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 Gamak Bay for a Period of Hypoxic Water Mass Disappearanc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6 no.3 = no.42, 2010년, pp.241 - 248  

김정배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박정임 (부산대학교 생물학과) ,  정춘구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최우정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용화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빈산소 수괴는 전세계적으로 얕은 연안의 바다에서 생태적으로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반도 남해동부연안의 가막만에서도 2007년 6월 말에 빈산소 현상이 나타났으며,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빈산소 수괴는 선소 인접지역에서 북서부 내만역의 연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표층수와 저층수의 용존산소 농도는 빈산소 수괴에서 $1.3mgL^{-1}$$2mgL^{-1}$ 이하, 그 외 지역은 각각 $4.5{\sim}6.8mgL^{-1}$$3.8{\sim}6.0mgL^{-1}$로 양호한 농도를 보였다. 빈산소 지역의 클로로필 a 농도는 표층 $4.9{\sim}25.3{\mu}gL^{-1}$, 중층이 $2.3{\sim}23.1{\mu}gL^{-1}$, 저층은 $1.9{\sim}9.0{\mu}gL^{-1}$ 범위였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발생은 3가지 수직적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선소 주변에서 빈산소 수괴가 전 수심 층에서 발생되면서 어 패류의 폐사가 일어났다. 두 번째는 일반적인 빈산소 수괴 발생 형태인 저층에서부터 빈산소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였다. 세 번째는 수온 역전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층에서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였고 저층에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조사정점 9, 14 및 21의 호도마을 인접지역 연안에서만 발생하였다. 빈산소 수역에서는 해저면에 주로 서식하는 문절망둑 무리들이 수면위로 올라와 산소 결핍에 따른 입 올림을 하였으며 게류 및 고둥류 등이 갯가로 올라오는 등 이상행동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폐사된 생물들은 주로 문절망둑으로서 3천 마리 정도였고, 게 및 고둥류 일부가 폐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oxic(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re a key threat to the ecosystem of shallow marine coastal areas worldwide. The phenomena of hypoxia occurred at Gamak Ba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late June 2007. In this pap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were surveyed for 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왔다. 본 연구는 가막만 내측일원의 빈산소 수괴 상습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빈산소 수괴의 소멸 시기에 있어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선소주변에서 빈산소 수괴가 전 수심 층에서 발생되면서 어 . 패류의 폐사가 일어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기상청 (2010), 날씨관측자료 Http://www.kma.go.kr/vveather /observationlcurrentweather.jsp on June 14. 

  2. 김정배, 이상용, 유준, 최양호, 정창수, 이필용(2006),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해양환경공학회지, 제9권, 제4호, pp. 216-224. 

  3. 김정배, 이상용, 정춘구, 정창수, 손상규(2007), 피조개 양식시 살포시기와 환경 특성의 연구, 양식학회지, 제 20 권, 제1호, pp. 31-40. 

  4.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2006), 가막만 표층퇴적 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9권, 제1호, pp. 1-13. 

  5. 문성용, 서호영, 최상덕, 정창수, 김숙양, 이영식 (2006), 가막만 동물플랑크톤의 수층 분포에 미치는 저산소화의 영향, 한국환경생물학회, 제24권, 제3호, pp. 240-247. 

  6. 박성은, 조규대, 홍철훈, 김동선, 조광우(1999), 가막만의 해수유동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제32 권, 제5호, pp. 674-679. 

  7. 신현출(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250-261 

  8. 이규형 (1992), 가막만의 해수유동 패턴,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28권, 제2호, pp. 117-131. 

  9. 이규형, 조규대(1990) , 가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제23, 제1호, pp. 25-39. 

  10. 이팔용(1993) , 원문만에서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계절적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제26, 제4호, pp. 392-400. 

  11. 오현택, 김다정, 이원찬, 정래홍, 홍석진, 강양순, 이용우, Charles Tilburg(2008), 제17권, 제 10호, pp. 1155-1167. 

