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에 의한 당뇨병 진단 비교
A Comparison of Fasting Glucose and HbA1c for the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5, 2010년, pp.451 - 454  

윤우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신민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권순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경수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영훈 (전남대학교병원 광주전남지역 심뇌혈관센터) ,  남해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슬기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윤용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진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has recently recommended the HbA1c assay as one of four options for making the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with a cut-point of $\geq$ 6.5%. We compared the HbA1c assay and the fasting plasma glucose level for making the diagnosi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이상을 포함하는 새로운 당뇨병 진단기준을 제시하였다 [18].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당뇨병을 진단받은 적이 없는 지역사회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당뇨병 진단에서 당화혈색소 기준과 공복혈당 기준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 우리나라의 일부 지역사회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진단 기준과 새로운 진단기준 사이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앞으로 있을 새로운 진단기준에 의한 당뇨병 유병률 측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에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화혈색소란 무엇인가?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혈당 측정이 당화혈색소에 비해 정확하지 않고, 혈액 보관이나 해당작용으로 인한 측정오류 등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4,8,9]. 당화혈색소는1-3개월 동안의 혈당 수준을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10,11], 당뇨병 조절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측정 방법이 다양하고 측정값의 변이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12], 최근에 측정방법의 표준화에 있어 많은 개선이 있었고 [13,14], 공복혈당에 비해 측정값이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15].
당화혈색소는 측정 방법의 표준화되기 전에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가? 당화혈색소는1-3개월 동안의 혈당 수준을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10,11], 당뇨병 조절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측정 방법이 다양하고 측정값의 변이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12], 최근에 측정방법의 표준화에 있어 많은 개선이 있었고 [13,14], 공복혈당에 비해 측정값이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15]. 또한, 공복이 아닌 상태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며, 일부 연구에서는 공복혈당보다도 망막병증 등의 당뇨병 만성합병증과의 관련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16].
공복혈당을 이용한 진단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경구 포도당 유발 검사는 당뇨병 진단의 가장 확실한 당뇨병의 진단방법이지만, 비용이나 편리성 등의 문제로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여 [1], 공복 혈당 수치가 당뇨병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2]. 그러나, 공복혈당을 이용한 진단 방법의 경우 당뇨병의 초기 단계에서는 진단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3,4], 검사를 위해 공복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공복혈당에 의한 당뇨병 진단의 경우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제기 되어왔으며 [5], 공복혈당이 126 mg/dL 미만인 사람들에게서도 당뇨병 발생의 위험도가 높다는 보고가 있었다 [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creening for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Suppl 1): S11-S14. 

  2.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97; 20(7): 1183-1197. 

  3. Gimeno SG, Ferreira SR, Franco LJ, Iunes M. Comparison of glucose tolerance categories according to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tic criteria in a population-based study in Brazil. The Japanese-Brazilian Diabetes Study Group. Diabetes Care 1998; 21(11): 1889-1892. 

  4. Ko GT, Chan JC, Woo J, Cockram CS. Use of the 1997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tic criteria for diabetes in a Hong Kong Chinese opulation. Diabetes Care 1998; 21(12): 2094-2097. 

  5. Perry RC, Shankar RR, Fineberg N, McGill J, Baron AD, Early Diabetes Intervention Program (EDIP). HbA1c measurement improves the detection of type 2 diabetes in high-risk individuals with nondiagnostic levels of fasting plasma glucose: the Early Diabetes Intervention Program (EDIP). Diabetes Care 2001; 24(3): 465-471. 

  6. Nichols GA, Hillier TA, Brown JB. Normal fasting plasma glucos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diagnosis. Am J Med 2008; 121(6): 519-524. 

  7. Tirosh A, Shai I, Tekes-Manova D, Israeli E, Pereg D, Shochat T, et al. Normal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and type 2 diabetes in young men. N Engl J Med 2005; 353(14): 1454-1462. 

  8. Gambino R, Piscitelli J, Ackattupathil TA, Theriaulr JL, Andrin RD, Sanfillippo ML, et al. Acidification of blood is superior to sodium fluoride alone as an inhibitor of glycolysis. Clin Chem 2009; 55(5): 1019-1021. 

  9. Bruns DE, Knowler WC. Stabilization of glucose in blood samples: why it matters. Clin Chem 2009; 55(5): 850-852. 

  10. Nathan DM, Singer DE, Hurxthal K, Goodson JD. The clinical information value of the glycosylated hemoglobin assay. N Engl J Med 1984; 310(6): 341-346. 

  11. Goldstein DE. Is glycosylated hemoglobin clinically useful? N Engl J Med 1984; 310(6): 384-385. 

  12. Kilpatrick ES, Rumley AG, Dominiczak MH, Small M. Glycated haemoglobin values: problems in assessing blood glucose control in diabetes mellitus. BMJ 1994; 309(6960): 983-986. 

  13. Weykamp C, John WG, Mosca A, Hoshino T, Little R, Jeppsson JO, et al. The IFCC Reference Measurement System for HbA1c: a 6-year progress report. Clin Chem 2008; 54(2): 240-248. 

  14. Hoelzel W, Weykamp C, Jeppsson JO, Miedema K, Barr JR, Goodall I, et al. IFCC reference system for measurement of hemoglobin A1c in human blood and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scheme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weden: a method-comparison study. Clin Chem 2004; 50(1): 166-174. 

  15. Little RR, Rohifing CL, Tennill AL, Connolly S, Hanson S. Effects of sample storage conditions on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evaluation of five different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Diabetes Technol Ther 2007; 9(1): 36-42. 

  16. Tapp RJ, Tikellis G, Wong TY, Harper CA, Zimmet PZ, Shaw JE, et al. Longitudinal association of glucose metabolism with retinopathy: results from the Australian Diabetes Obesity and Lifestyle (AusDiab) study. Diabetes Care 2008; 31(7): 1349-1354. 

  17. Gillett MJ.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9; 32(7): 1327-1334. Clin Biochem Rev 2009; 30(4): 197-200. 

  1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10; 33(Suppl 1): S62-S69. 

  19. Carson AP, Reynolds K, Fonseca VA, Muntner P. Comparison of A1c and fasting glucose criteria to diagnose diabetes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010; 33(1): 95-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