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황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골 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on Bon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33 - 39  

박용수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민숙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보경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estrogen의 감소로 인하여 급격한 골 소실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대황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결합조직 중의 콜라겐 함량 및 pyridinol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estrogen의 활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대황의 열수와 에탄올 두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물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ALP는 폐경 시 estrogen의 결핍으로 인하여 골 전환이 증가하므로 골 형성의 지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난소절제 시 estrogen 결핍으로 bone turnover가 증가되어 비 난소절제군에 비해 혈장 중의 ALP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난소 절제 후 대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난소절제 후 estrogen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반해 대황 추출물이 estrogen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난소절제로 인한 골 손실 정도를 완화시킨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대황 추출물이 골 손실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연골 및 골 조직의 콜라겐 함량 및 콜라겐 성숙가교인 pyridinol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연골 및 골조직의 경우 비 난소절제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인 OVX-CON군의 콜라겐 및 pyridinol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estrogen 결핍으로 그 생성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황 추출물 투여에 의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연골조직의 콜라겐 함량은 200 mg/kg/day 투여한 OVX-EB200군의 경우 대조군인 OVX-CON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반면 골 조직의 콜라겐 함량의 경우, 난소를 절제한 후 대황 추출물을 50 mg/kg/day 투여한 OVX-EB5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200 mg/kg/day 투여한 OVX-EB200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콜라겐 성숙가교인 pyridinoline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골 조직의 pyridinoline 함량이 난소절제 후 감소하였으나, 대황 추출물을 투여한 군(OVX-EB50)에서 대조군인 OVX-CON군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estrogen 부족 시 일어날 수 있는 골 손실에 대한 예방 소재로써 갈조류인 대황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nopause is often associated with several chronic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cardiovascular disease, and obes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isenia bicyclis (EB) to prevent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a model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Extracts from EB obta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estrogen의 감소로 인하여 급격한 골 소실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대황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결합조직 중의 콜라겐 함량 및 pyridinol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estrogen의 활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대황의 열수와 에탄올 두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물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Estrogne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은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이 경우의 estrogen 투여는 골의 무기질성분 증가와 함께 교원섬유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쳐서 골절의 예방에 효과를 지닌다고 보고되고 있다(39). 본 연구에서는 난소절제로 인하여 estrogen이 결핍되었을 때 콜라겐 생성 변화에 있어 대황 추출물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Table 7). 연골의 경우 비 난소절제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인 OVX-CON군의 콜라겐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estrogen 결핍으로 콜라겐 생성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선 대황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성분인 polyphenol 함량이 많이 포함된 추출물을 선택하여 동물실험에 이용하였다.
  • Holland 등(41)은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에게 피하 estradiol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 요추와 대퇴골의 근위부에서 골밀도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성숙된 가교가 증가되고 교원섬유는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성숙된 교원섬유의 증가는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킬 것 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대황 추출물 투여에 의해 난소 절제로 인해 감소되었던 골 조직 중의 pyridinoline 함량이 증가하여 대황이 콜라겐 성숙가교 형성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는 조직 내 콜라겐 중의 pyridionlin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나 정확한 골 분해 평가를 위해 향후 소변 중의 pyridinoline 함량 측정 또한 수행하고자 한다.
  • 폴리페놀성 물질은 활성 프리라디칼(reactive free radical)에 수소원자를 제공하여 안정한 비 라디칼(non-radical)을 만들어 줌으로써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며, 해조류 중의 polyphenol성 물질은 estrogen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28).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estrogen의 활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는 용매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황의 열수와 에탄올 두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10).
  • 3)Values are mean±SD (n=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 중 갈조류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해조류는 식이성 섬유소인 복합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비타민과 무기질이 비교적 풍부하고 그 독특한 맛과 향기가 우수한 알칼리성 기호식품으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특히 갈조류에는 중성 다당류인 laminaran과 황산기를 함유한 산성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함황 산성 다당류인 fucoidan과 alginate이고, fucoidan은 항산화 활성, 항 혈액응고 작용 이외에 면역 등의 활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17-20). 우리나라 울릉도 부근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대황(Eisenia bicyclis)은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연안 수심 10 m 내외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뿌리는 수지상이고 길이는 1~2 m에 달하며 지름은 2~3 cm로 중앙부가 좀 굵고 실질이다(21).
갱년기로 인한 일차적 estrogen 결핍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갱년기로 인한 일차적 estrogen 결핍은 bone turnover 증가 및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력 증가, 골재흡수(bone resorption)의 증가로 인한 골 손실을 급속하게 유발하고, 이차적으로는 폐경기 여성에 있어 골 형성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서서히 골 손실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또한 폐경 후 20년간 골 손실의 75% 이상은 estrogen 결핍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폐경 후 20년간 골 손실의 대다수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갱년기로 인한 일차적 estrogen 결핍은 bone turnover 증가 및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력 증가, 골재흡수(bone resorption)의 증가로 인한 골 손실을 급속하게 유발하고, 이차적으로는 폐경기 여성에 있어 골 형성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서서히 골 손실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또한 폐경 후 20년간 골 손실의 75% 이상은 estrogen 결핍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골다공증은 다양한 발생 원인에 기인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병인이 관련되어 있어 그 원인을 간단히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질환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ohnston CC Jr, Hui SI, Witt RM, Appledorn R, Baker RS, Longcope C. 1985. Easex steroids. J Clin Endocrinol Metab 61: 905-911. 

