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나물의 저장 중 온도변이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5 no.3, 2010년, pp.220 - 225  

전승호 (경상대학교 농학과) ,  이세훈 (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영주 (경상대학교 농학과) ,  오세윤 (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경문 (경상대학교 농학과) ,  정종일 (경상대학교 농학과)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콩나물용 플라스틱 필름봉지(OPP+PE)에 포장되어 유통되는 콩나물을 냉장고 온도인 $3^{\circ}C$와 대형 마트의 진열대 온도인 $13^{\circ}C$로 저장한 콩나물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유통 기간 중 콩나물의 품질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필름 봉지에 포장된 콩나물은 냉장 온도인 $3^{\circ}C$에 비해 마트 진열대 온도인 $13^{\circ}C$에서 세근의 발생수가 많았으며, 하배축과 뿌리의 길이도 더 길어졌으며, 수분함량과 생체중에서도 $13^{\circ}C$에서 더 늘어났다. 경도 조사에서는 $13^{\circ}C$에서 경도 값의 증가로 하배축이 질겨졌으며, 색도 조사에서도 $3^{\circ}C$의 자엽과 하배축에서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13^{\circ}C$에서는 하배축은 갈색으로 변하고, 자엽은 푸르게 변하였다. 2. 자엽과 하배축의 환원당 함량변화에서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저장 기간 3일차부터 $13^{\circ}C$ 저장조건에서 하배축에서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3. 유리당의 성분 중에서는 galactose와 fructose의 함량이 높았고, 유리당 함량의 변화는 $3^{\circ}C$에 비해서 $13^{\circ}C$에서 더욱 민감하게 나타났으며, galactose와 fructose의 함량은 2~3배정도 증가하였다. 4.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도 $13^{\circ}C$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저장 3일차부터 변화의 폭이 크게 조사되었다. 5. 조단백질의 함량 변화에서는 30.9~35.4%로 증가하였으며, $13^{\circ}C$에서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6. PPO 활성에서는 $3^{\circ}C$에서는 4일차부터 크게 증가하여 저장 9일차에서 계속 증가되었으나, $13^{\circ}C$에서는 저장 1일차부터 PPO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저장 7일 차부터는 더 이상의 증가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bean sprouts produced at optimal temperature are placed or displayed for several days in market shelf of relatively cool temperature (ca. $13^{\circ}C$). During this period a number of changes occur including changes in color, smell, taste, nutritional quality, etc. In order to investi...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brahamsen, M. and T. W. Sudia. 1996. Studies on the soluble carbohydrate and carbohydrate precursors in germination soybean seed. Am. J. Bot. 53 : 108-114.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 Bae, K. G., S. W. Nam, K. N. Kim, and Y. H. Hwang. 2004. Difference in freshness of soybean sprouts as affected by $CO_{2}$ concentration and postharvest storage temperature. Kor. J. Crop Sci. 49 : 172-178. 

  4. Cho, K. S., Y. H. Kim, and Y. S. Lee. 2006. Characterization of off-flavors from film-packed soybean sprouts. Kor. J. Crop Sci. 51 : 220-226. 

  5. Chung, H. Y. and G. J. Lee. 1995. Changes i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phenol concentration and browning degree of potato slices with different cultivars during cold storage. Kor J. Diet. Culture 10 : 89-95. 

  6. Eskin, N. A. M. 1990. Biochemistry of foods. 2nd Ed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557 p. 

  7. Joslyn, M. A. and J. D. Ponting. 1955. Enzyme-catalyzed oxidative browning of fruits products. Adv. Food Res. 3 : 1-44. 

  8. Kim, S. D., S. H. Kim, and E. H. Hong. 1993.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s and its nutritional value. Korean Soybean Dig. 6 : 1-9. 

  9. Lee Y. S. and C. O. Rhee. 1999. Changes of free sugars, lipoxygenase activity and effects of chitosan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Kor. J. Food Sci. Tech. 31 : 115-121. 

  10. 2004Lee, Y. S., and Y. H. Kim. 2004. Changes in postharvest respiration, growth,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unde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Kor. J. Crop Sci. 49 : 410-414. 

  11. Lee, Y. S., Y. H. Kim, and S. B. Kim. 2005. Changes in the respiration, growth,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in response to chitosan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HortSci. 40 : 1333-1335. 

  12. Park, I. K., and S. D. Kim. 2003.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chitosan-treated soybean sprouts. J. Chitin Chitosan. 8 : 105-110. 

  13. Park, M. H., D. C. Kim, B. S. Kim, and B. Nahmgoong. 1995. Studies on pollution-free soybean sprout production and circulation market improvement. Korean Soybean Dig. 12 : 51-67. 

  14.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 426-426. 

  15. Moore, S. and W. H. Stein. 1954. A modified ninhydrin reagent for the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J. Biol. Chem. 212 : 907-913. 

  16. Valverde, C. V., C. M. Valverde, and J. Herranz. 1984.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 in yogurts by HPLC. J. Dairy Sci. 67 : 759-7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