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특산 누른괭이눈(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의 형태적 특성 및 분포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5, 2010년, pp.480 - 485  

한종원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현준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강신호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반도 특산식물 누른괭이눈(C. flaviflorum Ohwi)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근연분류군과의 비교를 통한 형태학적 특성 조사와 새로운 분포지의 보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형질은 지하로 벋는 줄기의 생성과 잎 표면의 무모로, 전자는 본 분류군에 대한 선행연구 중 Hara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형질이며, 후자는 Ser. Pliosa 내의 변종의 동정에 매우 중요한 형질임에도 본 종을 발표한 Ohwi를 포함한 모든 연구자들이 기재하지 않았던 중요한 형질이다. 한국특산식물인 본 종은 현재까지 한반도 북부지역에만 한정 분포한다고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 한반도 중부아구인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철원군, 충청북도 영동군에 분포하는 것이 1943년 이후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종의 분포에 관한 정밀한 연구와 환경부 식물구계구분에 의한 특정식물종으로의 지정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for conservation and practical use in the Korean Peninsula of Chrysosplenium flaviflorum through a comparison with relative spec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that were new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cluded subhypogae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의: 누른괭이눈은 Ohwi(1934)에 의해 한국특산식물로 발표된 이후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형태학적 기재가 이루어져왔으나(Hara, 1957; Chung and Kim, 1988), 이들의 기재는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거나, 제한된 표본만을 인용해 기재하였기 때문에 누른괭이눈의 정확한 특징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한 내의 다양한 분포지를 확인하고 실체의 확인을 통하여 그 동안 확인되지 않은 특징을 설명하였다(Table 1).
  • 그 중 Chung and Kim(1988)만이 1938년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경기도 포천에 분포한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최근 발간된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Kim, 2007)에서 다시 본 종이 양강도 일대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고 재설정된 바 있어 누른괭이눈의 분포지가 불명확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종의 정확한 기재를 통하여 누른괭이눈의 형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새롭게 확인된 남한 자생지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반도 특산식물 누른괭이눈(C. flaviflorum Ohwi)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근연분류군과의 비교를 통한 형태학적 특성 조사와 새로운 분포지의 보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형질은 지하로 벋는 줄기의 생성과 잎 표면의 무모로, 전자는 본 분류군에 대한 선행연구 중 Hara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형질이며, 후자는 Ser.

가설 설정

  • 2. Seeds with tubercles on poorly ridge.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른괭이눈은 어떻게 기재되었는가? 누른괭이눈(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은 한국 특산식물로서, 1932년 Ohwi가 함북 관모봉에서 채집하여 처음으로 기재하였다. 누른괭이눈의 근연 분류군으로는 털괭이눈(C.
누른괭이눈의 근연 분류군에는 무엇이 있는가? 누른괭이눈(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은 한국 특산식물로서, 1932년 Ohwi가 함북 관모봉에서 채집하여 처음으로 기재하였다. 누른괭이눈의 근연 분류군으로는 털괭이눈(C. pilosum Maxim.), 금괭이눈(C. pilosum var. valdepilosum Ohwi), 흰괭이눈[C.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 Hara]이 있으나, 현재 남한에는 금괭이 눈과 흰괭이눈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ra, 1957; Chung and Kim, 1988; Kim, 2007). 누른괭이눈은 털괭이눈과 외부형태가 유사하나 종자에 세로의 돌기능 선이 없다는 특징으로 설정된 분류군이다.
괭이눈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현재는 약 57~65종이(Hara, 1957; Pan, 2001)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2종을 제외하면,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는데, 북동아메리카에 2종, 북서아메리카에 4종, 유럽에 2종, 그리고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류군이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중국에 35종, 일본에 18종이 분포한다(Spongberg, 1972; Pan, 2001; Iwatsuki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ung, T. H. 196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5. Tracheophyta. Genus Chrysosplenium.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497-483. 

