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5 no.4, 2010년, pp.370 - 382  

이명숙 (목포 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임현자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연령별(전기노인, 후기노인)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건강증진 행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연령별 관련요인을 고려한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6월 22일 부터 9월 18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C도 1개 군 14개면에 거주하는 재가농촌 노인으로서 전기노인 359명, 후기노인 197명 총 5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사회 심리적 변수, 건강증진 행위를 직접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chi^2$-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전기노인 69.43세, 후기노인 79.14세였으며,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빈도차이를 보인 항목은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동거 세대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서 건강검진 유무, 만성 질환 수,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있는 변수들에 대하여 연령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 점수는 전기노인이, 일동활동장애 점수는 후기노인에서 더 높았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효능감은 전기노인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연령별(전기, 후기) 건강증진행위 차이에 있어서 전기노인은 2.75점 후기노인은 2.67점으로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더 높았다.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하위 항목별 실천정도는 전기노인은 건강책임, 대인관계, 영양, 자아실현, 운동, 스트레스관리 순이었고, 후기노인은 대인관계, 건강책임, 영양, 자아실현, 스트레스관리, 운동 순으로 두 집단 간 순위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과 건강책임의 하위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에서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자기효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상 활동 장애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전기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삶의 질, 자기효능, 배우자 유무, 동거 가족 수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 되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자기효능감 등 투입된 변수들로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42.2%의 설명할 수 있었고, 후기노인은 삶의 질만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고, 투입된 변수들로 37.9%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농촌지역 노인을 연령별 두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농촌지역 노인들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두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건강증진행위수행 관련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증진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령별 관련요인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접근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in rural elderly(young-old vs old-old).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ne 22th to Sep. 18th, 2009. A total of 556 elderly aged 65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연령에 따라 전기노인(65-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 두 집단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들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노인들을 위한 건강증진사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연령별(전기노인, 후기노인)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건강증진 행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연령별 관련요인을 고려한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을 연령별로 파악하여 농촌지역 노인에게 보다 효율적인 중재 방안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수행되어야 할 중요한 생활습관으로써 건강증진행위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측정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전기 노인(65-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농촌노인들의 건강증진 향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지역이 겪는 문제는 무엇인가? 농촌지역은 도시지역보다 고령화가 높게 나타나 고령자에 대한 정책개발 및 시행이 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7], 농촌 노인들은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농촌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나이가 들어서도 과중한 노동을 감당해야 하고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 도와줄 인력이 없어져서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꾸려나가야 하므로 노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된다. 따라서 농촌 노인이 독립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노인 스스로가 주체적 건강관리 의식을 가지고 건강을 직접 관리하는 다양한 건강 증진 접근방법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6].
농촌지역 노인의 연령별(전기노인, 후기노인)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전기노인 69.43세, 후기노인 79.14세였으며,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빈도차이를 보인 항목은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동거 세대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서 건강 검진 유무, 만성 질환 수,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있는 변수들에 대하여 연령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 점수는 전기노인이, 일동활동장애 점수는 후기노인에서 더 높았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효능감은 전기노인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연령별(전기, 후기) 건강증진행위 차이에 있어서 전기노인은 2.75점 후기노인은 2.67점으로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더 높았다.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하위 항목별 실천정도는 전기노인은 건강책임, 대인관계, 영양, 자아실현, 운동, 스트레스관리 순이었고, 후기노인은 대인관계, 건강책임, 영양, 자아실현, 스트레스관리, 운동 순으로 두 집단 간 순위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과 건강책임의 하위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에서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자기효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상 활동 장애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전기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삶의 질, 자기효능, 배우자 유무, 동거 가족 수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 되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자기효능감 등 투입된 변수들로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42.2%의 설명할 수 있었고, 후기노인은 삶의 질만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고, 투입된 변수들로 37.9%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농촌지역 노인을 연령별 두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상황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증가속도가 매우 빨라서 2018년 14.3%, 2026년 20.8%로 초 고령사회를 맞게 되는데 이런 고령화는 농촌지역에서 더욱 심각하여 2005년 현재 농촌지역은 고령화 비율이 이미 25%를 초과하여 초 고령화 사회에 도달해 있다[1]. 이처럼 고령화 진전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 만성질병 중심의 질병구조 변화 등으로 노인 건강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6, May).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2005-2050 based on the 2005 census. Retrieved September 4, 2008, from http://www.kosis.kr/search/ totalSearch2.jsp 

  2. An JY, Tak YR.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1):72-83 (Korean) 

  3. Kim HJ, Kim JH, Park YH.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0;12(4):573-582 (Korean) 

  4. Pender NJ, Walker SN, Sechist KR, Frank-Stromborg M. Predi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1990;39(6):326-332 

  5. Sung MS, Song BS (2004).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rural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4;11(1): 82-91 (Korean) 

  6. Park JS, Oh YJ. The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rural elderl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5): 943-954 (Korean) 

  7. Lee GO. A structural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factors of rural elders.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Korean) 

  8. Kim MH, Shin KR, Kang MS, Kang I. A study of successful aging experience of korean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4;24(2):79-95 (Korean) 

  9. Lee IJ.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younger old and the older old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99;19:35-50 (Korean) 

  10. Charlotte E. Gerontological Nursing(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1. Choi YH.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young and old.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1;12(2):428-436 (Korean) 

  12. Aldwin CM, Sutton KJ, Chiara G, Spiro A. Age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and appraisal: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3rd 1996;51(4):179-188 

  13. Burns N, Grove SK.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and utilization.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1987. 

  14. Lawtone MP, Moss M, Fulcomer M, Kleban M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al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1982;37(1): 91-99 

  15. Lee MS.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4;16(1):17-26 (Korean) 

  16. Jette AM.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An empirical approach.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80;61(2): 85-89. 

  17. Roh YJ.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88 (Korean) 

  18. Bandura A. The assessment and predictive generality of self-percepts of efficac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1982;13(3):195-199 

  19.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1982;51:663-667 

  20.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21. Kulbok, Baldwin. From preventive health behavior to health promotion: Advancing a positive construct of healt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2;14(4): 50-64 

  22.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s, M. A.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4th ed). New Jersey, Printice Hall, 2002 

  23. Jeon EY, Kim KB. Stud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motion of healthy behavior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ypes of resid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3):475-483 (Korean) 

  24. Desmond AW, Conrad KM, Montgomery A, Simon KA. Factors associated with male workers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1993;41(2):73-83 

  25. Lee GJ, Chang CJ, Yoo JH & Yi YJ.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3):494-502 (Korean) 

  26. Sung MH, Lim YM.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6):762-771 (Korean) 

  27. Chen T, Li L.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addition to socio-demographic and morbidity variables among primary care in patient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54(5): 325-332 

  28. Riffle KL, Yoho J, Sams J. Healthpromoting behavio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reported health of Appalachian elderly. Public Health Nursing 1989;6(4): 204-211 

  29. Park ES, Kim SJ, Kim SI, Chun YJ, Lee PS, Kim HJ, Han KS.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 638-649 (Korean) 

  30. Sohn SY. A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Korean) 

  31. Wollinsky FD, Johnson RJ. Widowhood, health status and the use of health services by older adults: A cross sectional and prospective approach. Journal of Gerontology 1992;47: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