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reporte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CCl_4$-induced liver toxicity of rat was prepared into fractions such as n-hexane up layer (HA), n-hexane down layer (HB), diethyl ether (E), ethylacetate (EA), n-butanol (B) and water (W). Fractions prepared were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렇게 얻어진 각 용매 분획물은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고 −20℃ 이하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활성실험에 사용하였다.
  •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털부처꽃이 다양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향후 기능성 소재로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털부처꽃 뿌리로부터 극성이 다른 분획물들을 조제한 후 in vitro 항산화계 및 사염화탄소에 의해 급성독성을 유발한 흰쥐에서 나타내는 활성을 관찰하였다.
  • 9 g)은 증류수에 녹인 후 separatory funnel에 담아 다음과 같이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n-헥산 (약 500 ㎖)을 수차례 진탕한 후 정치하여 상등액을 n-헥산 A액으로 하였으며 n-헥산층과 물층 사이의 층을 n-헥산 B층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획과정은 각 용매별로 3회 이상씩 반복하였다). n-헥산 B층을 분리한 후 남은 물층을 에텔로서 진탕하고 정치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 후 상등액을 에텔층 (E)으로 분리하였고 이때 얻어진 물층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진탕과 정치를 반복하여 상층액을 에틸아세테이트층 (EA)으로 하였다.
  • 먼저 n-헥산 (약 500 ㎖)을 수차례 진탕한 후 정치하여 상등액을 n-헥산 A액으로 하였으며 n-헥산층과 물층 사이의 층을 n-헥산 B층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획과정은 각 용매별로 3회 이상씩 반복하였다). n-헥산 B층을 분리한 후 남은 물층을 에텔로서 진탕하고 정치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 후 상등액을 에텔층 (E)으로 분리하였고 이때 얻어진 물층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진탕과 정치를 반복하여 상층액을 에틸아세테이트층 (EA)으로 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얻고 남은 물층을 n-부탄올을 가해 진탕, 정치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후 상등액을 n-부탄올 층 (B)으로 하였으며 남은 아래층은 물층 (W)으로 하였다.
  • n-헥산 B층을 분리한 후 남은 물층을 에텔로서 진탕하고 정치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 후 상등액을 에텔층 (E)으로 분리하였고 이때 얻어진 물층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진탕과 정치를 반복하여 상층액을 에틸아세테이트층 (EA)으로 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얻고 남은 물층을 n-부탄올을 가해 진탕, 정치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후 상등액을 n-부탄올 층 (B)으로 하였으며 남은 아래층은 물층 (W)으로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각 용매 분획물은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고 −20℃ 이하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활성실험에 사용하였다.
  • (USA) 제품을, ammonium thiocyanate, thiobarbituric acid (TBA), Folin-Ciocalteau reagent, MgCl2 등의 시약은 특급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농축에는 rotary evaporator (Eyela JP-SD1000, Japan)를 사용하였고, 각 실험에서 흡광도 측정은 spectrophotometer (Varian Cary300, Australia)를 사용하였다.
  •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을 Miller 등 (1996)의 방법에 준해 분석하였다. 각 분획물을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20 ㎕ 를 취하고 100 ㎍의 protein을 함유하는 LDL 25 ㎕, 10 mM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115 ㎕를 혼합한 후 0.25 mM CuSO440 ㎕를 가해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20% TCA 1 ㎖를 가해 반응을 중단시켰다. 이 반응액을 혼합한 후 0.
