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루탐산나트륨 첨가배지에서 재배된 새송이버섯의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3, 2010년, pp.277 - 282  

윤동연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박기문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재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송이 버섯 (Pleurotus eryngii) 재배배지에 글루탐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MSG)을 혼합 첨가하여 재배한 자실체의 아미노산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함량 변화, 그리고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송이버섯의 기능성 향상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MSG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등 아미노산은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histidin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등은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편 MSG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의 GABA함량은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MSG 6 g/bottle 첨가군에서 자실체내에 가장 높은 GABA함량 (1.18 mg/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에 MSG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지에 소량의 저렴한 MSG (~US $1/kg)를 첨가하면 아미노산 조성 및 항산화 작용 등 생리활성이 개선되는 고 기능성 새송이버섯 식품소재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and biological properties with the ethanol extract of fruiting bod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the sawdust compost mix (400 g sawdust plus 200 g rice bran) supplemented with various dosages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조미료’라고 불리어지는 저가의 MSG (~US $1/kg)를 새송이버섯 (Pleurotus eryngii) 배지에 첨가하여 재배가 완료되었을 때 자실체 내 아미노산 성분들이 어떻게 변화되며 그에 따른 특성 및 생리활성 변화들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연구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버섯을 개발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들의 소득 향상과 국내 생물 산업 발전에 기여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종류별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버섯은 또한 독특한 향과 맛을 갖고 있어 옛날부터 전통 음식으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약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4]. 예를 들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와 혈압 강화작용에는 영지버섯 (Ganoderma lucidum) [5]과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6] 등이 있으며, 항암 작용에는 왕송이버섯 (Tricholoma giganteum), 갓버섯 (Lepiota procera),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등의 추출물인 단백다당체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7]. 그리고 버섯은 영양학적으로는 섬유질과 단백질이 많고 지방이 적어 성인들의 다이어트를 위한 저칼로리 식품, 무공해 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기능성 식품은 무엇인가? 개념적으로 ‘기능성 식품’이란 인간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더디게 함으로써 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식품 성분 또는 그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이다 [1,2].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 안전청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의 생산량 및 매출액이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새송이버섯의 부위별 크기에 관한 특징은 어떠한가? 주로 유럽에서 프랑스와 독일, 중앙아시아,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북부 등지에서 자생하는 버섯이고 [8], 우리나라에는 1997년에 경남농업기술원에 의해 ‘새송이버섯 (Pleurotus eryngii)’이라고 명명되었으며, 농촌진흥청과 협동 연구에 의해 재배 보급되었다. 평균적으로 갓의 크기는 약 4∼5 cm이고, 대는 약 3∼10 cm, 담자포자는 약 8∼11 × 4∼5 μm정도로 알려져 있다 [9]. 새송이버섯은 소비성장이 가장 높아지길 기대하는 버섯이나 저장성이 낮고 수요와 공급이 잘 맞지 않아 가격이 낮아져 경쟁력이 저하되었으며 그로 인한 농가의 피해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chmidl, M. K. and T. P. Labuza (2000) Essentials of functional foods: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 USA. 

  2. Wildman, R. C. (2001) Handbook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CRC Press, New York, USA. 

  3. Hawlsworth, D. L. (2001) The tropical fungal biota. pp. 264-270, Cambridge University. 

  4. Lee, J. W., C. H. Chung, H. I. Jeong, and K. H. Lee (1990) Anticomplementary and antitumor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the mycelia of Lentinus edodes IY-105.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8: 571-577. 

  5. Kabir, Y., S. T. Kimura, J. Tomura, and J. Nutr (1998) Dietary effect of Ganoderma lucidum mushrooms on blood pressure and lipid leve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 Soc. Food Sci. Nutr. 27: 940-944. 

  6. Yamamura, Y. and K. W. Cochrane (1986) A selective inhibitor of myxoviruses from shiitake Mushroom. Science 9: 495-507. 

  7. Zhang, H., K. Kubok, H. Aoki, and N. Naba (1994) Anti-diabetic activities present in the fruiting body of Grifola frondosa (mitake). Biol. Pharm. Bull. 17: 1106-1110. 

  8. Zervakis, G. I. and G. K. Venturella (2001) Genetic polymorphism and taxonomic infrastructure of the Pleurotus eryngii species-complex as determined by RAPD analysis, isozyme profiles and ecomorphological characters. Microbiology 147: 3183-3194. 

  9. Zadrazil, F. (1974) The ecology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florida,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eryngii. Mushroom Sci. 9: 621-655. 

  1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1. Wang, S. Y., J. H. Wu, S. S. Cheng, C. P. Lo, H. N. Chang, L. F. Shyur, and S. T. Chang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alocedrus formosana leaf, bark, and heartwood. Journal of Wood Science 50: 422-426. 

  12. Gray J. I. and L. 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3. Kim, J. Y., K. D. Moon, S. D. Lee, S. H. Cho, H. I. Kang, S. T. Yee, and K. I. Seo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Kor. J. Food Preservation 11: 347-351. 

  14. Satya, N. and P. M. Nair (1990) Metabolism enzymology and possible roles of $\gamma$ -aminobutytrate in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9: 367-375. 

  15. Mody, I., Y. Dekoninck, T. S. Otis, and I. Soltesz (1994) Brin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16. Krogsgaard-Larsen, P. (1989) GABA receptors. In Receptor Phamacology and Function.: M. Williams, R. A. Glennon, and P. W. Timmermans (eds.). pp. 349- 383, Marcel Dekker Inc, New York. 

  17. Oh, S. H. and C. H. Oh (2004) Effect of geminated brown rice extract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J. Med. Food 7: 19-23. 

  18. Choe, C. S., E. S. Song, I. S. Kim, and M. H. Kang (2003) Antioxidative Activ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19. Kahl, R. and A. G. Hildebrandt (1986) Methodology for studying antioxidant activity and mechanisms of action of antioxidant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4: 1007-1014 

  20. Oh, J. K. and I. Y. Imm (2005) Effect of amino acids addition on stability and antioxidative property of anthocyanins. Kor. J. Food Sci. Technol. 37: 562-566. 

  21. Veena, P., S. Sangita, and P. Sandip (2009) Free radical scarvenging activity of Grangea maderaspatana. Pharmacognosy Magazine 15: 381-387. 

  22. Park, S. H., O. M. Kim, and I. W. Hyeon (1995) New synthetic medium for growth of mycelium of Pleurotus species. Kor. J. Mycology 23: 275-1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