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백나무 잎.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5 = no.133, 2011년, pp.746 - 752  

안희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허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강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이재홍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백나무 잎 및 열매 물, 에탄올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총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지방산 조성)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linoleic acid 과산화지질)을 측정하였다.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12.90%), 폴리페놀 화합물(16.02%) 및 플라보노이드(0.25%) 함량이 가장 높았다. 측백나무 잎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Ca, K, 및 Mg이었다. 측백나무 잎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및 lauric acid였으며, 열매는 palmitic acid 및 dec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측백나무 열매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ents of bioactive materials (e.g. polyphenolics compounds, flavonoids, minerals, and fatty aci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측백나무는 우수한 항균 및 항충 작용은 알려져 있으나,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일반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항산화 작용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백나무 잎과 열매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물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측백나무 잎 및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결과는 무엇인가? 측백나무 잎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및 lauric acid였으며, 열매는 palmitic acid 및 dec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측백나무 열매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은? 이러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 할 수 있는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을 비롯한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17,18].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phenolic compounds [6], ascorbic acid [14], tocopherol [19], carotenoids [29], flavonoids [10], zinc [7], glutathione [8] 등이 알려져 있으나 효과적인 항산화제 개발을 위해서는 독성과 같은 안전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검색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측백나무의 열매와 잎의 효능은? 측백나무 열매에는 지방과 saponin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잎에는 flavonoid, 정유물질(thujene, thujone, fenchone, pinene, caryophyllene), 팝, 탄닌,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21,32]. 측백나무 열매는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살충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잎은 flavononol 유도체들이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효과와 함께 아토피 치료에 효과적이라 하였다[22]. 그러나 측백나무는 우수한 항균 및 항충 작용은 알려져 있으나,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일반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항산화 작용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idlack, W. R. and A. L. Tappel. 1973. Damage to microsomal membrane by lipid peroxidation. Lipids 8, 177-178.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4. Hwang, B. H., J. H. Cho, S. S. Ham, and H. Y. Kang. 2000.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9. 

  5. Cha, J. Y.,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6.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7. Cha, J. Y., J. S. Heo, B. K. Park, H. Y. Ahn, B. S. Jun, and Y. S. Cho.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zinc-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in in vitro model system. J. Life Sci. 19, 179-184. 

  8. Cha, J. Y., S. H. Park, J. S. Heo, and Y. S. Cho. 2008. Suppressive effect of administrated glutathione-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on the oxidative stress in alcoholic fatty liver. J. Life Sci. 18, 1053-1058. 

  9. Cha, J. Y., H. Y. Ahn, K. E. Eom, B. K. Park, B. S. Jun, and Y. S. Cho.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10. Chen, Y. T., R. L. Zheng, Z. J. Jia, and J. Ju. 1990. Flavonoids as superoxide scavengers and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 Med. 9, 19-21. 

  11. Choi, Y. M., J. B. Gu, M. H. Kim, and J. S. Lee.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thirty Korean medicinal plants. Food Sci. Biotechnol. 17, 1235-1239. 

  12.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13. Garces, R. and M. Mancha. 1993. One-step lipid extraction and fatty acid methyl esters preparation from fresh plant tissues. Anal. Biochem. 211, 139-143. 

  14. Helmersson, J., J. Arnlov, A. Larsson, and S. Basu. 2008. Low dietary intake of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status in a Swedish cohort. Br. J. Nutr. 15, 1-8. 

  15. Jayaprakasha, G. K., R. P. Singh, and K. K. Sakariah.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16. Jia, Z.,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Jialal, I. and S. Grundyl. 199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lpha-tocopherol on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J. Lipid Res. 33, 899-906. 

  18. Johnson, J. E., R. Walford, D. Harma, and J. Miquel. 1986. In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en R. Liss, N.Y. 

  19. Koskas, J. P., J. Cillard, and P. Cillard. 1984.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behavior of its hydroperoxides with and without tocopherols. JAOCS 61, 1467-1472. 

  20.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1. Lee, S. K., J. K. Kim, Y. H. Ham, and Y. S. Bae. 2002. Extractives from the leaves of Thuja orientalis Linnaeus. J. Korean Forest Energy 21, 56-64. 

  22. Lee, G. S., D. P. Ike, J. Y. Choi, S. Y. Yoon, J. H. Choi, T. J. Kang, S. K. Oh, and J. H. Cheong. 2008. Effect of SPZZC, a composition of herb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in BALB/c and NC/Ng a mouse. Yakhak Hoeji 52, 232-239. 

  23.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4. Mushtakova, V. M., V. A. Fomina, and V. V. Rogovin. 2007. Effect of some xenobiotics on oxidative metabolism of human blood neutrophils. Bull. Exp. Biol. Med. 143, 344-346. 

  25. Ohkawa, H.,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6. Plaa, G. L. and H. Witschi.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131. 

  27. Saito, M. 1988. Interaction between lipid peroxide formation and nutritional status. J. Jpn. Soc. Nutr. Food Sci. 41, 343-349. 

  28.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9. Terao, J. 1989. Autoxidation activity of $\beta$ -carotene-related carotenoids in solution. Lipids 24, 657-661. 

  30. Wells, P. G., G. P. McCallum, C. S. Chen, J. T. Henderson, C. J. Lee, J. Perstin, T. J. Preston, M. J. Wiley, and A. W. Wong. 2009. Oxidative stress in developmental origins of disease: teratogenesis, neurodevelopmental deficits, and cancer. Toxicol. Sci. 108, 4-18. 

  31. Wong, S. F., B. Holliwell, R. Richimond, and W. R. Skowroneck. 1981.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by ascorbic acid. J. Inorganic. Biochem. 14, 127-134. 

  32. Xu, G. H., I. J. Ryoo, Y. H. Kim, S. J. Choo, and I. D. Yoo. 2009.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elastase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fruits of Thuja orientalis. Arch. Pharm. Res. 32, 275-282. 

  33. Zhu, Q. V., R. M. Hackman, X. X. Jodilensunsa, R. R. Holt, and C. L. Keen.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olong tea. J. Agric. Food Chem. 50, 6229-69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