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압요법이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Disorder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116 - 126  

장민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압요법이 60세 이상 노인의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국내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auricular', 'sleep', 'insomnia' 등을 조합하였다. 선정한 문헌의 비뚤림 위험평가는 RoB와 RoBANS도구를 사용하였고, 메타분석은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Program을 이용하였다. 총 386개의 문헌 중 7개 문헌이 선정되었다. 이압요법 중재 평균 횟수는 4.1회, 총 적용 기간은 평균 2.8주, 이압요법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은 평균 4일이었다.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해 자주 사용한 부위는 신문, 뒷머리, 심장으로 4편의 문헌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수면 정도는 총 중재 기간이 4주 미만인 문헌에서 WMD 25.66 (95% CI 20.18 to 31.14)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주 이상인 문헌에서는 WMD 8.59 (95% CI 6.26 to 10.92)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면 만족도는 이압요법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이 3일 이하인 문헌에서 SMD 13.37 (95% CI 5.29 to 21.45)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일 이상인 문헌에서 SMD 2.27 (95% CI 1.82 to 2.72)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압요법은 수면 정도와 수면 만족도에 효과가 있어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메타분석에 이용된 문헌은 모두 비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며, 대조군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도구만 사용하였다. 또한, 총 중재 기간,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에 따라 효과 크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헌의 수가 적어 해석에 제한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improving sleep disorders of the elderl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omestic and foreign databases. The keywords were 'auricular,' 'sleep,' 'insomnia, and so on. RoB and RoBANS were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bias in the selected liter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이압요법의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압요법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하여 평가함으로써 검정력을 증가시키고 객관성을 확보하여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이압요법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요법의 근거 수준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압요법이 간호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독자적인 영역의 간호 중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임상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체계화하고 간호사 교육과정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9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6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이압요법이 60세 이상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압 요법은 노인의 수면 정도와 수면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이압요법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에게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해 이압요법을 적용한 문헌은 7편이었으며, 그 중 RCT연구는 1편으로 매우 적었고, 나머지 6편은 모두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로 대조군에게는 아무런 조치를 수행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압요법이 60세 이상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이압요법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요법의 근거 수준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압요법이 간호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독자적인 영역의 간호 중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임상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체계화하고 간호사 교육과정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개별 연구의 표본 크기는 매우 작은 편이었으며, 선행연구에서 중재 기간, 중재 방법, 중재 부위가 다양하였으나 이를 통합하여 중재 연구의 방향과 수면 장애 효과의 분석을 제시한 메타분석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이압요법이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하여 평가함으로써 검정력을 증가시키고 중재 요법의 근거 수준을 높이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간호 중재로 이압요법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압요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압요법은 귀 표면 혹은 외이에 식물 씨앗이나 구슬 자석을 이용해 자극을 주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 예방 및 건강 유지, 증진을 도모하는 보완대체요법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비침습적이며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5]. 최근 혈액 투석환자의 불면증[16, 17], 산후 불면증[18]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의 수면 패턴의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국내 노인의 불면증 원인으로는 노화로 인한 항상성 변화, 동반 질환, 복용 약물 등이 있으며[10]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면 패턴의 변화도 일어나게 된다[11]. 노인의 수면은 델타파의 감소 및 1단계 수면의 증가로 얕은 수면을 보이며 각성 횟수가 증가하고[9] 수면 시작 시간이 노화에 따라 다시 앞당겨 지면서 일찍 잠자리에 들지만 쉽게 잠들지 못하고 깊은 잠을 자지 못하며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특성을 보인다[10].
불면증이란 무엇인가? 수면 장애 중 하나인 불면증은 다양한 환경과 정신의 학적 요소로 발생하는 흔한 건강 문제로[8] 쉽게 잠들지 못하고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이 최소 3회/주 이상,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9]. 국내 노인의 불면증 원인으로는 노화로 인한 항상성 변화, 동반 질환, 복용 약물 등이 있으며[10]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면 패턴의 변화도 일어나게 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 E. Moul, E. A. Nofzinger, P. A. Pilkonis, P. R. Houck, J. M. Miewald, "Symptom reports in severe chronic insomnia", Sleep, Vol.25, No.5, pp.548-558, 2002. DOI: https://dx.doi.org/10.1093/sleep/25.5.548 

  2. K. H. Kwon, S. R. Suh, B. D. Suh, "Sleep patterns and factors influencing sleep in institutionalized elders and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2, No.2, pp.131-141, 2010. 

  3. M. R. Irwin, R. Olmstead, J. E. Carroll, "Sleep disturbance, sleep duration, and inflamm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and experimental sleep deprivation", Biological Psychiatry, Vol.80, No.1, pp.40-52, 2016. DOI: https://dx.doi.org/10.1016/j.biopsych.2015.05.014 

  4. V. K. Kapur, D. H. Auckley, S. Chowdhuri, D. C. Kuhlmann, R. Mehr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Vol.13, No.3, pp.479-504, 2017. DOI: https://dx.doi.org/10.5664/jcsm.6506 

  5. T. Y. Chen, S. Lee, O. M. Buxton, "A greater extent of insomnia symptoms and physician-recommended sleep medication use predict fall risk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leep, Vol.40, No.11, zsx142, 2017. DOI: https://dx.doi.org/10.1093/sleep/zsx142 

  6. L. Shi, S. J. Chen, M. Y. Ma, Y. P. Bao, Y. Han, "Sleep disturbances increase the risk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medicine reviews, Vol.40, pp.4-16, 2018. DOI: https://doi.org/10.1016/j.smrv.2017.06.010 

  7. A. A. Silva, R. G. B. Mello, C. W. Schaan, F. D. Fuchs, S. Redline, "Sleep duration and mortality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BMJ Open, Vol.6, No.2, e008119, 2016. DOI: https://dx.doi.org/10.1136/bmjopen-2015-008119 

  8. Y. Lan, X. Wu, H. J. Tan, N. Wu, J. J. Xing, "Auricular acupuncture with seed or pellet attachments for primary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15, No.1, pp.103-116, 2015. DOI: https://dx.doi.org/10.1186/s12906-015-0606-7 

  9. M. H. Kryger, T. Roth, W. C. D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5th ed, p.1766, Elsevier Saunders, 2011, pp.1544-1550. 

