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우성의 이중적 의미에 대한 해석
DECIPHERING THE DOUBLE MEANINGS OF THE COWHERD STAR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25 no.4, 2010년, pp.129 - 139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  김동빈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송두종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wherd Star and the Weaving Maid Star have been famous stars in East Asian countries. Nowadays Altair is defined to be the Cowherd Star in public materials including science books, mass media, public outreach programs, and movies played in public planetariums and science museums. However, in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일치가 생긴 이유를 조명해본다. 먼저 고대의 문학 작품과 민속학 관련 문헌 등에 언급된 견우성은 어떤 별인지 살펴보고,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에 실려 있는 견우의 엄폐를 관측한 기록들을 조사하여 한국사에서 천문학자들은 어느 별자리를 견우라고 보아 왔으며 또 어느 별을 견우성이라고 보아왔는지 알아본다. 이러한 두 가지 부문에서 바라보는 견우(牽牛)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그 차이점이 생긴 까닭에 대해 근세 천문학사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핀 다음, 마지막으로 현대에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고찰해 본다.
  • 본 논문에서는 이 경우에 달과 견우성(β Cap)의 최근접 각거리를 구하여 실현 양상을 살펴본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일치가 생긴 이유를 조명해본다. 먼저 고대의 문학 작품과 민속학 관련 문헌 등에 언급된 견우성은 어떤 별인지 살펴보고,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에 실려 있는 견우의 엄폐를 관측한 기록들을 조사하여 한국사에서 천문학자들은 어느 별자리를 견우라고 보아 왔으며 또 어느 별을 견우성이라고 보아왔는지 알아본다.
  • 옛 천문학자들이 어느 별들을 견우로 보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고려와 조선의 역사서에서 달 또는 행성이 견우(牽牛)에 접근한 기록을 골라 현대 천문학의 방법으로 그 기록들을 검증하였다. 달이나 금성이 견우나 견우를 이루는 구성별에 가까이 다가간 기록은 『고려사』 「천문지」에 17건, 『조선왕조실록』에 8건, 『승정원일기』에 6건이 기록되어 있다.
  • 먼저 고대의 문학 작품과 민속학 관련 문헌 등에 언급된 견우성은 어떤 별인지 살펴보고,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에 실려 있는 견우의 엄폐를 관측한 기록들을 조사하여 한국사에서 천문학자들은 어느 별자리를 견우라고 보아 왔으며 또 어느 별을 견우성이라고 보아왔는지 알아본다. 이러한 두 가지 부문에서 바라보는 견우(牽牛)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그 차이점이 생긴 까닭에 대해 근세 천문학사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핀 다음, 마지막으로 현대에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고찰해 본다.
  • 이제 각각의 종류별로 천체력 계산의 결과를 살펴보자. 먼저 ‘月犯牽牛’ 현상은 달이 견우(牽牛) 즉 우수(牛宿)라는 별자리를 침범했다는 것이다.
  • 지금까지 우리는 옛 문인들의 글에 나타난 견우와 천문관측 기록에 나타난 견우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 문제를 분석해 보았다. 고대로부터 시인묵객들은 견우(牽牛)라고 하면 대개 견우성(牽牛星)이라 하나의 별로 인식하였으며, 그 별은 하고(河鼓)라는 세개의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의 중앙에 위치한 하고대성(河鼓大星) 즉 알테어(Altair, α Aql)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의 대중 천문서에서 무엇을 견우성으로 이야기해왔는가? 그런데 현대의 대중 천문서들은 하나같이 독수리자리의 1등성 알테어(α Aql)를 견우성으로 이야기해 왔다. 이러한 인식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출간된 대중 천문 서적7)으로부터 시작하여, 대중적 인기를 끈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이태형, 1989)에 이르러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견우직녀설화는 어떠한 설화인가? 여름철 별들인 견우성과 직녀성은 민속과 문학의 소재로서 동아시아 사람들에게는 매우 익숙한 별들이다. 견우성과 직녀성이 등장하는 견우직녀설화는 중국 문화권에 속하는 세 나라인 한국, 중국, 일본이 공유하는 설화이다. 견우와 직녀의 사랑 이야기가 얽혀 있는 두 별은 세시풍속과 연관되어 있어서 한국인이라면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옛 문인들의 글에 나타난 견우와 천문관측 기록에 나타난 견우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세 가지 사항은 무엇인가? 우리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제안한다: ⑴ 민속학이나 문학과 같이 대중과 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즉 대중천문학 부문에서는 알테어(Altair)를 견우성으로 소개하는 것이 역사성을 살리는 것이지만, 고천문학 연구 등의 학술적인 의미가 있는 경우에는 다비(Dabih)가 견우중성(牽牛中星) 또는 견우대성(牽牛大星)으로 호칭됨을 명시하자. 예를 들어, 천문학 용어집에 ‘다비(Dabih)’ 항목을 추가하여 이 별이 옛 천문 관측 기록에 부합하는 견우대성(牽牛大星)임을 명시하자는 것이다. ⑵ 천문학회의 『천문학용어집』을 따라 Altair(α Aql)를 ‘알타이르’로 표기하지 말고 ‘알테어’로 표기하자. 아울러, ‘Dabih’의 한글 명칭을 사람에 따라 ‘다비’ 또는 ‘다비흐’로 제각기 다르게 발음하는데, Rumrill(1936)과 SPACE.com의 Stars Pronunciation Guide의 발음 표준안(각각 ‘Dä′bē’, ‘DAA-bee’)에 따라 ‘다비’로 통일할 것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곽영직, 김충섭, 1998, CD-ROM과 함께 가는 별자리 여행, 사이언스북스 

