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ganic Extracts from Fruit of Thuja orientalis L.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8 no.5, 2010년, pp.315 - 322  

염태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  임흥빈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ganic extracts obtained from the fruit of Thuja orientalis L. The native fruit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by 80% ethanol, and the extract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0 ㎎/disc의 농도로 8 ㎜ paper disk에 흡수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키고 전배양된 균주를 600 ㎚에서 흡광도가 0.3이 되도록 희석하여 100 µL씩 도말된 plate상에 올려놓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isk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 (㎜)을 측정하였다.
  • 각 용매별 추출물의 농도를 0.5, 1, 2.5, 5, 10 ㎎/disc로 하여 멸균된 paper disc(직경 8 ㎜, Adventech)에 50 µL씩 흡수시킨 후, 추출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키고 시험균액이 도말된 plate에 올려놓은 뒤 37℃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paper disc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 3이 되도록 희석하여 100 µL씩 도말된 plate상에 올려놓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disk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 (㎜)을 측정하여 미생물이 증식되지 않는 최저농도를 MIC로 결정하였다.
  • 0 ㎍/mL 되도록 조절하여 농도별로 가한 다음 균주의 성장 최적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키면서 6시간마다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시험균액 0.1 mL만을 접종한 액체배지와 양성대조구로 ampicillin 10 ㎍/mL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흡광도 측정 시 nutrient broth를 blank로 사용하였다.
  • 돌연변이 유발성 검정은 고압증기 멸균한 top agar 100 mL에 histidin/biotin solution 10 mL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2 mL씩 멸균된 grass cap tube에 취하고 100, 250, 500, 1000 ㎍/mL 농도의 추출물 100 µL에 미리 배양시켜 600 ㎚에서 흡광도가 0.3이 되도록 희석한 TA 98 균액 100 µL을 가한 다음 S-9 mixture 0.5 mL를 가하고 즉시 vortex mixer로 2~3초간 잘 혼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측백나무 열매를 과육과 종자로 분리하여 과육을 8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분획별 용매 추출물을 조제하여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6개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성이 강한 추출용매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과 돌연변이 유발성을 조사하였다.
  • 3이 되도록 희석하여 100 µL씩 도말된 plate상에 올려놓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isk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 (㎜)을 측정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에탄올에 녹여 membrane filter (0.45 ㎛)로 제균한 후 buffer 용액으로 pH를 각각 3, 7, 11로 조정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중화시켜서 열 안정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육저해환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 시료를 에탄올로 용해시켜 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제균한 다음, 최종농도가 10, 50, 100, 200, 300 ㎍/disc가 되도록 8 ㎜ paper disk에 흡수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키고 nutrient broth agar에 배양된 균주의 단일 colony를 백금이로 취하여 10 mL nutrient broth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1 mL를 취하여 10 mL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 균주를 600 ㎚에서 흡광도가 0.3이 되도록 희석하여 100 µL씩 도말된 plate상에 올려놓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 5 mL를 가하고 즉시 vortex mixer로 2~3초간 잘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minimal glucose agar plate에 부어 골고루 퍼지게 하여 굳힌 다음, petri dish를 뒤집어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plate당 복귀돌연변이 colony 수를 측정하였다. 복귀돌연변이 집락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을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복귀돌연변이 집락 수가 음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을 때 항균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 측백나무 열매 80% 에탄올 추출물 20 g을 증류수에 현탁한 뒤 극성을 달리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즉, 에탄올 추출물을 20배의 증류수 400 mL에 현탁 시킨 다음 n-hexane을 1:1 비율로 가하고 잘 혼합한 후 1~12시간을 방치하여 수층과 추출용매의 두 층으로 나뉘도록 하였다. 추출 용매를 분리하고 여과(8 ㎜, Adventech, USA)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hexane 추출물 층을 얻었다.
  • 측백나무열매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gar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였다. 즉, 추출물을 에탄올에 녹여 membrane filter (0.45 ㎛)로 제균한 후 80℃, 100℃, 120℃에서 각각 3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5.
  • 항균활성을 나타낸 n-hexane 분획물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액체배지 희석법(broth dil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membrane filter (0.45 ㎛)로 제균시키고, 멸균된 10 mL nutrient broth 배지에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Bacillus subtil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그람양성균 3종의 균주를 600 ㎚에서 흡광도가 0.3이 되도록 희석하여 0.1 mL씩 접종하고 추출물의 농도를 0.1, 0.5, 1.0 ㎍/mL 되도록 조절하여 농도별로 가한 다음 균주의 성장 최적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키면서 6시간마다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시험균액 0.
  • 최소저해농도는 항균력 시험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던 3종의 그람 양성균주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IC 측정은 Choi (2006) 등의 한천배지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 즉, 에탄올 추출물을 20배의 증류수 400 mL에 현탁 시킨 다음 n-hexane을 1:1 비율로 가하고 잘 혼합한 후 1~12시간을 방치하여 수층과 추출용매의 두 층으로 나뉘도록 하였다. 추출 용매를 분리하고 여과(8 ㎜, Adventech, USA)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hexane 추출물 층을 얻었다. 남은 수층을 계속해서 같은 방법으로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및 물로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높은 용매 순서로 용매 분획하여 분획별 추출물 층을 얻었다.
  • 5 g을 얻었다. 추출된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은 에탄올에 재용해하고 수용성 추출물은 증류수에 재용해하여 0.45 ㎛ membrane filter로 제균하고 4℃에 보관하면서 항균활성을 조사하는데 사용하였다.
  • 측백나무 열매 80% 에탄올 추출물 20 g을 증류수에 현탁한 뒤 극성을 달리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즉, 에탄올 추출물을 20배의 증류수 400 mL에 현탁 시킨 다음 n-hexane을 1:1 비율로 가하고 잘 혼합한 후 1~12시간을 방치하여 수층과 추출용매의 두 층으로 나뉘도록 하였다.
  • 항균성 검색용 평판배지는 각각의 생육배지로 기증층 배지를 petri dish 에 15 mL씩 분주하여 응고시킨 뒤, 중층용배지 5 mL을 45℃ 수욕상에 보관하면서 각종 시험 균액을 600 ㎚에서 흡광도가 0.3이 되도록 한 다음, 균 현탁액 0.1 mL를 무균적으로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기층용 배지위에 분주하여 이중의 평판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각 용매별 추출물의 농도를 0.
  • 항균활성을 보인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균주를 대상으로 n-hexane 분획물을 0, 100, 500, 1000 ㎍/mL의 농도로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균주의 성장곡선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Fig. 1, 2 및 3와 같다. Bacillus subtilis의 경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18시간 이후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여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ampicillin 10㎍/mL을 첨가한 대조구는 36시간 동안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대상 데이터

