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광역시 인구규모의 적정성 분석
Analyzing an Optimality of Urban Population Size for Metropolitan Ar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3 no.3, 2010년, pp.487 - 497  

박주형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최명섭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소득 및 지출함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7대 광역시의 인구규모가 적정 수준에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효용극대화 가계와 이윤극대화 생산자 문제의 균형인구를 완전경쟁조건으로부터 도출한 결과, 최적인구 규모는 도시의 기술수준 및 공공서비스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 도시의 인구규모 수준을 살펴보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은 과밀한 것으로 광주, 대전, 울산 등은 과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stimates theoretically optimal sizes of urban population for major metropolitan areas using an urban economy system with utility maximizing household, profit maximizing producer and government providing public goods. This finds that the optimal size of urban population is determined b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소득 및 지출함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7대 광역시의 인구규모가 적정 수준에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집적 경제의 주체인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 부문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인구 규모의 적정성을 논의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다음으로 가계부문에서 예산제약하의 효용극대화 문제를 고려하고자 한다. 가계의 효용은 일반재화(X)와 정부가 공급하는 공공서비스(G)의 함수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기 위해 Casetti(1997)가 제안한 확장형 모형(expansion method)을 활용하여 개별도시가 가지는 특성들을 회귀분석모형에 적용하고자 한다. 확장형 모형은 초기모형(initial model)을 설정한 이후 초기모형의 특정계수를 다른 상황변수(도시·지역적 고유한 특성변수)의 함수로 지정하고 최종모형(terminal model)로 확장하여 구축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최적도시인구규모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의 7대 광역시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소득 및 지출함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7대 광역시의 인구규모가 적정 수준에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집적 경제의 주체인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 부문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인구 규모의 적정성을 논의하도록 한다.
  • 또 다른 접근방식으로는 Kanemoto, Ohkawara and Suzuki(1996)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독창적으로 헨리 조지 이론(Henry George Theorem)을 적용하여 최적도시규모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집적에 따른 사회적편익을 차액지대로, 집적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피구보조금으로 설정하고 도시전체의 차액지대와 피구보조금이 일치하는 지점이 도시의 적정규모임을 주장하였다.
  • 대표적으로 Capello and Camagni(2000)는 기존의 최적도시규모에서 간과하고 있던 도시 간 네트워크의 효과를 분석모형에 적용하였다. 즉, 도시는 고립된 장소가 아닌 외부 도시와의 연결을 통한 유기적인 장소이기 때문에 아무리 작은 도시라도 외부네트워크를 통해 충분히 집적의 경제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 해당 연구의 논리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도시의 네트워크화 정도를 전화가입자수로 상정하는 등 모형의 현실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설명력과 유의성이 신뢰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가설 설정

  • 다음으로 가계부문에서 예산제약하의 효용극대화 문제를 고려하고자 한다. 가계의 효용은 일반재화(X)와 정부가 공급하는 공공서비스(G)의 함수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즉, 가계는 일정한 예산제약 하에서 많은 양의 재화(X)와 공공서비스(G)를 소비할수록 효용이 커지게 된다.
  • 따라서 이러한 집적에 따른 가계의 편익을 모형에 반영하였을 경우, 서울이 지나치게 과밀하다고 평가된 본 연구와는 다른 측면의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로 정부의 역할을 지나치게 제한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는 단순히 세금을 통해 공공재를 제공하는 주체로 설정하였으나 공공선택이론 등에서는 정부도 가계나 기업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제약 하에서 목적함수를 극대화 또는 극소화하는 적극적인 경제주체로서 분석을 수행한다.
  • 이러한 가정을 적용한 이유는 인구가 증가하게 되면 정보와 지식의 창출 및 확산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고, 가용노동자규모가 커지면서 고용의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중간재가 보다 다양해지면서 생산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구가 증가하게 되면 체증에 의해 교통비가 상승하고, 경쟁강도가 심화되는 등 생산자에게 집적의 불경제로 작용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형분석의 명료함을 위해 생산자는 집적의 경제만을 누리는 것으로 가정한다. 집적의 불경제는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도시의 가계부문이 부담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 위와 같은 효용함수 설정 하에서 도시의 가계가 지역 간 또는 도시 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열린 도시체계(open urban system)모형을 가정하도록 한다. 열린도시체계 모형 하에서는 가계는 특정한 목적효용수준(target utility level)을 달성하기 위해 도시간을 이동하므로, 가계의 효용극대화문제는 주어진 효용수준 #을 유지하면서 지출을 최소화하는 문제로 변형되게 되는데 쌍대성(Duality) 이론에 의해서 예산제약하의 효용극대화문제와 효용제약하의 지출극소화문제는 같게 된다.
  • 첫 번째 방법은 지대곡선(bid rent curve)을 활용하여 도시규모를 도출하는 것이다(Fujita, 1989). 해당 방식은 기본적으로 한 개의 점(point)상의 도시중심지(CBD)를 가진 원형의 도시를 상정하고, 모든 경제활동은 CBD에서 일어나고 도시거주자는 노동을 위해 거주지와 CBD 사이를 통근한다고 가정한다. CBD 근처의 지대는 통근과정에서 교통비용이 발생되어 높게 형성되므로 지대곡선은 중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할수록 하락하는 형태를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나친 군집은 어떤 부작용을 초래하는가? 도시경제학에서는 사람과 경제활동의 집적 현상을 중간투입재와 인력의 공유, 지식의 확산효과, 경쟁에 의한 혁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경제적 동기에서 찾는다(Duranton and Puga, 2004). 그러나 지나친 군집은 높은 지가를 유발하고 교통비용을 상승시키며 환경의 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이러한 집적의 경제와 불경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다면 도시의 적정 인구규모는 집적의 경제효과가 집적의 불경제 효과를 초과할 때 달성될 수 있다(Zheng, 1998).
도시경제학에서는 사람과 경제활동의 집적 현상을 어디서 찾는가? 도시경제학에서는 사람과 경제활동의 집적 현상을 중간투입재와 인력의 공유, 지식의 확산효과, 경쟁에 의한 혁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경제적 동기에서 찾는다(Duranton and Puga, 2004). 그러나 지나친 군집은 높은 지가를 유발하고 교통비용을 상승시키며 환경의 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