  2. Richelson LS, Wahner HW, Melton LJ 3rd, Riggs BL. 1984. Relative contributions of aging and estrogen deficiency to postmenopausal bone loss. N Engl J Med 311: 1273-1275. 

  3. Smith DM, Nance WE, Kang KW, Chrustian JC, Johnstone CC Jr. 1973. Genetic factors in determining bone mass. J Clin Invest 52: 2800-2808. 

  4. Kim SY, Chang SY, Oh HJ. 1997. Comparis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lipid profile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Acad Fam Med 18: 910-917. 

  5. Kimble RB, Vannice JL, Bloedowl DC, Thompson RC, Hopfer W, Kung VT, Brownfield C, Pacifici R. 1994.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decreases bone loss and bone resorption in ovariectomized rats. J Clin Invest 93: 1959-1967. 

  6. Dempster DW, Birchman R, Xu R, Lindsay R, Shen V. 1995. Temporal changes in cancellous bone structure of rats immediately after ovariectomy. Bone 16: 157-161. 

  7. Fujimoto D, Hirama M, Iwa T. 1982. Histidinoalanine, a new crosslinking amino acid, in calcified tissue colla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104: 1102-1106. 

  8. Kim MH, Otsuka M, Arakawa N. 1994. Age-related changes in the pyridinoline content of guinea pigs cartilage and achilles tendon collagen. J Nutr Sci Vitaminol (Tokyo) 40:95-103. 

  9. Kuboki Y, Mechanic GL. 1982. Comparative molecular distribution of cross-links in bone and dentin collagen. Structure- function relationships. Calcif Tissue Int 34: 306-308. 

  10. Robins SP, Bailey AJ. 1977. The chemistry of the collagen cross-links. Characterization of the products of reduction of skin, tendon and bone with sodium cyanoborohydride. Biochem J 163: 339-346. 

  11. Seigel RC. 1976. Collagen cross-linking. Synthesis of collagen cross-links in vitro with highly purified lysyl oxidase. J Biol Chem 251: 5786-5792. 

  12. Noda M, Roodon GA. 1989.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osteopontin production in rat osteoblast-like cells by parathyroid hormone. J Cell Biol 108: 713-718. 

  13. Ninomiya Y, Showater AM, Olsen BR. 1984. The role of extracellular matrix in development. Alan R Liss Inc., New York, NY, USA. p 225. 

  14. Schiele F, Henny J, Hitz J, Petitclerc C, Gueguen R, Siest G. 1983. Total bone and liver alkaline phosphatases in plasma: biological variations and reference limits. Clin Chem 29: 634-641. 

  15. Raisz LG. 1988. Local and systemic factors in the pathogenisis of osteoporosis. N Engl J Med 318: 818-828. 

  16. Sung JH, Ha S, Im MH, Im JG, Kang KS. 2002. Seaweed and health. In Foods and Health. Hyungseol Press Co., Seoul, Korea. p 190. 

  17. So MJ, Kim BK, Choi MJ, Kim KY, Rhee SH, Cho EJ. 2007. Protective activity of fucoidan and alginic acid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 under in vitro and cellular system. J Food Sci Nutr 12: 191-196. 