  •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 98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균주의 형질확인은 histidin 요구성, rfa 돌연변이의 유지 여부, uvr B 돌연변이, R-factor, sponraneous revertant 시험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였고, 균 배양액 1 mL에 DMSO 90 µL를 가하여 −70℃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S-9 mixture와 cofector1은 각각 Molecular Toxicol Inc (USA)와 WAKO Pure Chem Inc (Japan) 제품을 사용하였다.
  •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 98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균주의 형질확인은 histidin 요구성, rfa 돌연변이의 유지 여부, uvr B 돌연변이, R-factor, sponraneous revertant 시험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였고, 균 배양액 1 mL에 DMSO 90 µL를 가하여 −70℃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 coli, Salmonella 등 그람음성균 2종, 그리고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 1종 등 총 6종을 선정하여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에서 보관중이거나 한국종균협회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 생육배지로 nutrient broth는 Difco제품 (USA)을 agar는 Sigma(USA), potato dextrose broth는 Difco제품(USA)과 agar는 Sigma (USA)를 각각 사용하였다.
  • 균주는 그람 양성균으로 식품을 변질시키는 Bacillus subtilis와 식중독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aureus, 폐렴의 주요 원인균인 Streptococcus pneumoniae, 그람 음성균으로 오염의 지표가 되는 E. coli, 사람이나 동물에 티푸스성 질환을 일으키고 식중독의 원인균이 되는 Salmonella 그리고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세균은 nutrient broth & agar, yeast 는 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측백나무 열매는 경북 달성구 도동에서 9월에 채취하여 증류수로 2~3회 수세하고 깨끗이 손질하여 종자를 제거한 과육을 2주 동안 음건한 뒤 건조된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로 조제한 다음 4℃에서 냉장보관 후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세균은 nutrient broth & agar, yeast 는 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하였다.
  • 추출에 사용한 ethanol 및 분획용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은 MERK (German)사와 Junsei (Japan)사의 일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Paper disc와 membrane filter는 Advantec (USA)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균주는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등 그람양성균 3종, E. coli, Salmonella 등 그람음성균 2종, 그리고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 1종 등 총 6종을 선정하여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에서 보관중이거나 한국종균협회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 생육배지로 nutrient broth는 Difco제품 (USA)을 agar는 Sigma(USA), potato dextrose broth는 Difco제품(USA)과 agar는 Sigma (USA)를 각각 사용하였다.
  • 추출에 사용한 ethanol 및 분획용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은 MERK (German)사와 Junsei (Japan)사의 일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Paper disc와 membrane filter는 Advantec (USA)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균주는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등 그람양성균 3종, E.