  2. 김록순 등, 2005, 현대천문학 강좌, 한국천문연구원 

  3. 김상구, 1998, 아빠 별이 살아 있어요, 가람기획 

  4. 김성수, 1985, 천체사진강좌, 전파과학사 

  5. 김지현, 이한주, 1997, 밤하늘로 가는 길, 현암사 

  6. 나일성, 1987, 새 천문학, 정음사 

  7. 문교부 과학기술용어 제정위원회, 1960, 천문학.기상학 용어집,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 민중서림 편집부, 2006,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9. 박석재, 1995, 재미있는 천문학 여행, 김영사 

  10. 성주덕 편저, 서운관지, 이면우, 허윤섭, 박권수 역주, 2003, 소명출판 

  11. 안상현, 1996, 한국과학사학회지, 18, 3 

  12. 안상현, 2000,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별자리, 현암사 

  13. 안상현, 박종우, 2004, 한국우주과학회지, 21, 505 

  14. 안상현, 2005, 한국사 탐험대 4: 과학, 주니어김영사 

  15. 이광식, 1999, 아빠 별자리 보러 가요, 가람기획 

  16.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17. 이익,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7, 국역 성호사설 I, 민족문화문고간행회, pp.175-177 

  18. 이인환, 1995, 심심풀이로 읽는 별, 김영사 

  19. 이태형, 1989,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 김영사 

  20. 이태형, 1993, 쉽게 찾는 우리 별자리, 현암사 

  21. 이충구, 임재완, 김병헌, 성당제, 2004, 이아주소3, 소명출판 

  22. 전용훈, 2000, 물구나무 과학, 문학과지성사 

  23.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6, 과학기술용어집, 천풍인쇄주식회사 

  24. 한국천문학회, 2000, 천문학 용어집,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5. 한보식, 2001, 韓國年曆大典, 영남대학교출판부 

  26. 현정준, 1978, 별.은하.우주, 전파과학사 

  27. 大崎正次, 1987, 中國の星座の歷史, 雄山閣 

  28. 新城新藏, 1927, 宇宙大觀, 岩波書店, pp.27-28 

  29. 新城新藏, 1928, 東洋天文學史硏究, 弘文堂, pp.206-207 

  30. 潘?, 2009, 中國恒星觀測史, 學林出版社 

  31. 渡?敏夫, 1987, 近世日本天文學史(下), 恒星社厚生閣 

  32. Hoffleit, D. & Jaschek, C., 1982, Yale Bright Star Catalog (New Haven: Yale University Observatory) 

  33. Meeus, J., 1998, Astronomical Algorithms (Richmond: Willmann-Bell, Inc.) 

  34. Rumrill, H. B., 1936, PASP, 48, 139 

  35. Standish, E. M., Newhall, X. X., Williams, J. G., & Folkner, W. M., 1996, JPL Planetary and Lunar Ephemerides on CD-ROM (Richmond: Willmann-Be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