속과제에서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기상관측소 중 60개를 선정하여 일별, 주별, 월별 평균을 기상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기존 연구보다 세밀한 결과를 얻기 위해 60개 기상관측소를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기준으로 세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에 속해 있는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기상자료의 평균을 이용하여 식중독 발생빈도에 기후가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산맥을 경계로 권역을 나눈 것이 기상자료의 특성을 반영하여 권역을 나누었다고 볼 수 있는지를 기상자료의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고 이를 통해 차후에 기상자료를 그룹화 하여 이루어지는 분석에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첫 번째 방법은 시계열자료들 간의 거리 또는 유사성을 측도로 사용하는 원자료기반방법 (row-data-based approach)이고 두 번째 방법은 시계열 자료를 저차원의 특성벡터 (feature vector)를 추출하고 이 특성을 비교해 군집하는 특성기반방법 (feature-based approach), 세 번째 방법은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에 포함된 모수의 추정값 또는 잔차를 비교하여 군집하는 모형기반방법 (model-based approach)이다. 이들 방법의 적절성은 자료의 형태 및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어떤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없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성벡터의 추출 및 모형선택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원자료기반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iao (2005)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계열자료들 간의 거리 또는 유사성을 측도로 사용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시계열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시계열자료들 간의 거리 또는 유사성을 측도로 사용하는 원자료기반방법 (row-data-based approach)이고 두 번째 방법은 시계열 자료를 저차원의 특성벡터 (feature vector)를 추출하고 이 특성을 비교해 군집하는 특성기반방법 (feature-based approach), 세 번째 방법은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에 포함된 모수의 추정값 또는 잔차를 비교하여 군집하는 모형기반방법 (model-based approach)이다. 이들 방법의 적절성은 자료의 형태 및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어떤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없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성벡터의 추출 및 모형선택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원자료기반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자료를 저차원의 특성벡터를 추출하고 이 특성을 비교해 군집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시계열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시계열자료들 간의 거리 또는 유사성을 측도로 사용하는 원자료기반방법 (row-data-based approach)이고 두 번째 방법은 시계열 자료를 저차원의 특성벡터 (feature vector)를 추출하고 이 특성을 비교해 군집하는 특성기반방법 (feature-based approach), 세 번째 방법은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에 포함된 모수의 추정값 또는 잔차를 비교하여 군집하는 모형기반방법 (model-based approach)이다. 이들 방법의 적절성은 자료의 형태 및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어떤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없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성벡터의 추출 및 모형선택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원자료기반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계열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시계열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시계열자료들 간의 거리 또는 유사성을 측도로 사용하는 원자료기반방법 (row-data-based approach)이고 두 번째 방법은 시계열 자료를 저차원의 특성벡터 (feature vector)를 추출하고 이 특성을 비교해 군집하는 특성기반방법 (feature-based approach), 세 번째 방법은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에 포함된 모수의 추정값 또는 잔차를 비교하여 군집하는 모형기반방법 (model-based approach)이다. 이들 방법의 적절성은 자료의 형태 및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어떤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없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성벡터의 추출 및 모형선택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원자료기반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동석, 홍수진, 박준표 (2009). 대구지역 지중온도의 변화예측. , 20, 649-654. 

  2. 김현구, 이영섭, 장문석 (2010). 제주도 일단위 풍력발전예보 모형개발을 위한 군집분석 및 기상통계모형 실험. , 10, 1229-1235. 

  3. 이훈자 (2010). 경기도 수원시 미세먼지 농도의 시계열모형 연구. , 21, 1117-1124. 

  4. 장학진, 주용성 (2009). 서울의 온도 패턴 변화. , 20, 89-96. 

  5. 정명섭, 오상석 (2009). , 식품의약품안전청 최종보고서 정책-식품-2009- 09, 서울. 

  6. 주용성, 정형주, 김병준 (2009). 한국 기상자료의 군집분석: 베이지안 모델기반 방법의 응용. , 20, 57-64. 

  7. Booth, J., Casella, G. and Hobert, J. (2008). Clustering using objective functions and stochastic search.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70, 119-140. 

  8. Kakizawa, Y., Shumway, R. H. and Taniguchi, M. (1998). Discrimination and clustering for multivariate time ser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3, 328-340. 

  9. Kim, J. and Lim, J. (2003). Cluster analysis with air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4, 773-787. 

  10. Liao, T. W. (2005). Clustering of time series data-A survey. Pattern Recognition, 38, 1857-1874. 

  11. Singhal, A. and Seborg, D. E. (2005). Clustering multivariate time-series data. Journal of Chemometrics, 19, 427-4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