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피가 갱년기 장애 유도 흰쥐의 골 대사 지표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klonia stolonifera Extracts on Bone Turnover Markers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769 - 1775  

김영경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급격한 골 소실로 인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곰피 추출물을 시료로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및 osteocalcin 농도와 골 용해 지표인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CTx) 및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을 측정하였다. ALP는 폐경 시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하여 골 전환이 증가하므로 골 형성의 지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난소절제 시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bone turnover가 증가되어 비 난소절제군에 비해 혈장 중의 ALP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난소 절제 후 곰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난소절제 후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반해 곰피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난소절제로 인한 골 손실 정도를 완화시킨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혈중 osteocalcin은 난소를 절제한 OVX-CON군의 경우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골 중의 osteocalcin 함량은 줄어들었음을 나타내었다. 곰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OVX-CON군보다 혈중 osteocalcin 농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osteocalcin은 골 대사가 균형을 유지할 때에는 골 대사 표지자로서 작용하여 폐경 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골 대사가 불균형 시에는 골 형성 표지자로서 작용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경 후 혈중 osteocalcin의 증감에 대한 해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골 용해 지표인 혈액 중의 CTx는 난소절제군이 비 절제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 난소절제군에 있어 골 용해가 증가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면 곰피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CTx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ES200군의 경우 SHAM군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난소절제로 인해 bone turnover가 증가된 상태에서 곰피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CTx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한 결과로써 곰피의 골 흡수 저해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절제로 인하여 감소하였으나, 곰피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연골 및 폐 조직에서는 난소 절제에 의해 감소한 collagen 함량이 난소 절제 후 곰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증가하였고, 곰피 추출물 200 mg/kg bw/day 투여군인 OVXEC20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골 및 피부조직에서도 난소 절제에 의해 감소한 collagen 함량이 곰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고, 정상군인 SHAM군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estrogen 부족 시 일어날 수 있는 골 손실에 대한 예방 소재로써 곰피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nopause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several chronic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cardiovascular disease, and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osteoporosis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급격한 골 소실로 인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곰피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및 osteocalcin 농도와 골 용해 지표인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CTx) 및 결합 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을 측정하였다. ALP는 폐경 시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하여 골 전환이 증가하므로 골 형성의 지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곰피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활성 및 osteocalcin 농도와 골 용해 지표인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CTx) 및 결합 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을 측정하였다.
  • 또한 아울러 collagen의 대사에 관여하는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의 발현을 조절하여 collagen의 분해를 억제하며,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비정상적으로 골재형성과정이 촉진되고 조직 내의 collagen 손상은 연골 조직의 노화와 골 관절염, 골다공증 병인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40). 본 연구에서는 난소절제로 인하여 에스트로겐이 결핍되었을 때 collagen 생성 변화에 있어 곰피 추출물의 영향을 검토하였다(Table 6). 각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갱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여러 폐경 징후는?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급격한 골 소실로 인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곰피 추출물을 시료로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및 osteocalcin 농도와 골 용해 지표인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CTx) 및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을 측정하였다.
ES200군이 SHAM군보다 곰피 추출물 투여로 인한 CTx 함량이 더 많이 감소한 이유는? 반면 곰피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CTx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ES200군의 경우 SHAM군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난소절제로 인해 bone turnover가 증가된 상태에서 곰피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CTx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한 결과로써 곰피의 골 흡수 저해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절제로 인하여 감소하였으나, 곰피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갱년기로 인한 에스트로겐 결핍은 골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안면 홍조, 발한, 두통, 관절 통증, 요실금, 성교통, 어지러움증, 불안, 과민성, 기억 장애와 같은 다양한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2). 갱년기로 인한 에스트로겐 결핍은 일차적으로 골 대사를 증가시켜 파골세포의 활동력 증가, 골 재흡수의 증가로 인한 골 손실을 급속하게 유발하고, 이차적으로는 골 형성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서서히 골 손실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 폐경 후 20년간 골 손실의 75% 이상은 에스트로겐 결핍에서 기인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Lifetable. Seoul,Korea. 

  2. Lee KE, Park YJ, Byun SJ, Yoo EK, Lee ML, Lee YS, Lee HK, Chung ES, Cho OS, Choi ES, Han HS. 1997. Women Health Nursing. Hyunmoonsa, Seoul, Korea. 

  3. Johnston CC, Hui SI, Witt RM, Appledorn R, Baker S, Longcope C. 1985. Early menopausal changes in bone mass and sex steroids. J Clin Endocrinol Metab 61: 905-911. 

  4. Richelson LS, Wahner HW, Melton LJ. 1984. Relative contributions of aging and estrogen deficiency to postmenopausal bone loss. New Engl J Med 37: 1273-1278. 

  5. Kimble RB, Vannice JL, Bloedowl DC. 1994.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decreases bone loss and bone resorption in ovariectomized rats. J Clin Invest 93: 1959-1967. 

  6. Lee YA, Kim M. 2008.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on formation of collagen and collagen cross-link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18: 1578-1583. 

  7. Kimble RB, Matayoshi AB, Vannice JL. 1995. Simultaneous block of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 is required to completely prevent bone loss in the early postovariectomy period. Endocrinology 136: 3054-3061. 

  8. Dempster DW, Birchman R, Xu R. 1995. Temporal changes in cancellous bone structure of rats immediately after ovariectomy. Bone 16: 157-161. 