  18. Hang D, Choi HS, Kang SC, Kim KR, Sohn ES, Kim MH, Pyo S, Son E. 2005. Effects of fucoidan on NO production and phagocytosis of macrophages and the proliferation of neuron cells. J Food Sci Nutr 10: 344-348. 

  19. Haroun-Bouhedja F, Ellouali M, Sinquin C, Boisson-Vidal C.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 Res 100: 453-459. 

  20. Colliec S, Fischer AM, Tapon-Bretaudiere J, Boisson C, Durand P, Jozefonvicz J. 1991. Anticoagulant properties of a fucoidan fraction. Thromb Res 64: 143-154. 

  21. Kang JW. 1968. Marine algae. In I 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Vol 8, p 148-151. 

  22. Jang YH, Choi SW, Cho SH. 2008. Effect of Eisenia bicyclis and its pill on serum statu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41: 5-12. 

  23. Kim YM, Han CK, Bang SJ, Park JH. 2006. Effects of laminaran from Eisenia bicyclis on serum lipids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41-846. 

  24. Cahyana AH, Shoto Y, Kinoshita Y. 1992. Pyropheophytin a as an antioxidative substance from the marine alga, Arame (Eisenia bicyclis). Biosci Biotech Biochem 56: 1533-1535. 

  25.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45, p 21-22. 

  26. Woessner JF Jr. 1961. The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in tissue and protein sample containing small proportion of this imino acid. Arch Biochem Biophys 93: 440-447. 

  27. Arakawa N, Kim M, Otsuka M. 1992. An improv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pyridinoline in connective tissues. J Nutr Sci Vitaminol (Tokyo) 38: 375-380. 

  28. Lee S, Jang MK, Kim NY, Jang HJ, Lee DG, Kim M, Kim YY, Kim SG, Yoo BH, Lee SH. 2010. Verification of the fractions with strong estrogenic activities from brown algae. J Life Sci 20: 1807-1811. 

  29. Wronski TJ, Cintron M, Dann LM. 1988.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43: 179-183. 

  30. Abe T, Chow JM, Lean JM, Chambers TJ. 1993. Estrogen does not restore bone lost after ovariectomy in the rat. J Bone Miner Res 8: 831-838. 

  31. Jeong SH, Lee HH, Han MY, Ryu CY, Yoon MC. 2002. Effects of fenofibrate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female mic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Mokwon University 11: 27-32. 

  32. Gale SK, Sclafani A. 1977. Comparison of ovarian and hypothalamic obesity syndromes in the female rat: effect of diet palatability o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J Comp Physiol Psychol 91: 381-392. 

  33. Lee SS, Park Yoon JH. 1989. Long-term effect of ovariectomy on body composition. Korean J Nutr 22: 102-107. 

  34. Park WD, Hwang JS, Hur JW, Ahn SH, Park SK, Kwak CS. 1999. Activities of $\alpha$ -D-mannosidase and $\beta$ -D-mannosidase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Korean J Gastroenterol 33: 211-221. 

  35. Riis BJ. 1993.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II: Diagnosi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 J Med 95: 17S-21S. 

  36. Kim IG, Kim SB, Kim JG, Kim KC, Chun KC, Park HK, Lee KS. 1993. Serum enzymes as indicators of radiation exposure in rat. J Radiation Protection 18(2): 37-44. 

  37. Mcconkey B, Fraser GM, Bligh AS, Whiteley H. 1963. Transparent skin and osteoporosis. Lancet 281: 693-695. 

  38. Odell WD, Heath H 3rd. 1993. Osteoporosis pathophysiology,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Dis Mon 39:789-867. 

  39. Clark AP, Schuttinga JA. 1992. Targeted estrogen/progesterone replacement therapy for osteoporosis: calculation of health care cost savings. Osteoporos Int 2: 195-200. 

  40. Tiki ML, Allison GT, Naik K, Karry SK. 2003. Malondialdehyde oxidation of cartilage collagen by chondrocytes. Osteoarthritis Cartilage 11: 159-166. 

  41. Holland EF, Studd JW, Mansell JP, Leather AT, Bailey AJ. 1994. Changes in collagen composition and cross-links in bone and skin of osteoporotic postmenopausal women treated with percutaneous estradiol implants. Obstet Gynecol 83:180-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