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in Seoul in 2009. Sulfur dioxide in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onnier-Williams's modified method. A total of 1,821 samples of 205 different types of herbs were collected from Kyung-Dong Herb mark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건강 증진을 위한 한약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통 한약재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강화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국 한약재 소비물량의 7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경동약령시장과 각 자치구 소재에서 유통 중인 한약재에 대한 이산화황 잔류량을 측정하여 보다 품질 좋은 한약재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약의 생리활성에 관한 보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보다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위해 질병치료와 더불어 건강증진에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생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황버섯 발효식초의 항암활성 (Chung et al., 2010), 양마 잎의 항산화 활성 (Jin et al., 2010), 발효인삼의 항산화활성 (Doh et al., 2010)과 목향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효과 (Yoon et al., 2010) 등 생약의 생리활성에 관한 보고가 활발하여 생약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자생하는 식물에서 직접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공적으로 재배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장기간의 보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Kim et al.
한약재에 대한 이산화황 잔류량을 측정하는 연구에서 사용한 시약은 무엇인가? 분석에 사용된 absolute ethanol, hydrochloric acid, hydrogen peroxide 등은 특급제품을 사용하였고, 측정용 시약인 0.01N sodium hydroxide는 Wako (Japan) 제품을 사용하였다.
생약의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보다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위해 질병치료와 더불어 건강증진에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생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황버섯 발효식초의 항암활성 (Ch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ng BH, Seo HS, Kim HS, Woo SH and Cho YG.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fermentation vinegars with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13-117. 

  2. Doh ES, Chang JP, Lee KH and Seong NS. (2010).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255-265. 

  3. FAO/WHO. (1979). Guid to the safe use of food additives. 2nd series. 

  4. Han CH, Kim DG, Kwak JE, Han EJ, Jung SJ, Kim BS, Cho TH, Yoon YT, Park AS, Kim EJ, Jung SS, Lee JA, Cho SJ, Choi BH and Kim MY. (2008).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Report. 44:99-125. 

  5. Jin CW, Eom SH, Park HJ, Amal Kumar Ghimeray, Yu CY and Cho DH.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in different growth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1-25. 

  6. Jung SY, Kim IY, Kim SD, Jang MR, Chang MS and Han KY. (2003). Determination of sulfur dioxide in pickles by acid distillation-HPLC method and Monier-Williams modified method.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1028- 1032. 

  7. Kang KJ, Oh GO, Kim HI, Choi YH, Kim YJ and Chung YC. (2001). Naturally occurring of sulfur dioxide in medicinal herbs (crude drug materials) and its origi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3:514-520. 

  8. Kim BS, Park AS, Han CH, Kim DG, Shin Y, Kwak JE, Han EJ, Jung SJ, Hwang YS, Kim EJ, Jeang SS, Cho SJ, Choi BH and Kim MY. (2007).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Report. 43:208-225. 

  9. Kim CM, Song BJ and Na HS. (2000). Determination of sulfite contents in medicinal herb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9:375-379. 

  10. Kim MK, Hur MH, Lee CH, Jin JS, Jin SK and Lee YJ. (2000). Monitoring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9:375-379. 

  11. Kim MK, Hur MH, Lee CH, Jin JS, Jin SK and Lee YJ. (2004). Monitoring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5:276-282.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Korean Food Additives Code. MunYoungSa, Seoul.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5). National Standard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and Botanical) Materials.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7). Korean Food Code. MunYoungSa, Seoul. 

  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The Korean Pharmacopeia. 9th edition.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5). KFDA Notification No. 2005-44. 

  1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KFDA Notification No. 2008-3. 

  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KFDA Notification No. 2009-35. 

  1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KFDA Notification No. 2009-104. 

  20. Lee HG. (2005). Examination of natural sulfur dioxide in chinese herbal medicines. A KFDA Research Paper. p. 42. 

  21. Oh CH, Seo DW, Choi SN and Park JS. (2002). The study on amendment of $SO_{2}$ maximum residue limit for herbal medicine. The Annual Report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6:964. 

  22. Sin YM, Cho TY, Lee KS, Kim SH, Park HJ, Leem DG, Lee CH, Kim WS, Chae KR, Lee YJ and Choi SY. (2004). Studied on the contents of occuring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Market.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1109-1115. 

  23. Taylor SL, Higley NA and Bush RK. (1986). Sulfites in foods. Advances in Food Research. 30:1-8. 

  24. Yoon TS, Sung YY, Jang JY, Yang WK, Ji YU and Kim HK. (2010).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 from Saussurea lapp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51-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