  2. Chung, T. H., B. S. To, D. B. Lee and H. J. Lee. 1937. Genus Chrysosplenium In: Nomina plantarum Koreanum. Chosen Nat. Hist. Inst., Seoul. pp.80-81. 

  3. Chung, Y. H. and Y. D. Kim, 1988. Monographic Study of Endemic Plants in Korea X.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the Genus Chrysosplenium. Korean J. Environ. Biol. 6(2):33-63. 

  4. Forbes, F. B. and W. B. Hemsley. 1887. An enumeration of all the plants known from China proper, Formosa, Heinan, Corea, the Luchu Archipelago and Island of Hong Kong. J. Linn. Sco. Bot. 23:271. 

  5. Franchet, A. R. 1890. Monographie du genere Chrysosplenium Tournfort. Nouv. Arch. Mus. Hist. Nat. Paris III. 2:87-114. 

  6. Iwatsuki, K., D. Boufford, H. Ohba. 2001. Chrysosplenium L. In: Flora of Japan, Vol. II b. Kodansha LTD., Tokyo. pp.58-70. 

  7. Hara, H. 1957. Synopsis of Genus Chrysosplenium L. Jour. Fac. Sci. Univ. Tokyo, Bot. 7:1-90. 

  8. Kim, M. 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gwahak. Seoul. p.262. 

  9. Kim, Y. D. 2007. Saxifragaceae.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s.),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0. Lee, T. 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1-137. 

  11. Lee, W. T. 1996a.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12. Lee, Y. N. 1996b.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3. Linneus, C. 1753. Species Plantarum. p.398. 

  14. Lucas, G and H. Synge, 1980. Plant Red Data Book, IUCN. 

  15. Maximowicz, C. J. 1877 Diagnosis plantarum novarum asiaticarum scripsit. Bull. Acad. Sci. St. Petersb. 23:340- 350.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Secon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17. Naito, K. and N. Nakagoshi. 1994. The conservation ecology of Pulsatilla cernua (Thunb.) Spreng. (Ranunculaceae), an endangered species in Japan. In The Proceedings of 35th Symposium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Vegetation Science (IAVS). App. Veg. Ecol. 35:263-269. 

  18. Naito, K. and N. Nakagoshi. 1995. The conservation ecology of Iris rossii Baker (Iridaceae), a threatened plant in Japan. J. Plant. Res. 108:477-482. 

  19. Nakai, T. 1909. Flora Koreana I. J. Coll. Sci. Univ. Tokyo. 26:220. 

  20. Oh, B. U., D. G. Jo, K. S. Kim,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21. Ohwi, J. 1934. Repertorium Specierum Novarum regni Vegetabilis. Fedde, Repert. 36:51. 

  22. Ohwi, J. 1937. Symbolae ad Frolam Asiae Orientalis Plantae nova Japonicae etc. Acta Phytotax Geobot. 6:152. 

  23. Palibin, J. 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Pars Prima. Acta. Horti. Petropol. p.90. 

  24. Pan J. 2001. Chrysosplenium L. In: Wu, Z.Y. & P.H. Raven (eds.). Flora of China, Vol. 8.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ius. pp.346- 358. 

  25. Park, M. K. 1949. Genus Chrysosplenium. In: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pp.83-85. Miniostry of Education. Seoul. 

  26. Park, M. K. 1974. Genus Chrysosplenium. In: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Dicotyledoneae). pp.208-210. Chungeumsa. Seoul. 

  27. Soltis, D. E., Tago-Nakazawa, M., Xiang, Q.-Y., Kawano, S., Murata, J., Wakabayashi, M., Hibsch-Jetter, C.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evolution in Chrysosplenium (Saxifragaceae) based on matK sequence data. Am. J. Bot. vol. 88, 5:883-893. 

  28. Sponberg, G. L. 1972. The genera of Saxifrag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 Arnold Arb. 53:409-4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