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살인사건 영향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Homicide Location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203 - 211  

이수창 (경운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공간적 특성에서 살인사건의 발생 원인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에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으로 주택 유형, 인종적 이질성, 거주 불안정성, 인구 과밀화, 상업지역, 청소년과 성인 초기 그리고 노인 인구비율을 선정하였다. 분석자료는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6년 국가통계포털, 17개 광역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공간오차모형(SEM)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택 유형 중 아파트, 인종적 이질성, 거주 불안정성, 인구 과밀화는 유의수준 0.01에서 그리고 주택 유형 중 다세대 주택은 유의수준 0.1에서 살인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주택 유형 중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상업지역, 거주민의 특성인 청소년과 성인 초기 그리고 노인 인구비율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비해 확장된 연구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살인사건의 원인에 관한 이해와 설명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향후 살인사건의 발생 원인을 사회행태적 측면과 사회구조적 측면을 결합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적지 않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ities on homicide based on spatial econometric model. It selects housing types, racial heterogeneity, residential instability, overcrowding, commercial area, rate of 15 to 29 ages, and rate of the elderly as variables for spatial ch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 발생한 살인 기수 및 미수 등을 포함한 살인사건에 관한 지역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229개 시군구를 조사하였지만, 살인사건의 경우 범죄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도 있어서 229개 시군구 모두를 표시하기보다는 이를 포괄하는 광역단위의 17개 시도로 살인사건에 관한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후)살인기수">살인 기수 및 미수 등을 포함한 살인사건에 관한 지역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229개 시군구를 조사하였지만, 살인사건의 경우 범죄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도 있어서 229개 시군구 모두를 표시하기보다는 이를 포괄하는 광역단위의 17개 시도로 살인사건에 관한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후)본연구는">본 연구는 거주 불안정을 측정하기 위해 전입 및 전출에 의한 유동인구 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 때문에, 이런 지역은 현재 경찰에서도 Hot Spot 지역으로 선정하고 집중적인 순찰을 통해 범죄 발생을 예방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밀집된 상업 시설의 측정지표로 숙박 및 음식업소 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공간회귀분석 실시 전, 본 연구는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OLS를 활용한 전통적 회귀분석은 공간이 지니고 있는 상관성 문제를 본 연구는 살인사건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감안하여 청소년 시기와 성인의 초기 시기인 15∼29세 비율과 최근 노인과 관련된 사건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노인인구 비율을 거주 주민의 특성 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 넷째, 인구가 밀접한 곳은 살인사건을 유발하기 용이한 곳인가? 인구가 밀접한 지역은 시대를 막론하고 각종 범죄 발생의 핵심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 과밀화의 측정지표로는 인구 밀도를 활용하고자 한다[7,13-22].
  • 본 연구는 환경범죄학적 차원에서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간 관련 선행연구에서 범죄 발생과 상관성이 있는 후)분석 결과를">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이 어떻게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주택 유형 중에서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이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간회귀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통계학적인 기준과 절차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 진단, 공간적 자기상관성 검정, 오차항의 비정규성과 이분산성 검정을 실시하여 공간회귀분석의 가능 여부를 확인할 것이다. 이후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이에 본 연구는 살인사건의 발생 원인에 대한 접근시각을 사회구조적 측면 특히 도시 공간적 특성에 두고 그 원인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그간 환경범죄학적 측면에서 범죄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들도 살인사건에는 연구적 관심이 적었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첫째, 살인사건이 발생하기 용이한 거주 유형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서 살인사건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 거주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거주 유형 즉 주택 유형은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으로 구분되고 있 한편, 분석결과를 토대로 살인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단개발 차원에서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아파트와 다세대주택과 같은

    가설 설정

    • 넷째, 인구가 밀접한 곳은 살인사건을 유발하기 용이한 곳인가? 인구가 밀접한 지역은 시대를 막론하고 각종 범죄 발생의 핵심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 과밀화의 측정지표로는 셋째, 거주의 불안정이 살인을 유발하는가? 거주가 불안정한 사람들은 도시를 표류하는 사람들로 범죄 발생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다. 때문에, 거주 불안정은 대표적인 범죄 발생 관련 첫째, 살인사건이 발생하기 용이한 거주 유형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서 살인사건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 거주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거주 유형 즉 주택 유형은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으로 구분되고 있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oDa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인 R과 GeoDa을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GeoDa은 공간가중행렬을 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회귀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통계학적인 기준과 절차가 요구된다.
살인사건의 원인은 무엇인가? 즉, 살인사건의 동기, 범죄장소와 같은 환경적 요소, 범죄자와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성에 대한 강박, 원한적 인간관계, 심리적 정서, 돈·재산·약물·알콜 등 살인의 원인도 매우 다양하다[9].
OLS를 활용한 전통적 회귀분석이 가진 한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OLS를 활용한 전통적 회귀분석은 공간이 지니고 있는 상관성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공간적 상관성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계량경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H. Lee. (2005). Criminal Psychology. Parkyoungsa. 

