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내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내성유전자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mplicated Genes of E. coli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Cooked Food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5 no.3, 2010년, pp.220 - 225  

유영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무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경식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박선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정성국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내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식품접객업소(집단급식소 포함)의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 분석 및 위생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내성유전자와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도 알아보았다. 모두 1313건의 샘플 중 50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3.8%의 검출률을 보였다. 이중 육회 1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 O26 1건, 김밥에서 장병원성대장균 1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50건의 대장균중 50%가 16종의 항생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내성이 높게 나타난 항생제는 ampicillin(36%), amoxicillin/clavulanic acid(32%) 그리고 tetracycline(22%)의 순이었다. 이들의 내성유전자 분포는 TEM이 1건, tetB 4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bution of foodborne E. coli strains, antimicrobial resistant gen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have been carried out on E. coli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cooked foods distributed food in Seoul. Of total 1,313 samples, fifty samples(3.8%) were found E. coli that included one of the E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원성 대장균 역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가 증가하였고, 각종 질환의 원인균으로 작용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사용되던 항생제가 듣지 않아 새로운 계열의 항생제로 대체해서 치료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내성균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빠르게 전파될 수 있으며, 특히 현대사회는 전 세계가 1일 생활권이 가능하게 되고 식품오염에 의한 내성세균의 전파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음으로 식품에서 분리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조사 분석을 통하여 식품에서 유래하는 병원성 세균의 식품위생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east/과 aggR이 검출된 보고가 있었다23-28). 이처럼 EAEC 유전자는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있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유통되는 식품에서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내성률과 EAEC 를 비롯한 병원성 대장균의 유전자 분포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러나 실험 결과 EAEC 유전자는 한건도 검출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ristophr, J. L. M., and Alan, D. L. : Mortality by cause for eight regions of the world :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349, 1269-1276, (1997). 

  2. Flint, J. A., Van Duyhoven, Y. T., Angulo, F. J., and DeLong, S. M. : Estimating the burden of acute gastroenteritis, foodborne disease, and pathogens commonly transmitted by food: an international review, CID. 41, 698-704, (2005). 

  3. Scallan, E., Majowicz, S. H., Hall G., and Banerjee, A. : Prevalence of diarrhea in the community in Austria, Canada, Ireland, and the United States. Int. J. Epidemiol., 34, 454-460, (2005). 

  4. 국립보건연구원 : 수인성 식품매개성 감염병 감시망 운영: 2007년 사업 결과 및 2008년 사업계획서. 서울, (2008). 

  5. Dixon, B. : Antibiotics as growth promotors: risks and alternatives. ASM News, 66, 264-265, (2000). 

  6. Jack, A. H., Robert, G. A., and Carlos, F. A. : Do antibiotics maintain antibiotic resistance. Drug discovery today, 5, 5, 195-204, (2000). 

  7. McGowan, Jr. J. E. : Economic impac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Emerg. Infect. Dis., 7, 286-292 (2001). 

  8. Price, J., Ekleberry, A., and Grover, A. :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outcome of infection in patients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27, 2118-2124 (1999). 

  9. Cristina, S., Carmen, P., Fe, T., Laura, G., Adriana, M., M. Angeles, D., Miquel, P., Francisco, G., and Javier, A. : Clinical impact of imi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bloodstram infections. J. infect., 58, 285-290, (2009). 

  10. M. Sasaki, E. Hiyama, Y. Takesue, M. Kodaira, T. Sueda, and T. Yokoyama. : Clinical surveillance of surgical imi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in a Japanese hospital. J. Hosp. infect., 56, 111-118, (2004). 

  11. Takaji, F., Naomi, A., Giichi, S., Taeko, W., Yutaka, J., Isamu, Y., and Yoshinori, Y. : Susceptibil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clinical isolates in Japan to doripenem and other antipseudomonal agents. Int. J. Antimicrobial Agents, 34, 523-528, (2009). 

