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론적 이해의 탐색
Exploring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2, 2010년, pp.218 - 233  

이선경 (서울대학교) ,  유은정 (서울대학교) ,  최종림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한혜진 (군서고등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 지식과 지식 생성 과정으로서의 탐구 관점에서, 과학 교사가 지닌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현직 과학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개별 심층 면담과 수업 녹화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로서, 자료의 정합성과 일관성을 보여준 한 과학 교사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의 인식론적 이해로서, '과학적 사고를 통해 과학을 수행하는 과학자', '앎의 과정으로서 과학적 사고', '과학적 사고를 배우는 과학 학습자', '과학을 잘 이해한 사람으로서 과학 교사', '과학을 알아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다섯 개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전통적 강의 수업을 하는 중등 과학 교사가 체화한 지식으로서, 과학 지식 및 지식 생성 과정으로서의 탐구를 교수학습 측면에서 조명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육 및 과학 교사 교육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quiry as the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Thre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RC, 1996; 2000에 따르면 과학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과학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생들이 탐구를 통해 과학 지식을 이해하는 것과 탐구가 어떤 과정인지를 이해하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NRC, 1996; 2000). 이때 ‘과학 지식의 이해’ 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그 목적과 내용이 분명히 다루어져 있고, 따라서 교사에게도 그 목적과 내용이 분명해 보인다.
곽영순, 2006; 이선경 등, 2009; Kang, 2007에 따르면, 과학 교사의 지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때 과학교사의 지식은 과학을 가르치는 행위 즉, 교수실행과 중층으로 엮여 분리되지 않는 성격을 갖는다. 과학 교사의 지식은 개념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을 포함해서, 실행과 연관되어 묵시적이고 체화된 지식을 의미한다(곽영순, 2006; 이선경 등, 2009; Kang, 2007). 그런 의미에서, 과학교사의 지식 기반은 교육학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혹은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이라는 이름 하에, 그 내용이 과학교육과정, 학습자에 대한 이해,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의 여러 범주로 파악되어 왔다(정득실 등, 2007; Magnusson et al.
학교 과학에서 내용과 방법의 통합된 본질이 강조되지 않고 두 극단 중 하나만 반영하고 있는 예는? 즉, 내용과 방법의 통합된 본질에 반대하는 사람은 거의 없겠지만, 그 관계는 학교 과학에서 거의 강조되지 않았고 왕왕 두 극단 중 하나만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Haefner & Zembal-Saul, 2004). 예를 들면, 초등 과학은 과학의 과정 즉, 관찰, 가설설정, 실험 등의 과학의 과정 기능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등 과학은 지식이 생성되는 방법으로서의 탐구에는 주목하지 않고 과학 지식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영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26(4), 527-536. 

  2. 김미경, 김희백 (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65-578. 

  3.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4. 우종옥, 소원주 (1995). 과학인식론의 일부 주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49-362. 

  5.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현직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6.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7.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 (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8. 한혜진, 이선경, 김찬종, 이경호, 김희백, 오필석, 맹승호 (2009).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변화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22-42. 

  9.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9. 

  10. Haefner, L. A. & Zembal-Saul, C. (2004). Learning by doing?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developing understandings of scientific inquiry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3), 1653-1674. 

  11. Kang, N.-H. (2007).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eaching for conceptual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9), 1292-1317. 

  12. Lakin, S., & Wellington, J. (1994). Who will teach the' nature of science'?: Teachers'views of science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2), 175-190. 

  13.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14. Magnusson, S., Krajcik, J., & Bro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15. Meheut, M. & Psillos, D. (2004). Teachinglearning sequences: Aims and tools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5), 515-535.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19. Park, S. (2007). Teacher efficacy a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8), 743-754. 

  20.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21. Tasi, C.-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beliefs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22. Tsai, C.-C., & Liu, S.-Y. (2005).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epistemological views towar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3), 1621-1638. 

  23.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24.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25. Waters-Adams,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ractice: The influence of teachers'beliefs abou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8), 919-944. 

  26. Zeidler, D. L. & Lederman, N. G. (1989). The effects of teachers'language on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7), 771-783. 

  27. Zembal-Saul, C., Blumenfeld, P.C., & Krajcik, J.S. (2000). The influence of guided cycles of planning, teaching and reflection o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content represent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318-3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