이론/모형

  • 최소저해농도는 항균력 시험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던 3종의 그람 양성균주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IC 측정은 Choi (2006) 등의 한천배지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시료를 에탄올로 용해시켜 membrane filter (0.
  • 본 실험에서는 측백나무열매의 에탄올추출물과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추출물을 포화시킨 paper disk (8 ㎜)를 한천배지상에 접촉시켜 균주의 생육저해 정도를 측정하는 한천배지 확산법 (agar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였다 (Hwang et al., 2003).
  • 측백나무열매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 유발성 조사는 Ames test (Mortelmans and Zeiger, 2000)로 측정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 98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균주의 형질확인은 histidin 요구성, rfa 돌연변이의 유지 여부, uvr B 돌연변이, R-factor, sponraneous revertant 시험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였고, 균 배양액 1 mL에 DMSO 90 µL를 가하여 −70℃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 측백나무열매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gar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였다. 즉, 추출물을 에탄올에 녹여 membrane filter (0.
  • 항균활성을 나타낸 n-hexane 분획물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액체배지 희석법(broth dil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membrane filter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백나무의 열매인 백자인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측백나무 열매인 백자인 (柏子仁)에 관한 연구로는 측백열매 과피의 물추출액이 토끼의 혈액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Nam et al., 1987)와 tyrosinase 저해제의 분리 및 정제 (Lee et al., 2000), 측백열매 추출물의 발모 효능(Kim et al., 2004) 등의 다양한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측백나무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잎에 관한 연구이며, 열매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천연 보존료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6)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할 목적으로 일부 식품에 여러 가지 인공 합성 보존료가 첨가되고 있으나 식품 첨가물의 안전성이 강하게 대두되면서 소비자가 합성 첨가물이 들어있는 식품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Lee et al., 2001).
측백나무는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inn)는 측백나무 (Cupressaceae) 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 민간 및 한방에서 토혈 (吐血), 비출혈 (鼻出血), 고혈압 (高血壓)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으며, sabinic acid, juniferic acid, hinokitiol, quercetin, saponin 성분 (Kim et al., 1998) 및 thujene, pinene 등의 정유성분과 flavonoid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ung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DJ, Kwak YS, Kim MJ, Lee JC, Shin CS and Jeong KT.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8:109-116. 

  2. Beak JW, Chung SH and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4:1073-1078. 

  3. Choi OK, Kim YS, Cho GS and Sung CK.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5:300-306. 

  4. Choi Il, Cho JY and Lim SC.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9:491-496. 

  5.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Choi DG and Park HM.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the parts harvested and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335-340. 

  6.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and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112-117. 

  7. Han SH, Woo NRY, Lee SD an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4:49-55. 

  8. Hwang JS and Han YS.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_{ND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1059-1065. 

  9. Jeong MR, Cha JD and Lee Y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 (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1: 84- 93. 

  10. Kang K.J and Kim JS. (2000). Effects of hinokitiol extract of Tunja orientalis on Shelf-life of bre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9:624-628. 

  11. Kim YD, Kang SK and Choi OJ.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0:692-696. 

  12. Kim HK, Kang EJ, Kang BJ, Park KJ and Ko BS. (1998). Isolation of anti-herpes simplex Virus Type 1(HSV-1) component from Thujae orientalis semen.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9:277-282. 

  13. Kim MH, Lee NH, Lee MH, Kwon DJ and Choi UK.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eous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Dietary Culture. 22:266-273. 

  14. Kim YJ, Chung HC, Chung HT, Choi KY, Yun YG and Jang SI. (2004).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Thuja orientalis ethanol extracts on hair loss-induced DBA1J mic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18:1471-1475. 

  15. Koh MS.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l extract.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1098-1105. 

  16. Lee JY, Min YK and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3:389-394. 

  17. Lee JY and Choi SW. (2000).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the seeds of Thuja orientalis L.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7:409-413. 

  18. Lee SE, Park CG, Cha MS, Kim JK, Seong NS, Bang KH and Bang JK.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vaud and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 206-211. 

  19. Mortelmans K and Errol Z. (2000). The ames salmonella/ microsome mutagenicity assay. Mutation Research. 455:29-60. 

  20. Nam HK, Chung YT and Rho GH. (1987). Studies of Thuja orientalis(4).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8:371-374. 

  21. Oh BT, Kim CH and Cho SH. (2006). Antimicrobial chracteristics of Thuja orientalis leaf extracts.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0:21-26. 

  22. Park HG, Cha MR, Hwang JH, Kim JY, Park MS, Choi SU, Park HR and Hwang YI.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yrola japonica against Bacillus subtillis. Journal of Life Science. 16:989-993. 

  23. Paik SB, Chung IM and Doh ES. (1998).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with antifungal activity on major seedborne diseas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277-285. 

  24.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and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9:251-258. 

  25. Park JS, Shim CJ, Jung JH, Lee GH, Sung CK and Oh MJ.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s.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1022-1028. 

  26. Sung SH, Koo KA, Lim HK, Lee HS, Cho JH, Kim HS and Kim YC. (1998). Diterpenes of Biota orientalis leav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9:347-352. 

  27. Seo WT, Yang JK, Kang BK, Park WJ, Hong SC, Kang YM, Jung HY, Kim YD, Kang SM, Kim SW and Choi MS. (2003). Extra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Thuja occidental leav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364-370. 

  28. Yoon JS, Koo KA, Ma CJ, Sung SH and King YC. (2008). Neuroprotective lignans from Biota orientalis leaves. Natural Product Sciences. 14:167-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