  9. Lee HS, Jin SH, Kim HS, Ryu BH. 1995.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fucoidan sulfate purified from Gompi, Ecklonia stolonife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16-723. 

  10. Park JC, Hur JM, Gwon HJ, Kim HJ, Chun SS, Choi JS, Choi JW. 2000. Effects of phloroglucinol isolated from Ecklonia stolonifera on the acetaminophen-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 Sung JH, Ha S, Im MH, Im JG, Kang KS. 2002. Seaweed and health. In Foods and Health. Hyungseol Press Co, Seoul, Korea. p 190. 

  12. Cho KJ, Lee YS, Ryu BH.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Bull Kor Fish Soc 23: 345-352. 

  13.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51-459. 

  14. Kwon MJ, Nam TJ. 2006.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 pow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15.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6. Kim OK, Lee TG, Park YB, Park DC, Lee YW, Yeo SG, Kim IS, Park YH, Kim SB. 1996.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seaw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69-1073. 

  17. Park Y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3-1296. 

  18. Kim JH, Lee DS, Lim CW, Park HY, Park JH.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Fish Soc 35: 191-195. 

  19. Ryu BH, Chi BH, Kim DS, Ha MS. 1986. Desmutagenic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seaweed. J Korean Fish Soc 19: 502-508. 

  20. Woessner JF. 1961. The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in tissue and protein sample containing small proportion of this amino acid. Arch Biochem Biophys 93: 440-447. 

  21. Abe T, Chow JM, Lean JM, Chambers TJ. 1993. Estrogen does not restore bone list after ovariectomy in the rat. J Bone Miner Res 8: 831-838. 

  22. Aitken JM, Armstrong E, Anderson JB. 1972. Osteoporosis after oophorectomy in the mature female rat and the effect of oestrogen and/or progesterone replacement therapy in its prevention. J Endocrinol 55: 79-87. 

  23. Wronski TJ, Cintron M, Dann LM. 1988.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43: 179-183. 

  24. Ramirez ME, McMurry MP, Wiebke GA, Felton KJ, Ren K. 1997. Evidence for sex steroid inhibition of lipoprotein lipase in men; comparison of abdominal and femoral adipose tissue. Metabolism 46: 179-185. 

  25. Valette A, Meignen KM, Mercier L, Liehr JG, Boyer J. 1986. Effect of 2-fluoroestradiol on lipid metabolism in the ovariectomized rat. J Steroid Biochem 25: 575-578. 

  26. Turner RT, Wakley GK, Hannon KS. 1974. Tamoxifen prevents the skeletal effects of ovarian hormone deficiency in rats. J Bone Mineral Res 2: 449-459. 

  27. Muller K, Hsiao S. 1980. Estrus- and ovariectomy-induced body weight changes: evidence for two estrogenic mechanisms. J Comp Physiol Psychol 94: 1126-1134. 

  28. Mook DG, Kenney NJ, Roberts S, Nussbaum AI, Rodier WI. 1972. Ovarian-adrenal interactions in regulation of body weight by female rats. J Comp Physiol Psychol 81: 198-211. 

  29. Pi YZ, Wu XP, Liu SP, Luo XH, Cao XZ, Xie H, Liao EY. 2006. Age-related changes in bone biochemical mark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normal Chinese woman. J Bone Miner Res 24: 380-385. 

  30. Kim IG, Kim SB, Kim JG, Kim KC. 1993. Serum enzymes as indicators of radiation exposure in rat. J Radiation Protection 16: 37-44. 

  31. Khandwala HM, Mumm S, Whyte MP. 2006. Low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pathologic fracture: case report and brief review of hypophosphatasia diagnosed in adulthood. Endocr Pract 12: 676-681. 

  32. Cecchettin M, Bellomatti S, Cremonesi G, Solomeno LP, Torrim G. 1995. Metabolic and bone effects after administration of ipriflavone and salmon calciton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iomed Pharmacother 49: 465-468. 

  33. Jang JS. 1987. Bone metabolism and its hormonal regulation. 

  34. Kim SJ. 2003.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35. Park HM, Kim TC, Kim TC, Kang KH, Yoon SJ, Hur M.2000. The predictive value of changes of bone markers for changes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ith or without active vitamin D. Korean J Obstetrics Gynecology 43: 268-274. 

  36. Bonde M, Garnero P, Fledelius C, Qvist P, Delmas PD, Christiansen C. 1997. Measurement of bone degradation products in serum using antibodies reactive with an isomerized from of an 8 amino acid sequence of the C-telopeptide of type Ⅰ collagen. J Bone Mine Res 12: 1028-1034. 

  37. Garnero P, Hausherr E, Chapuy MC, Marcelli C, Garndjean 

  38. Nakamura YN, Iwamoto H, Ono Y, Nishimura S, Tabata S. 2003. Relationship among collagen amount, distribution and architecture in the M. Longissimus thoracis and M. pectoralis profundus from pigs. Meat Sci 64: 43-50. 

  39. Kim MH, Otsuka M, Arakawa N. 1994. Age-related change 

  40. Tiki ML, Allison GT. 2003. Malondialdehyde oxidation of cartilage collagen by chondrocyte. Osteo Arthritis Research Soc Int 11: 159-166. 

  41. Clark AP, Schuttinga JA. 1992. Targeted estrogen/progestero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