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of the Rural Young-Old and the Rural Old-Old in an Agricultural District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6 no.4, 2011년, pp.207 - 217  

황성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명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성국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이 하나의 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다양한 경험과 세대 차이가 있는 하위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65~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 노인들의 특성과 개인별 건강행태 특성, 그리고 현재의 건강상태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주시 관내 24개 읍 면 동 지역의 경로당 이용자 617명(전기노인 287명, 후기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실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남 여 모두 학력과 직업, 결혼상태, 동거가족에서 전 후기노인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횟수는 남자 후기 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면 시간은 남자와 여자노인 모두 전기노인의 수면시간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았다. 질병 이환율은 여자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제시한 16가지 계통의 질병중에서 남자 노인은 신경통 관절염이, 여자노인은 고혈압이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의 이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생활수행능력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건강한 노인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ADL(일상생활수행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스스로 실천하는 응답자는 96.4%, IADL(수단적 일상생활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실천하는 응답자는 90.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 여자는 스트레스와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이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 구강건강 상태와 청력, 시력은 남자와 여자 모두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후기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에 대한 비교에서 남자는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수면시간, 구강건강, 청력이, 여자는 수면시간, 스트레스, 청력, IADL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 취약하며 이환된 질환의 수는 많았으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은 적었다. 또한 신체활동능력과 정신건강 그리고 구강건강, 청력, 시력이 전기 노인에 비해서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기노인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취약성을 노화과정의 하나로만 볼 것이 아니라 연령층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중의 하나라고 받아들이고 전 후기 노인들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질병예방, 건강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rner useful inform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es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a rural Korean area. Methods: We define the young-old elderly as those 65 to 74 years of age, and the old-old as 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길어진 노년기를 세분하여 접근하는 것은 이들을 한 집단으로 다룰 때보다 노인인구를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훨씬 더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노인들의 연령에 따라 전기노인(65~75세 미만)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 두 집단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에 관련된 요인들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이 하나의 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다양한 경험과 세대 차이가 있는 하위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65~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 노인들의 특성과 개인별 건강행태 특성, 그리고 현재의 건강상태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행태와 상태의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을 구분하고 각각의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흡연, 음주, 운동과 관련된 개인별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특성을 파악, 비교하여 노인건강증진사업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균수명이 연장 되고 여성의 수명이 남성보다 길어져서 노년기가 더욱 확대되어 인생의 다른 단계와 달리 약 20~30년의 넓은 연령범위를 가진 노인을 모두 한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연령의 차이에 따른 노인의 욕구나 문제의 차이를 간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정책이나 실천과정에서의 오류의 위험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게 되었는가? 평균수명이 연장 되고 여성의 수명이 남성보다 길어져서 노년기가 더욱 확대되어 인생의 다른 단계와 달리 약 20~30년의 넓은 연령범위를 가진 노인을 모두 한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연령의 차이에 따른 노인의 욕구나 문제의 차이를 간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정책이나 실천과정에서의 오류의 위험성을 가질 수 있다[5]. 다시 말해 노년기의 확대와 고 연령층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인 인구 층은 단일한 집단으로 간주하기에 너무 많은 다양성을 갖게 되었으므로[6], 노인인구의 다양한 욕구와 건강문제 등을 파악하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평균수명과 건강수명이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의학과 과학의 발전, 개인의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사람의 평균수명과 건강수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급격한 생활수준과 위생수준의 향상으로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급격한 고령화는 어떠한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그러나 급격한 고령화는 건강과 장수를 원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이면에 노동력의 감소, 사회보장 지출 증가, 의료비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중에서도 노인인구 증가로 발생하는 노년기의 건강문제는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2005-2050 based on the 2005 census [cited 2010 Jun 17]. Available from: URL:http://www.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Park PS. The Effect of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applied Aged Group of High Risk Undernutrition in Rural Area. Taegu,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Korean) 

  3. Lee SK, Oh PJ. A correlation stud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spiritual well-being and physical function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3;5(2):127-137 (Korean) 

  4. Choi SJ, Jang IH.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3, pp.97-98 

  5. Kim MR.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6;58(2):197-222 (Korean), 

  6. Choi YJ.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age.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08 (Korean) 

  7. Garfein AG, Herzog AR. Robust aging among the younger old, old-old, and oldest-old. Journal of Gerontology 1995;50(2):77-87 

  8. Newman BM, Newman PR :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social Approach 5th ed., California, Brooks Cole Publishing Company, 1991, pp.112-114 

  9. Neugarten B, Moorn J & Low. Age costraints and adults socialization. American Journalof Society 1995;70(6):710-717 

  10. Gyeongsangbuk-Do. The first half of the year 2008, The status of population of city and county.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2.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08).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Sangju City(2009). Sangju statistical annual report, Sangju:Sangju City. 

  14. Jang BN. A study on health situations and wants for medical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s(focusing on rural areas in Wonju). Wonju,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2006 (Korean) 

  15. Sung JS, Park J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5;7(1):71-78 (Korean) 

  16. Lee IJ.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er Old and the Older Old.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97;19(3):35-50 (Korean) 

  17. Kim SJ.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medical need of the aged in rural areas. Iksan,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7 (Korean) 

  18. Kim JA, Chaung SK.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97;17(3):144-175 (Korean) 

  19. Baek DH, Hwang BD, Moon HJ, Yoon HJ, Lee SK. A Study on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06;31(3):263-27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