  2. H. J. Lee. (2008).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Homicide and Effective Investigation Measures. The Police Science Journal, 3(2), 35-62. 

  3. H. M. Park. (2003). A Study on Criminal Homicide in Korea(II).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4. Y. H. Lee. (2005). Criminology. Parkyoungsa. 

  5. M. Gold. (1958). Suicide, Homicide and the Socialization of Aggress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3, 651-661. 

  6. J. S. Cheong & E. G. Hwang. (2010). A Macro-Level Study on the Cause of Homicide Rate: Nationwide Analysis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22(1), 157-184. 

  7. J. S. Cheong. (2014).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omicide of Seoul. Seoul Studies, 15(1), 101-118. 

  8. J. B. Lee. (2017). A Study on Cassification of Offenc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Special Sentencing Factors in Crimes of Homicide Sentencing Guideline. Hongik Law Review, 18, 227-251. 

  9. A. R. Roberts & K. M. Zgoba & S. M. Shahidullah. (2007). Recidivism among Four types of Homicide Offenders: An Exploratory Anlaysis of 336 Homicide Offenders in New Jersey.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2, 493-507. 

  10. I. Y. Kwon & W. S. You & S. W.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henomenon and Murder Crime.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8(4), 1-7. 

  11. S. G. Jung. (2015). A Study on the Needs and Supports of Victims after Violent Crime Incidents. Journal of Korean Criminology Association, 9(2), 103-149. 

  12. C. K. Kim & I. J. Kang & D. H. Park. (2014) Analysis of the Five Major Crime Utilizing the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with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3), 71-77. 

  13. S. C. Lee. (2018). Characteristics of Crime Locations Using Spatial Econometrics Model.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17(3), 119-144. 

  14. D. H. Lee & S. B. Yoon & J. S. Kim. (2015). Analysis of the Crime Pattern and Influencing Factors b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2), 259-276. 

  15. S. Akins. & R. G. Rumbaut. & R. Stansfield. (2009). Immigration, Economic Disadvantage and Homicide: A Community-Level Analysis of Austin, Texas. Homicide Studies, 13(3), 307-314. 

  16. R. Martinez. & J. I. Jr. Stowell & M. T. Lee. (2010). Immigration and Crime in an Era of Transformation: A Longitudinal Analysis of Homicides in San Diego Neighborhoods, 1980-2000. Criminology, 48(3), 797-829. 

  17. D. Immergluck & G. Smith. (2006). The Impact of Single-Family Mortgage Foreclosures on Neighborhood Crime. Housing Studies, 21(6), 851-866. 

  18. B. Teasdale & L. Clark & J. Hinkle. (2012). Subprime Lending Foreclosures, Crime, and Neighborhood Disorganization: Beyond Internal Dynamics.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7(2), 163-178. 

  19. C. M. Kat & D. Wallace. & E. C. Hedberg. (2012).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Foreclosure on Neighborhood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50(3), 359-389. 

  20. L. J. Siegel. (2003). Criminology. Wadsworth: A Division of Thomson Learning, Inc. 

  21. K. S. Jeong & T. H. Moon & J. H. Jeong & S. Y. Heo. (2009).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1), 12-25. 

  22. H. J. Kim & S. W. Lee. (2011). Determinants of 5 Major Crim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pplication of Mixed GWR Mode. Seoul Studies, 12(4), 137-155. 

  23. H. M. Kim & D. W. Lee. (2001). Criminology. Chongmok. 

  24. J. F. Jr. Short & I. F. Nye. (1958). Extent of Undetected Delinquency, Tentative Conclusions. Journal of Criminal Law and Police Science, 49, 296-302. 

  25. T. Hirschi & M. Gofftredson. (1983). Age and the Explanation of Crim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9, 552-584. 

  26. D. Cressey. (2009). Theft of the Na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s of Organized Crime in America. Taylor & Francis. 

  27. S. J. Park & C. K. Kim. (2009). A Study on the Counterplan of the Elder's Crimes for Old People in an Aging Societies.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5(2), 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