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공용기를 이용한 포장두부의 개봉 후 저장성 연장
Effects of Vacuum Container on the Storability of Leftover Tofu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1 = no.203, 2009년, pp.11 - 15  

이지윤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장시훈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이윤석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박수일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봉 후 남은 두부의 보관에 이용되는 용기 및 저장방법에 따른 두부의 저장성을 평가하고자, 진공용기, 밀폐용기, 그리고 두부제조사의 두부 포장용 트레이를 이용하였다. 냉장온도($5^{\circ}C$)에서는 진공용기를 적용하였을 때 미생물 생장을 일부 억제한 반면, 상온($25^{\circ}C$)에서는 용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온도 상승에 의한 미생물 생육이 진공을 적용함으로 억제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부의 색도 변화는 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어 침지에 의해 색변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5^{\circ}C$에 저장한 두부 침지액의 pH는 진공용기에서는 15일째까지 초기값을 유지하였으며 밀폐용기 및 트레이는 각각 12일 및 9일 이후 감소하여 진공용기와 차이를 보였다. 상온 저장에서는 12시간 이후 침지액의 pH 및 탁도 변화가 모든 용기에서 급격히 일어나 두부의 보관수명이 12시간을 넘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ercial tofu was cut and re-packed in a vacuum container, an airtight container and an open tofu tray in an effort to assess the effects of vacuum containers on the shelf life of leftover tofu. The re-packed tofu were stored at $5^{\circ}C$ and $25^{\circ}C$ for the enum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진공조건에서도 포장형태가 유지되는 경질포장을 이용할 경우, 적용 가능한 식품 종류의 제한이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공조건에서의 두부의 품질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개봉 후 남은 두부를 진공용기, 밀폐용기 및 구입시 두부포장에 이용된 제조사의 두부용기에 보관하면서 미생물, 색상, pH 및 탁도의 변화 등을 5℃와 25℃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 구입한 두부는 4등분(50 × 50 × 40 mm)으로 절단되었다. 무균 조건을 이루기 위해 두부 절단용 칼과 도마는 가압멸균기(HST-506-6, Hanbaek Co. Ltd, Bucheon, Korea)를 이용하여 살균하였고, 절단은 무균작업대(HB-402V, Hanbaek Co. Ltd.) 안에서 이루어졌다. 두부의 저장용기로는 진공용기(1 L, Φ125 × 130 mm, LOCK & LOCK, Seoul, Korea)와 밀폐용기(1 L, 125×85×100mm, LOCK & LOCK)가 이용되었고, 대조구로는 시판된 포장두부가 밀봉되어있던 플라스틱 트레이와 덮개필름이 재사용되었다.
  • 진공용기와 밀폐용기 본체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었다. 무균 조건하에서 절단된 두부를 3종류의 저장용기에 각각 위치시키고 침지액으로 수돗물 350 mL를 추가적인 처리 없이 사용하였다. 진공 용기에 두부와 수돗물을 침지시켜 밀봉한 후 소형 진공펌프 (HSS251, LOCK & LOCK)를 이용하여 진공을 형성하였다.
  • 본 연구는 개봉 후 남은 두부의 보관에 이용되는 용기 및 저장방법에 따른 두부의 저장성을 평가하고자, 진공용기, 밀폐용기, 그리고 두부제조사의 두부 포장용 트레이를 이용하였다. 냉장온도(5℃)에서는 진공용기를 적용하였을 때 미생물 생장을 일부 억제한 반면, 상온(25℃)에서는 용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 재포장한 두부는 5 ± 1℃에서 15일 동안 냉장고(SR-3734, Samsung, Seoul, Korea)에 저장하였고, 또한 항온항습기(HST-105MG, Hanbaek Co. Ltd.)를 이용하여 25℃, 50% RH에서 30시간 동안 저장하며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 저장 중 두부 침지액의 pH는 pH meter(PH 510, Entech Instrument Inc, Simi Valley, CA, USA)를 이용하여 침지액을 직접 측정하였다. 탁도는 UV/VIS spectrophotometer(Optizen 2120UV, Mecasys Co.
  • 저장 중 두부 침지액의 총균수는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Sparks, MD, USA)를 이용하였으며, 대장균군수는 desoxycholate agar(Difco Laboratori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침지액 1 mL를 취해 0.
  • 진공 용기에 두부와 수돗물을 침지시켜 밀봉한 후 소형 진공펌프 (HSS251, LOCK & LOCK)를 이용하여 진공을 형성하였다. 저장 중진공용기의 진공도를 확인하기 위해 진공용기 뚜껑에 진공 게이지를 부착하여 진공도 유지 상태를 점검하였고, 진공도는 190 mmHg로 유지되었다. 사각밀폐용기는 두부와 침지액을 담고 뚜껑으로 밀폐하였고, 대조구인 트레이는 두부와 수돗물을 넣은 후 덮개필름이 열리지 않게 클립으로 고정시켜서 보관하였다.
  • 진공 용기에 두부와 수돗물을 침지시켜 밀봉한 후 소형 진공펌프 (HSS251, LOCK & LOCK)를 이용하여 진공을 형성하였다.
  • Ltd,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측정하였다. 침지액의 퍼센트 투과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로 탁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두부는 대형 할인마트에서 당일 출고되어 판매하는 부침용 두부(Chongga 420 g, Daesang FNF, Seoul, Kore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두부의 저장용기로는 진공용기(1 L, Φ125 × 130 mm, LOCK & LOCK, Seoul, Korea)와 밀폐용기(1 L, 125×85×100mm, LOCK & LOCK)가 이용되었고, 대조구로는 시판된 포장두부가 밀봉되어있던 플라스틱 트레이와 덮개필름이 재사용되었다.
  • 세척된 각 저장용기는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건조하여 이용하였다. 진공용기와 밀폐용기 본체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었다. 무균 조건하에서 절단된 두부를 3종류의 저장용기에 각각 위치시키고 침지액으로 수돗물 350 mL를 추가적인 처리 없이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1)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각 측정치의 결과는 SAS program(SAS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처리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 <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공포장이란? 진공포장은 포장 내부의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주요 부패 미생물인 호기성균의 증식과 지방산화를 지연시켜서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포장방법이다(11). 돈육(11-13), 우육(14,15), 해산물(16), 김치(17,18), 건조제품(19), 청국장(20), 가정배달급식(21), 및 가루차(22) 등이 진공포장에 의해 유통기한 연장이 보고된 대표적인 식품이다.
두부는 어떤 기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및 저장 시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두부는 콩의 대표적인 가공품으로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우수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그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어, 앞으로 더욱 각광받는 웰빙식품으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부는 80% 이상의 수분, 미생물 생육에 용이한 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어 유통 및 저장 시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1). 이러한 두부의 열악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냉장온도(5℃)에서는 진공용기를 적용하였을 때 미생물 생장을 일부 억제한 반면, 상온(25℃)에서는 용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냉장온도(5℃)에서는 진공용기를 적용하였을 때 미생물 생장을 일부 억제한 반면, 상온(25℃)에서는 용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온도 상승에 의한 미생물 생육이 진공을 적용함으로 억제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부의 색도 변화는 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어 침지에 의해 색변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ang SH, Lee YW, Oh WT.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packed tofu. J. Food. Hyg. Saf. 13:383-387 (1998) 