  • 25 mM CuSO440 ㎕를 가해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20% TCA 1 ㎖를 가해 반응을 중단시켰다. 이 반응액을 혼합한 후 0.05 N NaOH에 녹인 0.67% TBA 1 ㎖을 가해 혼합하여 95℃에서 15 분간 가열하고 냉각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분리된 상등액 1 ㎖을 semi-micro cuvette에 분주하여 540 ㎚ 에서 생성된 malondialdehyde (MDA)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에 대한 저해율로서 결과를 나타내었다.
  •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털부처꽃 뿌리 용매별 분획물의 저해활성분석은 Takao 등의 방법 (1994)에 준해 실험하였다. 반응액은 99.9%의 에탄올에 녹인 2.51% linoleic acid 0.4 ㎖, 0.04M phosphate buffer (pH 7.0) 0.8 ㎖, 증류수 0.77 ㎖ 그리고 시료 0.03 ㎖로 조성하였으며 뚜껑을 한 후 40℃의 암소에서 반응시키면서 일정시간 후 0.1 ㎖을 취해 75% ethanol 2.7 ㎖, 30% ammonium thiocyanate 0.1 ㎖, 3.5% HCl에 녹인 0.02 M ferrous chloride 0.1 ㎖와 혼합한 후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산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는 반응액에 대해 용매만 첨가한 대조군의 흡광도에서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를 뺀 값을 대조군의 흡광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하여 산출하였다.
  • 1 ㎖와 혼합한 후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산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는 반응액에 대해 용매만 첨가한 대조군의 흡광도에서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를 뺀 값을 대조군의 흡광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하여 산출하였다.
  • 털부처꽃 뿌리의 각 분획물을 일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흰쥐 (Sprague Dawley, male, 각 실험군별로 6마리씩)에 150 ㎎/㎏/day의 용량으로 4일간 경구투여 (1회/일)하고 4일째에 사염화탄소 (1 ㎖/㎏)를 2 ㎖의 corn oil에 녹여 1회 복강주사하여 독성을 유발하였다. 사염화탄소 주사 24시간 후 에텔 마취 하에 흰쥐를 희생하여 채혈 및 간장 적출을 하였으며 적출된 간장은 중량을 기록하였다.
  • 털부처꽃 뿌리의 각 분획물을 일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흰쥐 (Sprague Dawley, male, 각 실험군별로 6마리씩)에 150 ㎎/㎏/day의 용량으로 4일간 경구투여 (1회/일)하고 4일째에 사염화탄소 (1 ㎖/㎏)를 2 ㎖의 corn oil에 녹여 1회 복강주사하여 독성을 유발하였다. 사염화탄소 주사 24시간 후 에텔 마취 하에 흰쥐를 희생하여 채혈 및 간장 적출을 하였으며 적출된 간장은 중량을 기록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혈청을 분리한 후 TNF-α 함량 분석에 사용하였고, 간장은 몇 차례의 원심분리를 통해 microsome 분획을 얻어 liver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활성을, cytosol 분획을 얻어 Cu, Zn-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과 glutathione-S-transferse (GST) 활성을, mitochondria 분획을 얻어 MnSOD 활성분석에 사용하였다.
  • 채취된 혈액은 혈청을 분리한 후 TNF-α 함량 분석에 사용하였고, 간장은 몇 차례의 원심분리를 통해 microsome 분획을 얻어 liver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활성을, cytosol 분획을 얻어 Cu, Zn-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과 glutathione-S-transferse (GST) 활성을, mitochondria 분획을 얻어 MnSOD 활성분석에 사용하였다.
  • 3 ㎖을 가해 뚜껑을 하고 shaking water bath에서 0 및 10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70% trichloroacetic acid 0.5 ㎖을 center tube 바깥에 가해 반응을 중단하고 상온에서 overnight diffusion한 후 center tube에 있는 내용물을 수거하여 semicarbazide에 결합된 acetaldehyde의 농도를 224 ㎚에서 광학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는 기지량의 acetaldehyde로 얻어진 standard curve를 얻어 산출한 후 1분간 1 ㎎ microsome protein에 의해 생성되는 acetaldehyde를 nmol로 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된 털부처꽃 뿌리는 경기도 수원시 소재 농촌진흥청 약용작물시험포장에서 증식한 것을 2004년 9월에 채취하여 작물과학원 소속 식물분류전문가에게 동정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건조시킨 털부처꽃 뿌리 3 ㎏을 분말로 만든 후 74℃에서 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추출물 (286.