  10. D. K. Lee, "Clinical approach to elderly insomnia",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Vol.14, No.1, pp.1-10, 2013. 

  11. K. K. Gulia, V. M. Kumar,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a growing challenge", Psychogeriatrics, Vol.18, No.3, pp.155-165, 2018. DOI: https://dx.doi.org/10.1111/psyg.12319 

  12. J. H. Kim, P. J. Oh,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primary insomnia in adults aged 55 and above: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8, No.1, pp.13-29, 2016. DOI: https://dx.doi.org/10.7475/kjan.2016.28.1.13 

  13. O. C. Ioachimescu, A. A. El-Solh, "Pharmacotherapy of insomnia", Expert Oinion on Parmacotherapy, Vol.13, No.9, pp.1243-1260, 2012. DOI: https://dx.doi.org/10.1517/14656566.2012.683860 

  14. B. Y. Chung, H. S. Park,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somnia in Korea: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 pp.95-106, 2017.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7.18.1.95 

  15. T. Oleson, Auriculotherapy manual: Chinese and western systems of ear acupuncture 4th ed, p.476, Elsevier Health Sciences, 2013, pp.368-373. 

  16. Y. H. Lee, S. Y. Kim,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insomnia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0, No.1, pp.21-28, 2007. 

  17. C. Zou, L. Yang, Y. Wu, G. Su, S. Chen, "Auricular acupressure on specific points for hemodialysis patients with insomnia: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Vol.10, No.4, e0122724, 2015.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22724 

  18. Y. L. Ko, S. C. Lin, P. C. Lin,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for postpartum insomnia: an un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5, No.3-4, pp.332-339, 2016. DOI: https://dx.doi.org/10.1111/jocn.13053 

  19. W. F. Yeung, K. F. Chung, M. M. K. Poon, F. Y. Y. FYY, S. P. Zhang, "Acupressure, reflexology, and auricular acupressure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leep Medicine, Vol.13, No.8, pp.971-984, 2012. DOI: https://dx.doi.org/10.1016/j.sleep.2012.06.003 

  20. M. S. Lee, B. C. Shin, L. K. P. Suen, T. Y. Park, E. Ernst, "Auricular acupuncture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Vol.62, No.11, pp.1744-1752, 2008. DOI: https://dx.doi.org/10.1111/j.1742-1241.2008.01876.x 

  21. E. M. Brody, "Women in the middle and family help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Vol.21, pp.471-480, 1981. 

  22.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Vol.6, No.7, e1000097, 2009.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23. J. P. T. Higgins,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Internet].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https://handbook-5-1.cochrane.org/ (accessed Sep. 1, 2018) 

  24.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Agency,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1st ed, p.271, NECA, 2011, p.64-91. 

  25. E. Chang, H. Park,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9, No.2, pp.133-142, 2018. DOI: https://dx.doi.org/10.12799/jkachn.2018.29.2.133 

  26. J. Y. Kim, H. S. Ryu, S. H. Nam, K. S. Park,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nocturia and insomnia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7, No.1, pp.1-9, 2014. DOI: http://dx.doi.org/10.7587/kjrehn.2014.1 

  27. J. O. Lee, Y. S. Kwon,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5, No.1, pp.1-8, 2009. 

  28. S. H. Sok, K. B. Kim,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pressure therapy on insomnia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12, No.2, pp.222-233, 2000. 

  29. S. Sok, K. B. Kim,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on insomnia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6, pp.1014-1024, 2005. DOI: https://dx.doi.org/10.4040/jkan.2005.35.6.1014 

  30. S. H. R. Sok, K. B. Kim, "Applied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therapy on insomnia of taeumi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4, No.2, pp.1-7, 2008. 

  31. L. K. Suen, T. K. Wong, A. W. Leung, "Effectiveness of auricular therapy on sleep promotion in the elderly",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Vol.30, No.4, pp.429-449, 2002. DOI: https://dx.doi.org/10.1142/S0192415X0200051X 

  32. J. J. Oh, M. S. Song, S. M.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8, No.3, pp.563-572, 1998. 

  33. H. Y. Chen, Y. Shi, C. S. Ng, S. M. Chan, K. K. L. Yung,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13, No.6, pp.669-676, 2007. DOI: https://dx.doi.org/10.1089/acm.2006.6400 

  34. M. Sjoling, M. Rolleri, E. Englund, "Auricular acupuncture versus sham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women who have insomnia",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14, No.1, pp.39-46, 2008. DOI: https://dx.doi.org/10.1089/acm.2007.0544 

  35. C. Lo, W. C. Liao, J. J. Liaw, L. W. Hang, J. G. Lin, "The stimulation effect of auricular magnetic press pellets on older female adults with sleep disturbance undergoing polysomnographic evaluatio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rticle ID 530438, pp.1-8, 2013. DOI: https://dx.doi.org/10.1155/2013/530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