  12.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12권, 제4호, pp. 287-304. 

  13. 윤상필, 김연정, 정래홍, 문창호, 홍석진, 이원찬, 박종수 (2008),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13권, 제1호, pp. 67-82. 

  14. 윤양호(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 크톤 군집의 변동특, 1.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동태와 적조원인생물,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제4권, 제4호, pp. 1-15 

  15. 윤양호 (2000)), 가막만 북서부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 공간적 분포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9권, pp. 34-47. 

  16. 윤종성 (1998), 연안역에서의 저층 변산소수의 용승현상 (청조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7권, 제3호, pp. 291--299. 

  17. 윤종성(1999), 성충수역에서 저층의 빈상소수의 혼합 및 용승현상에 관한 연구(II), 대한토목공학회, 제19권, 제 II-5호, pp. 575-593. 

  18. 임현식(1993), 진해만의 저서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국립수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11 

  19. 조은일, 박청길, 이석모(1996), 가막만의 환경용량 산정 (1)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기초생산력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제 29권, pp. 369-385. 

  20. 조현서, 유영석, 이규형 (1994), 가악만 수질 및 저질 환경 계절별 변동 특성, 여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제3권, pp. 21-34. 

  21. 최우정, 박청길, 이석모(1994), 진해만의 빈산소 수괴 형성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pp. 413-433. 

  22. 해양수산부(2001), 환경관리해역 시범해역관리 시행계획 수립연구, p. 275 

  23. 해양수산부(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p. 400. 

  24. Domenici, P., C. Lefrancois and A Shlngles(2007), Hypoxia and the antipredator behaviours of fishes. Phil Trans R Soc B 362, pp. 2105-2121. 

  25. Fujiwara, T., T. Takahashi, Y. Yamada, A Kaneko( 2000), Response of hypoxic water mass in Tokyo Bay to the variation in hydrographic condition outside of the bay. J. Oceanogr. Soc. Japan, Vol. 9, pp. 303-313. 

  26. Gray, J.S., R.S. Wu and Y. Y. Or(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rr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ment. Mar. Ecol.Prog. Ser., Vol. 9, pp. 249-279. 

  27. Hanazato, T.(1997), Development of low-oxygen layer in lake and its effect on zo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 Limnol., Vol. 30, pp. 500-511. 

  28. Hong, J-S.(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2, pp. 246-256. 

  29. Kirrrura, H.(2003), ?の物理環境-環境分析への 序說, p. 148. 

  30. Kimura, H. and M Izumi(1994), Effect of Oxygen Deficiency of the Sea Bottom on Environment of Bay, Fisheries Engineering, Vol. 31, pp. 41-45. 

  31. Kratrer, DL(1987), Dissolved oxygen and fish behavior. Env. BioI. Fish. Vol. 18, pp. 81-91. 

  32. Rabalais, N.N. and R.E. Tumer(2001), Hypoxia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Description, causes and change. p. 1-36. In: Rabalais NN and RE Turner (ed.) Coastal hypoxia: Consequences for living resources and ecosystems. Coastal Estuarine Studies, No. 58. Am Geophys. Union, Washington, DC, p. 463. 

  33. Rhichards, F.A(1965), Anoxic basins and Fijords. In: Chemical Oceanography, Vol. 1, Academic Press, 611-645. 

  34. Severdroop, H. U. M. W. Johnsen and R. H. Fleming(1942), The Oceans, Prentice-Hall, Inc., Englewood Oiffs, N. J., p. 1087. 

  35. Takahashi, T, H Nakata, K. Hirano, K Matsumi, M. lwataki, H. Yamaguchi and T. Kasuya(2009), Upwelling of oxygen-depIeted water(Sumishio) in Omura Bay Japan, J. Oceanogr., Vol. 65, pp. 113-120. 

  36. Vaquer-Sunyer, R. and C.M Duarte(2008), Thresholds of hypoxia of marine biodiversity, PNAS, Vol. 105, pp. 15452-154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