데이터처리

  • **A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which are testified with one way ANOVA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f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which are testified with one way ANOVA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이러한 실험결과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program을 이용하여 p < 0.05의 수준에서 one way ANOVA test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이 검정하였다.
  • A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which are testified with one way ANOVA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which are testified with one way ANOVA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which are testified with one way ANOVA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이론/모형

  • 털부처꽃 뿌리 분획물의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 분석은 Blois (1958)의 원리에 준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시료 0.
  •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을 Miller 등 (1996)의 방법에 준해 분석하였다. 각 분획물을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20 ㎕ 를 취하고 100 ㎍의 protein을 함유하는 LDL 25 ㎕, 10 mM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115 ㎕를 혼합한 후 0.
  •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털부처꽃 뿌리 용매별 분획물의 저해활성분석은 Takao 등의 방법 (1994)에 준해 실험하였다. 반응액은 99.
  • Total phenol 함량은 Lee 등 (2004)의 방법에 따라 일정농도의 선발된 식물 추출물 100 ㎕, 2% Na2CO3 2 ㎖를 혼합하고 2분 후 50% Folin-Ciocalteau 시약 100 ㎕를 첨가하여 3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7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tannic acid를 표준물질로 한 검량선 (y = 0.0184x + 0.1431, R2= 0.9926)에 대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 또한, Cu,Zn-SOD는 Oh 등 (1992)과 Flohe'와 Ötting의 방법 (1984)에 준해 얻어진 total SOD의 활성에서 별도로 분석한 Mn-SOD 활성을 배제하여 얻었고 단위는 unit/㎎ protein으로 나타내었다.
  • GST 활성은 Habig 등 (1974)의 방법에 따라 liver cytosol 분획 100 ㎕를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 1,400 ㎕, 0.04 M 환원형 glutathione 75 ㎕와 함께 25℃에서 5분간 예비배양한 후 0.12 M 2,4-dinitrochlorobenzene (DNCB) 25 ㎕를 가해 다시 25℃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20% TCA 300 ㎕ 가해 반응 종결하고 1,500 ×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함량은 ELISA kit (Endogen ER3TNFA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MEOS 활성은 Liber와 DeCarli의 방법 (1970)으로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스트레스는 체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1995). 산화스트레스는 생체 안에서 에너지 생성에 사용되는 산소의 일부로부터 만들어진 활성산소에 기인하거나 자외선 혹은 약물에 기인하여 생기며 이를 제거하는 생체 내의 방어시스템과의 균형이 무너질 때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발병과 노화로 진행된다 (Frei, 1994; Forbes et al., 2008).
털부처꽃의 꽃 부위에는 어떤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털부처꽃 (Lythrum salicaria L.)은 좀부처꽃, 참부처꽃 및 털두렁꽃으로도 불리는 다년생 식물 (Lee, 1996)로서 전초와 뿌리가 약리작용을 가지는데 전초에는 salicarin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vitexin, orientin, malvin, cyanidin-3-monogalactoside, 몰식자산, ellagic acid, chloroge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Jung and Shin, 1990).
2009년에 밝혀진 털부처꽃의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6)를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는 식물부위가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내고 종자도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 (Humadi and Istudor, 2009; Borchardt et al., 2009)가 있었으며 본 연구팀에 의해 항산화 및 간섬유화 저해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Lee et al., 2009a;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tanlar N, Citoglu GS and Yilmaz BS. (2006). Antilisterial activity of some plants used in folk medicine. Pharmaceutical Biology. 44:91-94. 

  2. Becker H, Scher JM, Speakman JB and Zapp J. (2005). Bioactivity guided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Lythrum salicaria. Fitotherapia. 7:580-584.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0. 

  4. Borchardt JR, Wyse DL, Sheaffer CC, Kauppi KL, Fulcher RG, Ehlke NJ, Biesboer DD and Bey RF.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eed from plants of the Mississippi river basin.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3:707-718. 

  5. Bruck R, Shirin H, Aeed H, Matas Z, Hochman A, Pines M and Avni Y. (2001). Prevention of hepatic cirrhosis in rats by hydroxyl radical scavengers. Journal of Hepatology. 35:457-464. 

  6. Csonka C, Pataki T, Kovacs P, Muller SL, Schroeter ML, Tosaki A and Blasig IE. (2000). Effects of oxidative stress on the expression of antioxidative defense enzym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hearts. Free Radical Biological Medicine. 29:612-619. 

