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용 레이저 선택가공 금속체의 도재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 관찰
Evaluation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Process Step of Fused Porcelain to SLM Metho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2, 2010년, pp.236 - 242  

김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  정인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미보철의 금속-도재관은 금속소재의 하부구조에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제작된다. 최근 새로운 기술인 SLM법을 이용하여 하부구조를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도재관의 하부구조를 주조법과 SLM법으로 제작하고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도재소성단계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변화를 측색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재의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는 불투명도재 소성한 시편군(CN1, CC1, CT1, SC1, ST1)이 몸체도재소성 시편군(CN2, CC2, CT2, SC2, ST2)과 광택소성 시편군(CN3, CC3, CT3, SC3, ST3)과 색차(${\Delta}E$=30이상)를 나타냈다(p<0.05). 그리고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관찰은 주조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CN, CC, CT)와 SLM법을 제작된 하부구조(SC, ST)간의 색차(${\Delta}E$=1.5이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재의 소성단계에서는 몸체도재소성에서 색조가 표현되며, SLM법으로 제작된 금속-도재관의 색조는 임상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rcelain fused metal was made through the progressive fused process of porcelain on substructure of metal material. The substructure was made using novel SLM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olor change of porcelain using spectrophotometer equipment according to porcel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도재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 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며, 새로운 기술인 SLM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의 금속-도재관의 색조평가에 관한 연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도재의 소성 단계에 따른 색조변화와 SLM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의 금속-도재관의 색조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금속-도재관의 도재소성 단계에 따른 색조변화와 SLM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의 금속-도재관의 색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을 위해 하부구조를 주조법과 SLM법으로 제작하고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을 실시하여 도재소성단계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금속-도재관의 도재소성 단계에 따른 색조 변화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변화를 분석하였다. 도재의 소성 단계에 따른 색조를 분석한 결과 금속의 색조를 감소하는 1단계 불투명도재를 기반으로 2단계 몸체도재에서 금속-도재관의 색조가 표현하고자 하는 색조에 가까운 색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금속-도재관의 하부구조를 주조법과 SLM법으로 제작하고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도재소성단계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도재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관찰로 금속-도재관 색조에 영향을 미치는 소성단계에 대하여 분석가능하며, 새로운 기술인 SLM법으로 제작된 금속-도재관의 색조평가분석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속-도재관의 특징은? 금속-도재관은 금속소재의 하부구조에 도재를 소성 결합하여 제작되어지며, 금속구조에 의한 지지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초기의 금속-도재관은 금속의 색조로 인하여 부자연스러운 색조를 보여 심미성이 부족하였다[2].
전부도재관의 한계점은? 심미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과보철은 전부도재관과 금속-도재관이 있다. 전부도재관은 심미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늘고 있으나 기계적 특성의 문제로 적용범위가 한정적이다. 그래서 전부도재관에 비하여 심미성이 다소 부족하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도재관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1].
레이저 선택용융가공법은 어떤 기술인가? 그리고 최근 개발된 레이저를 이용한 선택용융법을 적용하여 하부구조를 제작하는 레이저 선택용융가공(Selective Laser Melting, SLM)법이 소개되었다. SLM법은 기존의 금속가공산업에서 사용하는 쾌속 조형기술의 하나로 금속분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층하는 방법으로 3차원 형상의 구조를 가공하는 기술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류소영, 임주환, 조인호, “도재전장주조관에 사용되는 도재의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8, No.1, pp.73-84, 2000. 

  2. S. F. Rosentil, M. F. Land, and J. Fujimoto,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Mosby Co., p.392, 1988. 

  3. 이명호, 전영찬, “내부금속관 형태에 따른 도재전장금관의 파절강도와 도재색조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0, No.1, pp.103-124, 1992. 

  4. M. E. Razzoog, B. R. Lang, M. M. Russell, K. B. May, "A comparison of the color stability of conventional and titanium dental porcelain," J Prosthet Dent, Vol.72, No.5, pp.453-456, 1994. 

  5. 김웅철, 이병기, 이태정, 김치영, 치과도재기공학, 신흥인터내셔날, 1997. 

  6. 송용억, “레이저를 이용한 금속 시제품의 쾌속조형 기술현황” 대한용접접합학회, Vol.17, No.3, pp.8-12, 1999. 

  7. S. J. Chu, and D. P. Tarnow, "Digital Shade analysis and verification," Pract Proced Aesthet Dent, Vol.13, No.2, pp.129-136, 2001. 

  8. 김이경, “수종 도재 색조 선택 시스템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색조 재현성 평가”, 단국대학교대학원, 치의학석사학위논문, 2003. 

  9. 이승희, 티타늄 표면 코팅 후 색상이 도재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5. 

  10. 백은주, 배태성, 송광엽, 박찬운, “도재수복물의 온도에 따른 색조안정성과 표면조도의 평가”,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29, No.3, pp.87-99, 1991. 

  11. J. L. Shotwell, and M. E. A. Razzog, “Color stability of long-term soft denture liners,” J prosthet Dent, Vol.68, pp.836-383, 1992. 

  12. M. Eldiwany and K. H. Fridel, "Color stability of light-cured and post-cured composites," Am J Dent, Vol.8, pp.179-181, 1995. 

  13. W. J. O'Brien, C. L. Groh, and K. M. Boenke, "A new, small-color-difference equation for dental shades," J Dent Res, Vol.69, pp.1762-1764, 1990. 

  14. W. T. Wozniak, "Proposed guidelines for the acceptance program for dental shade guides," American dental association, Chicago, pp.1-2,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