  2. Park KN, Park LY, Kim DC, Park GS, Lee SH.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Korean J. Food Preserv. 14: 136-141 (2007) 

  3. Lee SJ, Chung ES,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Korean J. Soc. Food Cook. Sci. 22: 825-831 (2006) 

  4. Chun KH, Kim BY, Hahm YT. Extension of tofu shelf-life with water soluble degraded chitosan as a coagulant. J. Korean Soc.Food Sci. Nutr. 28: 161-166 (1999) 

  5. Lee MY, Kim SD. Shelf-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calcium lact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12-419 (2004) 

  6. Jung JY, Cho EJ.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level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Korean J. Soc. Food Cook. Sci. 18:129-135 (2002) 

  7. Kim SS, Park MK, Oh NS, Kim DC, Han MS, In MJ.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 (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12-15 (2003) 

  8. Park LY, Lee SH. Effect of immersion in chitosan solutions on shelf life of tofu. J. Chtin Chitosan 12: 128-132 (2007) 

  9. Park SJ, Park KJ, Jeong SW, Kim SJ, Youn KS. Effect of pediocin treatment on soybean curd qualit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131-135 (2007) 

  10. Han MR, Kim MH. Effects of alkaline ionic water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dded immersion solution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eaf soybean curd. J. Korean Soc. Appl. Biol. Chem.49: 108-113 (2006) 

  11. Ko MS, Yang JB. Effects of wrap and vacuum packaging on shelf life of chilled pork. Korean J. Food Nutr. 14: 255-262 (2001) 

  12. Kang SM, Lee SK.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roma of M. longissimus from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modern genotype pigs during vacuum packaged-chilling. Korean J. Food Preserv. 14: 247-255 (2007) 

  13. Yang JB, Ko MS, Moon YH. Effects of vacuum packaging on lipid oxidation and meat color of chilled pork. Korean J. Food Nutr. 15: 1-6 (2002) 

  14. Zarate JR, Zaritzky NE. Production of weep in packaged refrigerated beef. J. Food Sci. 50: 155-159 (1985) 

  15. Seideman SC, Carpenter ZL, Smith GC, Hoke KE. Effect of degree of vacuum and length of storage beef wholesale cuts. J. Food Sci. 41: 732-737 (1976) 

  16. Kim SM. The effects of vacuum and nitrogen packages on the shelf-life of boiled scallop[Patinopecten yessoensis(Ja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932-936 (1996) 

  17. Shin DH, Kim MS, Han JS, Lin DK.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bottled vacuum packed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27-136 (1996) 

  18. Hong SI, Park JS, Park NH.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1995) 

  19.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Paik HD, Kim CJ.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tick type restructured jerk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290-298 (2007) 

  20. Kim DM, Kim SH, Lee JM, Kim JE, Kang SC.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132-139 (2005) 

  21. Kim HY, Ryu SH. Changes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home-delivered meals for elderly as affected by packaging methods and storage conditions 2.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 241-253 (2003) 

  22. Park JH, Bac CN, Kim YO, Choi HK. Effect of packing methods on green powder tea quality during storage at cold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12: 1-7 (2005) 

  23. Jang WY, Kim BY, Shin DH.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n soybean curd stored in the solution of different salt concentration. Agric. Chem. Biotechnol. 38: 135-140 (1995) 

  24. Lee KS, Kim DH, Beak SH, Choun SH. Effect of coagulants and soaking solutions of tofu (soybean cured) on extending its shelf lif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116-122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