  7. Flohe' L and Otting F. (1984). Superoxide dismutase assays. In Methods in Enzymology, Vol. 105, Packer, L. (ed.), Academic Press, p. 93-105. 

  8. Forbes JM, Coughlan MT and Cooper ME. (2008). Oxidative stress as a major culprit in kidney disease in diabetes. Diabetes. 57:1446-1454. 

  9. Frei B. (1994).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cademic Press, Boston, Messachusets, USA. p. 25-55. 

  10. Habig WH, Pabst MJ and Jakoby WB. (1974). Glutathione-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forma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9:7130-7139. 

  11. Humadi SS and Istudor V. (2009). Lythrum salicaria (purple loosetrife) medicinal use,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its total phenolic compounds. Farmacia. 57:192-200. 

  12. Jeong HG, You HJ, Park SJ, Moon AR, Chung YC, Kang SK and Chun HK. (2002). Hepatoprotective effects of $18\beta$ - glycyrrhetinic acid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2E1 expression. Pharmacological Research. 46:221-227. 

  13. Jung BS and Shin MG. (1990). Hyangyak-Seangyak Great Encyclopedia. Young-Lim Publishing Co., Seoul. p. 730-731. 

  14. Lamela M, Cadavid I, Gato A and Calleja JM. (1985). Effects of Lythrum salicaria in normoglycemic ra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4:83-91. 

  15. Lamela M, Cadavid I and Calleja JM. (1986). Effects of Lythrum salicaria extracts on hyperglycemic rats and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153-160. 

  16. Lee SE, Kim YS, Kim JE, Bang JK and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321-327. 

  17. Lee SE, Park CG, Ahn YS, Son YD, Cha SW and Seong NS. (2009a).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thrum salicari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7. 

  18. Lee SE, Ahn TJ, Kim GS, Kim YO, Han HS, Seo JS, Chung HY, Park CB, Cha SW, Park HK and Seong NS. (2009b).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properties of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L. in $CCI_{4}$ -induced liver fibrosis rat mode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43-250. 

  19. Lee WC. (1996).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ublishing Company, Seoul. p. 748. 

  20. Liber CS and DeCarli LM. (1970). Hepatic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5:2505- 2512. 

  21. Miller CP, Jirkovsky I, Hayhurst DA and Adelman SJ. (1996). In vitro antioxidant effects of estrogens with a hindered 3-OH function on the copper-induced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Steroids. 61:305-308. 

  22. Oh MH, Chung HY, Yong HS, Kim KW, Chung HY, Oura H and Yokozawa T. (1992). Effects of ginsenoside $Rb_{2}$ on the antioxidants in SAM-R/1 mice. Korean Biochemical Journal. 25:492-497. 

  23. Rauha JP, Remes S, Heinonen M, Hopia A, Kahkonene M, Kujala T, Pihlaja K, Vuorela H and Vuorela P.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finnish plant extracts containing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56:3-12. 

  24. Solin ML, Ahola H, Haltia A, Ursini F, Montine T, Roveri A, Kerjaschki D and Holthofer H. (2001). Lipid peroxidation in human proteinuric disease. Kidney International. 59:481-487. 

  25. Takao TF, Kitatani N, Watanabe A and Yagi K. (1994). A simple screening method for antioxidants and isolation of several antioxidants produced by marine bacteria from fish and shell fish.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58: 1780-1783. 

  26. Tunalier Z, Kosar M, Kupeli E, Calis I and Baser KHC. (2007).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ctivities and composition of Lythrum salicaria L. extrac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0:539-547. 

  27. Vinson JA, Dabbagh YA, Serry MM and Jang J. (1995). Plant flavonoids, especially tea flavonoids, are powerful antioxidants using an in vitro oxidation model for heart diseas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13:2800-2802. 

  28. Wang T, Sun NL, Zhang WD, Li HL, Lu GC, Yuan BJ, Jiang H, She JH and Zhang C. (2008). Protective effects of dehydrocarvidine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ra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7:300-308. 

  29. Yoshida T, Mori K, Hatano T, Okumura T, Uehara I, Komagoe K, Fujita Y and Okud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xidation by tannin and flavonoids. v.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ical Pharmaceutical Bulletin. 37:1919-19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