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tiff Elbow 원문보기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13 no.2, 2010년, pp.299 - 303  

문영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남기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는 효과적이지만 술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종설의 목적은 주관절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 방식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주관절 강직의 경우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연부 조직 및 골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주두, 구상 돌기의 골극과 유리체의 제거는 합병증의 빈도는 낮고 좋은 결과를 보장한다. 결과 및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에서는 구축된 조직을 절제하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수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anagement of the stiff elbow by arthroscopic procedure is an effective but technically demanding. Our purpose was to review the specific arthroscopic maneuver which can be useful for the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 stiff elbow that is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하지만 주관절 강직이 있는 경우는 15% 정도만이 정상 관절 용적을 갖고 있고 대부분 관절 용적이 감소되어 신경 및 혈관의 손상 위험도가 높다1). 관절이 팽창되면 술자에 따라 전내측, 전외측, 근위내측 및 중외측 삽입구 등 필요한 삽입구를 만들어 수술을 시행한다. 척골 신경이나 후방 골간 신경에 반흔 조직이 존재하는 경우 관절경 술식을 시행하기에 앞서 소절개를 가하여 Penrose 배액관 등을 이용하여 관절경의 조작 중에 생기는 신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외측 삽입구를 통해 20~30 ml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관절낭을 팽창시켜 삽입구와 근접한 신경 및 혈관을 보호하도록 한다. 하지만 주관절 강직이 있는 경우는 15% 정도만이 정상 관절 용적을 갖고 있고 대부분 관절 용적이 감소되어 신경 및 혈관의 손상 위험도가 높다1).
  • 술 후 처치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정립된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술을 마치면 환자의 주관절을 신전, 회외 상태로 부목 고정을 하고 24시간 유지한 후 수술 다음날부터 3주 동안 수술장에서 얻었던 관절운동 범위만큼 지속성 수동적 운동 (continuous passive motion)과 야간 부목 (night splint)을 시행한 후 다음 3주간 능동적 관절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한다. 물리치료는 하루에 1~2회 정도 술 후 6주간하고 환자로 하여금 가벼운 일상생활은 3주에서 8주 사이에 복귀하도록 한다.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방 관절낭 유리술, 후방 관절낭 유리술, 주두 골극 제거술 (Fig. 1), 구상돌기 골극 제거술 (Fig. 2), 유리체 제거술, 주두와 천공술 (Fig. 3) 등을 시행한다. 굴곡 구축에 대한 전방 관절낭 유리술은 관절경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때문에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주관절 강직은 비교적 흔히 관찰되는 질환으로 인접한 견관절 및 완관절과는 달리 인접관절의 보상운동이 부족한 곳으로 적절한 일상생활을 영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운동 범위는 100도 (30~130도)이다1). 이러한 주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충분한 힘과 운동 범위를 가진 동통 없는 관절이 요구된다.
내인성 강직은 무엇을 동반하는가?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주관절 강직 환자들은 내인성 강직과 외인성 강직이 혼합된 형태가 많다. 많은 수의 외인성 강직에서 관절내 유착이 동반되어 있고, 대부분의 내인성 강직은 관절내 혈종이나 외상에 의해 관절낭 구축 또는 외상후 관절 섬유화 (posttraumatic capsular fibrosis)를 동반한다. 따라서 주된 원인이 되는 병변에 따라 그 분류가 이루어져야 한다6).
주관절 강직을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와 원인에 따라 분류하면 어떻게 나타나는가? Morrey5)는 주관절 강직을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와 원인에 따라 2가지로 분류하였다. 내인성 강직 (intrinsic contracture)은 퇴행성 골극 (Fig. 1), 박리성 골연골염 (osteochondritis dissecans), 관절면 불일치 (articular incongruity), 관절내 연골 유리체, 관절내 이물질, 관절내 유착, 그리고 활액막염 등 관절내 병변에 의한 것이다. 그 빈도가 조금 더 흔한 외인성 강직 (extrinsic contracture)은 외상으로 인한 관절낭, 측부인대, 근육 그리고 피부 등의 구축에 의한 것이다. 또 다른 외인성 강직의 원인으로는 관절의 골성 가교 연결 (bony bridge)이다. 신경외과적 두부 손상이 있는 환자에 있어 이소성 골형성이 흔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rews JR, Carson WG: Arthroscopy of the elbow. Arthroscopy, 1: 97-107, 1985. 

  2. Frank K. Noojin MD, Felix H. Savoie III MD, Larry D. Field MD: Arthroscopic release of the stiff elbow. Tech Shoulder Elbow Surg, 2: 17-25, 2001. 

  3. Gallay SH, Richards RR, O’Driscoll SW: Intraarticular capacity and compliance of stiff and normal elbows. Arthroscopy, 9: 9-13, 1993. 

  4. Haapaniemi T, Berggren M, Adolfsson L: Complete transection of the median and radial nerves during arthroscopic release of post-traumatic elbow contracture. Arthroscopy, 15: 784-787, 1999. 

  5. Jeon IH, Kim PT: Elbow stiffness. J Korea Shoulder Elbow Soc, 8: 75-80, 2005. 

  6. Jones GS, Savoie FH, 3rd: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of flexion contractures (arthrofibrosis) of the elbow. Arthroscopy, 9: 277-283, 1993. 

  7. Kim SJ, Kim HK, Lee JW: Arthroscopy for limitation of motion of the elbow. Arthroscopy, 11: 680-683, 1995. 

  8. Morrey BF: Post-traumatic contracture of the elbow. Operative treatment, including distraction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Am, 72: 601-618, 1990. 

  9. O’Driscoll SW, Morrey BF: Arthroscopy of the elbow. Diagnostic and therapeutic benefits and hazards. J Bone Joint Surg Am, 74: 84-94, 1992. 

  10. Poehling GG, Whipple TL, Sisco L, Goldman B: Elbow arthroscopy: a new technique. Arthroscopy, 5: 222-224, 1989. 

  11. Ruch DS, Poehling GG: Anterior interosseus nerve injury following elbow arthroscopy. Arthroscopy, 13: 756-758, 1997. 

  12. Vardakas DG, Varitimidis SE, Goebel F, Vogt MT, Sotereanos DG: Evaluating and treating the stiff elbow. Hand Clin, 18: 77-85, vi, 2002. 

  13. Wada T, Ishii S, Usui M, Miyano S: The medial approach for operative release of post-traumatic contracture of the elbow. J Bone Joint Surg Br, 82: 68-7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