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침(耳鍼)의 신문혈(神門穴) 자극(刺戟)이 치매환자(痴呆患者)의 뇌파(腦波)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at the Shinmun on the Electroencephalogram(EEG) in patients with dementia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1 no.3, 2010년, pp.45 - 64  

김미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이고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이상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박인숙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박장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노동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김지영 (제인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교실) ,  박보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류영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  강형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at the Shinmun on patients with dementia by using power spectrum analysis. Electroencephalogram(EEG) power spectrum show site-specific and state-related differences in various frequency bands. Methods :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其別氣於走耳而爲聽’이라 한 것은 耳部에 자침하여 전신의 기혈순환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이 치료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 본 실험에서는 최근 금연16)이나 비만17), 신경 정신 질환 치료18)등을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이침에서 특별히 大腦皮質의 興奮과 抑制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는 耳神門穴 자극이 뇌파, 특별히 치매 환자의 뇌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으며, 뇌파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 분석에서 각 파 변화에 유의한 값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원인 질환은 몇 가지가 있으며 그중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은 무엇이 있는가? 치매(dementia)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의 외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 내지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 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감퇴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일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1).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약 70~80여 가지가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고,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는 10~15%, 그리고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dementia)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의 외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 내지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 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감퇴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일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1).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약 70~80여 가지가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고,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는 10~15%, 그리고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PET, SPECT, fMRI 등이 시간적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를 가진 반면 뇌파는 어떤 검사법인가? PET, SPECT, fMRI 등은 높은 공간적 해상도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뇌의 인지 기능을 발현하기에는 시간적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를 가진다22). 반면 높은 시간적 해상도를 가지는 뇌파는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대뇌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이고, 현재 대뇌기능 평가법 중 가장 우수한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대한한방신경정신의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서울:집문당. 2005:155. 451-2. 

  2. 오병훈 등. 치매 Dementia, 치매 이해와 치료의 바른 길잡이. 서울:무지개사. 2002:7-25. 

  3. 김용기. 耳針 Ear acupuncture. 서울:明文堂. 1992:81-92. 

  4. 전국 한의과대학 침구 경혈학 교실 편저. 침구학 (하). 집문당. 2001:1369-79, 1384, 1395-401. 

  5. 李炳國 編著. (最新)耳針圖解處方集. 서울:현대침구원. 1999:47-55, 69. 

  6. 김대식 등. 신경기능검사학 뇌파검사?근전도검사?유발전위검사. 서울:고려의학. 2009:33-41. 

  7. 서영효, 김경철, 김보경. 뇌파의 한의학적 진단 지표로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초안.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1):37-61. 

  8. 이상훈. 백회(GV20) 신회(GV22) 자침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9. 서상수, 권순철, 이상룡. 신문(H7)의 전침 자극이 EEG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21(1):29-40. 

  10. 백운이. 전통 침술과 레이저 자극술에 의한 만성 두통에 대한 치료효과의 뇌파 spectrum 분석 및 신경내분비학적 평가. 과천:보건복지부. 2000:22-6. 

  11. 김수용, 박우순, 이태영, 이창현, 이상룡, 육상원, 이광규. 신맥 조해의 전침자극이치매환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2):67-79. 

  12. 이진구, 이영구, 윤희식. 耳鍼施術 이 血壓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003;24(2):12-8. 

  13. Jacqueline Filshie, Adrian White. 역자 이종 화 외. Medical Acupuncture A Western Scientific Approach. 서울:척추신경추나학회. 2008:30. 

  14. 十束支郞(도츠까 시로) 지음. 金英淑, 鄭鍾和, 崔順珠 공역. 치매노인의 케어와 예방. 하나의학사. 1999:88-9. 

  15. 윤중수. 뇌파학개론. 고려의학. 1999:53-64, 111-3. 

  16. 임호제 외. 청소년에 대한 금연침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6;23(1):53-62. 

  17. 김강식. 이침의 비만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 논문. 2007. 

  18. 장보형, 이정희, 문경숙, 김진원, 권오섭. 이침 요법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한 성인의 심박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6):173-80. 

  19.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한국형)치매 평가검사 Korean assessment scales for demented patients.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편. 학지사. 2003:45-52. 

  20. 이성훈 안창범 유성국 전덕인 민성길. 국산화 EEG 및 EP Mapping System(Neuronics)의 임상적 타당성 연구. 수면정신생리학회지. 1997;4(1):96-106. 

  21. 新谷太 著 최일생 역. Pathophysiology로 이 해하는 내과학 10. 신경질환. 서울:정담. 2002 :151-3. 

  22. 뇌파를 이용한 뇌 신호원 국소화 및 뇌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2001. 

  23. 정사준 역. 뇌파판독 Step by step 입문편 제 4편. 서울:군자출판사. 2007:2-3. 

  24. H.-U. Hecker 지음, 최훈 옮김. Color Atlas of Acupuncture 체침, 이침, 통증유발점, 서울:군자출판사. 2003:149. 

  25. Terry Oleson 저 Frontier of oriental medicine역. (圖說) 耳鍼療法, 중국과 서구의 이침체계. 서울:대성의학사. 1999:1-19, 56, 118, 167. 

  26. 보건복지부 원광대학교 [공편]. 한방의료의 지 역보건복지사업 참여 프로그램 개발연구,I-II. 과천:보건복지부. 2001:267-58. 

  27. 김영숙.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교육과학사. 2002:8-10, 12. 

  28.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한국형)치매 평가검사 Korean assessment scales for demented patients.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편. 학지사. 2003 :45-52. 

  29. Tomas M. Wisniewski, Marcin Sadowski, 홍진태 역. 100 Ouestions & Answers about Alzheimer's Disease. 도서출판 신일상사. 2006 :10-1. 

  30. 황의완. 치매의 바른 이해와 한의학적 치료. 집문당. 1997:17, 39-40. 

  31. 조추용 최현자 [공]역. 치매 예방과 케어. 창지사. 2002:56-7, 136. 

  32. 韓善浩, 齋藤章二 共著, 臨床腦波. 서울:一潮閣. 1992:1-4. 

  33. 김영배, 김대식 역. 뇌파와 유발전위의 지형학적 영상 Topographic mapping of EEG and evoked potentials. 서울:고려의학. 1999 :66-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