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부담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and the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5, 2010년, pp.423 - 435  

송은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신영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has been continually pointed out. A low benefit coverage rate inevitably cause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hich can be the cause of the transition to poverty and the persistence of poverty. This study was con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2006년과 2008년 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과부담 의료비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고 과부담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의료보장과 관련한 정책 수립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이 자료를 이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Kim과 Noh [21]의 연구에서는 빈곤 진입 후 1년 이내에 58.2%, 2년 이내에 79.8%가 빈곤에서 탈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Kim [20]의 연구에서는 1년간 빈곤 가구였던 경우 86.4%가 빈곤에서 탈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ok [24]의 연구에서는 빈곤가구의 53.2%가 빈곤에서 탈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u [22]의 연구에서는 58.0%가 1년 이내에 빈곤에서 탈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u [23]의 연구에서는 빈곤화율 7.7%, 빈곤 지속률 57.1%로 나타났으며, Kim [25]의 연구에서는 빈곤화율, 빈곤 지속률이 각각 21.5%, 18.7%로 나났다.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빈곤화와 빈곤 탈출이 매우 역동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연구에 사용한 빈곤기준, 빈곤기간의 제한 여부 등에 따라 그 비율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건강보장의 일차적인 기능은 무엇인가? 건강보장의 일차적인 기능은 건강상의 위험과 이로 인한 경제적 위험에서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나 [1], 한국의 건강보장 제도는 낮은 보장성으로 인해 그 기능을 충분히 하지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의 건강보장 제도 혹은 의료안전망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 낮은 보장성과 그로인한 높은 본인부담률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6].
한국의 건강보장 제도에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지적은 무엇인가? 건강보장의 일차적인 기능은 건강상의 위험과 이로 인한 경제적 위험에서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나 [1], 한국의 건강보장 제도는 낮은 보장성으로 인해 그 기능을 충분히 하지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의 건강보장 제도 혹은 의료안전망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 낮은 보장성과 그로인한 높은 본인부담률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CY. Theories of Health Security. Paju: Hanul Publishing Co.; 2009, p. 83-93, 554-578. (Korean) 

  2. Shin YJ. Health care safety net in Korea: issues and policy op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09; 155: 17-28. (Korean) 

  3. Shin YS, Shin HW, Hwang DK, Kim HI, Kim JS. Establishment of the Health Care Safety Net and Policy Task.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p. 53-60, 137-196. (Korean) 

  4. Kim CY, Lee JS, Kang GW, Kim YI. Magnitude of patient's cost-sharing for hospital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Adm 1999; 9(4): 1-14. (Korean) 

  5. Kim SG, Yu SH, Park WS, Chung WJ. Out-of-pocket health expenditures by non-elderly and elderly person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4): 408-414. (Korean) 

  6. Lim JH, Kim SG, Lee EM, Bae SY, Park JH, Choi KS, et al.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in Korean cancer patien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 40(2): 150-154. (Korean) 

  7. van Doorslaer E, O'Donnell O, Rannan-Eliya RP, Somanathan A, Adhikari SR, Garg CC, et al. Catastrophic payments for health care in Asia. Health Econ 2007; 16(11): 1159-1184. 

  8.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cited 2010 Feb 9]; 1(1):[1 screens]. Available from: http://www.oecdilibrary.org/content/book/health_glance-2009-en. 

  9. Suhrcke M, Rocco L, McKee M. Health: a Vital Investment for Economic Development in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Copenhagen: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2008, p. 49-84. 

  10. Xu K, Evans DB, Carrin G, Aguilar-Rivera AM, Musgrove P, Evans T. Protecting households from catastrophic health spending. Health Aff (Millwood) 2007; 26(4): 972-983. 

  11. Kawabata K, Xu K, Carrin G. Preventing impoverishment through protection again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Bull World Health Organ 2002; 80(8): 612. 

  12. Knaul FM, Arreola-Ornelas H, Mendez-Carniado O, Bryson-Cahn C, Barofsky J, Maguire R, et al. Evidence is good for your health system: policy reform to remedy catastrophic and impoverishing health spending in Mexico. Lancet 2006; 368(9549): 1828-1841. 