  12. E. Tumeo, H. G. Haore, I. Patry, X. Bertrand, M. Thouverez, and D. Talon. :Are antibiotic-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hospitalized patients recovered in the hospital effluents? Int. J. Hyg. Environ. Health, 211, 200-204, (2008). 

  13. R. Jung, D. N. Fish, M. D. Obritsch, and R. MacLaren. : Surveillance of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n an urban tertiary-care teaching hospital. J. Hospital infection, 57, 105-111, (2004). 

  14. 식품의약품안전청 : 항생제 내성균 검사 표준 시험법. 서울, pp. 30-46 (2005). 

  15. Cole, N. D. : Purification of plasmid and high molecular mass DNA using PEG-salt two-phase extraction. Biotechnique. 11, 1, 18-22 (1991). 

  16. Thi, T. H. V., James, C., Toni, C., T. T., and Peter, J. C. : Safety of raw meat and shellfish in Vietnam: An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isolations for antibiotics resistance and virulence genes. Int. J. Food Microbiol., 124, 217-223 (2008). 

  17. H., S., Kwak. : International trend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control at a food. Safe Food. 5, 1, pp. 20-26 (2010). 

  18. Paton AW., Ratcliff RM., Doyle RM., Seymour-Murray J., Davos D., Lanser JA., et al. : Molecular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hemolytic-uremic syndrome caused by ry-fermented sausage contaminated with Shiga-like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J. Clin. Microbiol., 34, 1622-7 (1996). 

  19. Schmidt H, Geitz C, Tarr PI, Frosch M, Karch H. : Non-O157:H7 pathogenic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phenotypic and genetic profiling of virulence traits and evidence for clonality. J. Infect. Dis., 179, 115-23 (1999). 

  20. McMaster C, Roch EA, Willshaw GA, Doherty A, Kinnear W, Cheasty T. : Verocyt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erotype O26:H11 outbreak in an Irish creche.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 430-2 (2001). 

  21. Tozzi AE, Caprioli A, Minelli F, Gianviti A, De Petris L, Edefonti A, et al. :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fections associated with hemolytic uremic syndrome, Italy, 1988-2000. Emerg. Infect. Dis., 9, 106-8 (2003). 

  22. 권기성, 황인균, 곽효선, 강윤숙, 고영호, 김미경, 한정아, 이근영, 조정화, 이지원, 김규헌, 이정수, 최윤정, 우건조 : 식품 중 식중독균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국가항생제내성 안전관리사업 연구보고서 제 4권, 서울. pp. 13-29 (2006). 

  23. M. A. Dow, I. Toth, A. Malik, M. Herpay, N. Nogrady, K. S. Ghenghesh, and B. Nagy. : Phenotypic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PEC) and enteroaggregative E. coli (EAEC) from diarrhoeal and nondiarrhoeal children in Libya. Comparative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29, 100-113 (2006). 

  24. Sarantuya, J., Nishi, J., Wakimoto, N., Erdene, S., Nataro, J. P., and Sheikh, J. : Typical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is the most prevalent pathotype among E. coli strains causing diarrhea in Mongolian children. J. Clin. Microbiol., 42, 133-9 (2004). 

  25. Zamboni, A., Fabbricotti, S. H., Fagundes-Neto, U., and Scaletsky I. C. :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virulence factors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fantile diarrhea in Brazil. J. Clin. Microbio., 42, 1058-1063 (2004). 

  26. Adachi, J. A., Mathewson, J. J., and Jiang, Z. D. : Enteric pathogens in Mexican sauces of popular restaurants in Guadalajara, Mexico, and Houston, Texas. Ann. Intern. Med., 136, 884-887 (2002). 

  27. David, B., Huang, M. D., Herbert, L., and Dupont, M. D. :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An Emerging pathogen in Children. Semin. Pediatr. Infect. Dis. 15, 271 (2004). 

  28. 권기성 : 식품 중 식중독균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KFDA. pp. 9-26 (2005). 

  29. 김영화: 해수 어류에서 분리된 Vibrio균의 tetracycline 내성 유전자 특성.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부산, pp. 22-2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