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 지역 일부 보육교사의 식행동 및 급식 지도 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 Education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3, 2010년, pp.342 - 351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숙인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진숙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s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66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orked in a national(public) or private day-care center. The Stat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 지역의 국 · 공립, 민간 보육시설 교사들의 식행동과 급식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전주 지역 보육시설의 식생활 지도의 방식과 문제점을 찾아 효율적인 식생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 · 공립과 민간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식행동과 급식 지도 실태 조사를 위하여 전주 지역 보육교사의 견해를 조사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제도에 대한 사회적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여성의 취업률은 2007년 50.2%로 증가 추세이며(보건복지부 2008), 이 같은 기혼 여성들의 사회 참여 및 경제활동의 증가로 보육제도는 사회적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보육서비스는 1991년 영유아 보육법이 제정된 이후 꾸준히 확대되어 2007년 12월 기준 아동 보육시설 수는 30,856개로 1991년에 비해 약 6배가 증가하였으며, 주민등록상 만 5세 미만인 보육 대상 아동 중 27.
보육시설에서의 급식 제공이 보육 서비스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보육시설은 평일 12시간 이상 운영되고 있으며, 아동에게 1회 이상의 식사와 2회 이상의 간식을 제공하고 있다(Rho 등 2009). 유아들의 영양 지식이나 식습관은 가정에서의 식생활경험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발전하게 되지만 영유아 보육시설의 아동들은 활동 시간의 대부분을 보육시설에서 보내게 되므로 보육시설에서의 식습관 지도와 영양 관리가 어린이들에게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Lim HS 1997). 따라서 보육시설에서의 급식 제공은 단순히 한 끼 식사를 충족시키는 것 이상으로 아동의 건강 문제와 직결되므로 급식 제공은 보유시설에서 제공되는 보육 서비스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보육시설의 운영시간과 식사 제공 횟수는? 보육시설은 평일 12시간 이상 운영되고 있으며, 아동에게 1회 이상의 식사와 2회 이상의 간식을 제공하고 있다(Rho 등 2009). 유아들의 영양 지식이나 식습관은 가정에서의 식생활경험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발전하게 되지만 영유아 보육시설의 아동들은 활동 시간의 대부분을 보육시설에서 보내게 되므로 보육시설에서의 식습관 지도와 영양 관리가 어린이들에게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Lim HS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보건복지부. 2006.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2. 보건복지부. 2007.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3. 보건복지부. 2008. 보육통계: 보육시설 수 및 아동현황 

  4. 전북보육정보센터. 2010. 보육통계: 전북 지역 보육시설 수 및 아동현황 

  5. Ahn SH, Kim JE. 2010. A depth interview on qualification, role, and professionalism of infant/toddler teachers.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87-97 

  6. Chang HJ, Park YJ, Ko ES. 2008. Current and future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in child-care centers. J Korean Diet Assoc 14:229-242 

  7. Choe ES, Lee YE. 2009. Quality evaluation of foodservice with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4:267-278 

  8. Choi KY, Lee HS, Kim EH. 2005. Meal services and young children's eating habit guidances by kindergarten types. J Korea Ope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10:337-360 

  9. Han YM, Yee YH, Lee JS, Oh YJ, Kwon JY, An KO, Park ES. 2004. A study of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s for meal and snack guidance between Sweden and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706-715 

  10. Huh ES. 200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education and its aim for quality enhancement of child care teachers. MS Thesis, Sungkyunkwan Uni. Suwon 

  11. Jang ML, Kim T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s. Korean J Early Childhood Edu 23:261-285 

  12. Kang YJ, Jung SJ, Yang JA, Cha YS. 2007. School dietitians' perception and intake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n Jeon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72-1181 

  13. Kim HR, Shin ES, Lyu ES. 2008. Mother's perception on m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Busan area - A demographical factor approach. J Korean Diet Assoc 14:276-290 

  14. Kim JS. 2003. A study of meal servi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their behaviors during meal time and teacher's guidance in their meal life. MS Thesis, Ewha Woman's Uni. Seoul 

  15. Lee JK, Cho DS. 2006. The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Sungnam day care facilities. Korean J Food & Nutr 19:482-495 

  16. Lee KW, Nam HW, Myung CO, Park YS. 2005. Nutrition knowledge and guidance activities during meal time of daycare center teach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623-631 

  17. Lee KW, Yoon JY, Shim JE. 2008. Status of children's breakfast skipping and their mother's needs for breakfast servi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682-692 

  18.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229-239 

  19. Lee SK, Shin MS. 1997.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foodservice in educare centers in Kwangju and Chonnam province. J Science Better Living 7:1-8 

  20. Lee YM, Oh YJ. 2005. Par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 the school meal service program(SMSP) in kindergart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141-150 

  21. Lim HS. 1997. A study on dietary pattern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10:207-302 

  22. Park SY. 2006.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teachers in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 - Centering on some regions in the Gyungbuk province - MS Thesis, Daegu Uni. Daegu 

  23. Park YJ, Kwak TK, Kang YJ, Chung HK. 2003. Assessment of the child care center's foodservice facility and development of the kitchen facility model based on the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J Korean Diet Assoc 9:219-232 

  24. Rho JO, Lee EP, Lee SK. 2009.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74-83 

  25. Seo SK. 2006.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secondary school teacher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 Jeonju 

  26. Sin EK, Lee YK. 2005.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Korean J Food Culture 20:1-14 

  27. Son JK. 2001.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MS Thesis, Kookmin Uni. Seoul 

  28. Song J, Heo YR. 2010. A study on nurse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nd education of nutrition care in Gwang-Ju.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159-168 

  29. Song KS. 2008. The problematic analysis on working conditions and duties in teachers of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3:107-127 

  30. Woo YJ. 1998.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day-care center in Seoul. MS Thesis, Ewha Woman's Uni.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