  13. Merlis M. Family Out-of-pocket Spending for Health Services: a Continuing Source of Financial Insecurity. New York: Commonwealth Fund; 2002. p. 4-12. 

  14. Somkotra T, Lagrada LP. Payments for health care and its effect on catastrophe and impoverishment: experience from the transition to Universal Coverage in Thailand. Soc Sci Med 2008; 67(12): 2027-2035. 

  15. Wagstaff A. Poverty and health sector inequalities. Bull World Health Organ 2002; 80(2): 97-105. 

  16. Wagstaff A, van Doorslaer E. Paying for Health Care: Quantifying Fairness, Catastrophe, and Impoverishment, with Applications to Vietnam, 1993-1998. Washington, DC: World Bank; 2001. p. 20-24. 

  17.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2000/2001: Attacking Pover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135-159.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8 : Primary Health Care Now More than Ever.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p. 23-35. 

  19. Lee WY. Equity in urban households' out-of-pocket payments for health care.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5; 15(1): 30-56. (Korean) 

  20. Kim ARM. A Study on Poverty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Focusing on Type of Househol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Seoul ; 2006. (Korean) 

  21. Kim KS, Noh HJ. An Empirical study of poverty exit and duration: life table analysis and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analysis. Soc Welf Policy 2009; 36(3): 185-212. (Korean) 

  22. Ku IH, Poverty dynamics in Korea: poverty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Korean J Soc Welf 2005; 57(2): 351-374. (Korean) 

  23. Ku I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oor and poverty transition in Korea: since the recent economic crisis. Korean J Soc Welf 2002; 48: 82-112. (Korean) 

  24. Seok SH. Testing for state dependence effects in poverty dynamics. Korean Soc Secur Stud 2007; 23(3): 79-99. (Korean) 

  25. Kim KS. The effect of income transfer on poverty rate. Korean J Soc Welf 2002; 48: 113-149. (Korean) 

  26. Huh SI. Changes in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Health Welf Policy Forum 2009; 149: 48-62. (Korean) 

  27. Kim HJ. Household medical expenditure burden of the poor. J Inst Soc Res 2008; 9(1): 229-254. (Korean) 

  28. Son SI. Factors Influen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Poor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Korean) 

  29. Xu K, Evans DB, Kawabata K, Zeramdini R, Klavus J, Murray CJ.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 multicountry analysis. Lancet 2003; 362(9378): 111-117. 

  30. Sun X, Jackson S, Carmichael G, Sleigh AC. Catastrophic medical payment and financial protection in rural China: evidence from the New Cooperative Medical Scheme in Shandong Province. Health Econ 2009; 18(1): 103-119. 

  31. Lee WY, Shin YJ.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mong income groups in urban households. Korean Soc Secur Stud 2005; 21(2): 105-133. (Korean) 

  32. Huh SI, Choi SJ, Kim CY. Income elasticity of household health expenditure and differences by income level.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7; 17(3): 50-67. (Korean) 

  33. Lee SY. A Study on inequity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medical care expenditure to income. Korean J Soc Welf Stud 1997; 10: 415-447. (Korean) 

  34. Kim TW, Yang SH, Choi HS, Kim MK, Woo SH, Park EY. 2009 Poverty Statistics Yearbook.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p. 7-14, 23-84. (Korean) 

  35. Lee BJ, Kang SK, Ku IH, Kim TS, An SH, Son BD, et al. An In-depth Study of 2006 Korea Welfare Panel Stud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p. 27-52. (Korean) 

  36. Kim MG, Kim TW. Poverty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Korean Soc Secur Stud 2004; 20(3): 173-200. (Korean) 

  37. Statistics Korea. Health insurance finance and coverage rate. e-national index [cited 2010 Feb 9]; 1(1):[1 screens]. Available from: URL: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2763. (Korean) 

  38.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p. 6. (Korean) 

  39. Shin YJ, Shon JI.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using the 1st and 2nd Korea Welfare Panel data-. Health Soc Welf Rev 2009; 29(1): 111-14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