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우린 첨가 김치의 저온 저장 중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urine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814 - 1818  

임성빈 ((주)슬로우팜) ,  김미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경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고재윤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타우린 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군, Taurine I, Taurine II 및 Taurine III의 환원당비타민 C 함량은 발효 46일 후에 0일째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대조군에서 타우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타우린군의 경우 타우린 함량은 타우린첨가량에 비례하였고 발효기간 동안 타우린 함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한 타우린이 김치 발효 숙성 중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Taurine III> Taurine II> Taurine I> 대조군의 순이었다. 모든 분석 항목에서 타우린 첨가가 저온에서의 김치 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urine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for 46 days at $6^{\circ}C$. Chinese cabbage was brined in a 10% salt solution for the control Kimchi and in a 10% salt solution containing 5% taurine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온저장 중 타우린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 과정 중의 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타우린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타우린 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군, Taurine I, Taurine II 및 Taurine III의 환원당과 비타민 C 함량은 발효 46일 후에 0일째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가설 설정

  • 1)Chinese cabbage was brined in 10% salt solution.
  • 1)ND: not detected.
  • 2)Chinese cabbage was brined in 10% salt solution including 5% taurin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조군과 타우린 첨가 김치의 발효기간 중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타우린 첨가 김치의 발효기간 중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는 Table 2와 같다. 대조군의 비타민 C 함량은 담근 직후 21.90 mg/100 g이었으며 발효 23일째 19.44 mg/100 g, 발효 46일째 16.33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모든 타우린군의 비타민 C 함량은 발효 23일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발효 46일째 다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타우린군의 비타민 C 함량은 숙성기에 증가하다가 후기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김치의 저온 저장 시 적숙기에 증가를 하다가 숙성후기에 감소를 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13,20-22).
타우린은 인체 어느 부위에 고농도로 분포되어 있는가? 타우린은 인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골격근과 심장근, 뇌하수체, 혈소판, 림프아세포, 신장 및 망막에 고농도로 분포되어있다. 타우린은 조건적인 필수영양소로서 특성화되어 있으며, 삼투압조절, 세포증식, 칼슘의 유입과 유출(flux), 당대사 촉진, 신경흥분성 조절, 해독작용, 세포막 안정성과 망막 색소 상피세포증식 촉진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1-3).
타우린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타우린은 인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골격근과 심장근, 뇌하수체, 혈소판, 림프아세포, 신장 및 망막에 고농도로 분포되어있다. 타우린은 조건적인 필수영양소로서 특성화되어 있으며, 삼투압조절, 세포증식, 칼슘의 유입과 유출(flux), 당대사 촉진, 신경흥분성 조절, 해독작용, 세포막 안정성과 망막 색소 상피세포증식 촉진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1-3). 타우린은 동물성 식품 특히 조개류에 매우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urston JH, Hauhart RE, Dirgo JA. 1980. Taurine, a role in osmotic regulation of mammalian brain and possible clinical significance. Life Sci 26: 1561-1568. 

  2. Gaull GE, Wrighe CE, Tallan HH. 1983. Taurine in human lymphoblastoid cells: uptake and role in proliferation. Prog Clin Biol Res 125: 297-303. 

  3. Sebring LA, Huxtable RJ. 1985. Taurine modulation of calcium binding to cardiac sarcolemma. J Pharmacol Exp Ther 232: 445-451. 

  4. Bernardi N. 1985. On the role of taurine in the cerebellar cortex: a reappraisal. Acta Physiol Pharmacol Latinoam 35: 153-164. 

  5. Emudianughe TS, Caldwell J, Smith RL. 1983. The utilization of exogenous taurine for the conjugation of xenobiotic acids in the ferret. Xenobiotica 13: 133-138. 

  6. Pasantes-Morales H, Wright CE, Gaull GE. 1985. Taurine protection of lymphoblastoid cells from iron-ascorbate induced damage. Biochem Pharmacol 34: 2205-2207. 

  7. Woo SM, Jeong YJ. 2006. Changes i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48-654. 

  8. Kim, JH, Moon MH, Chung JW, Chi JH, Ju YC. 2005. Effect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0-473. 

  9. Kim KO, Kim WH. 1994.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24-330. 

  10. No HK, Park IK, Kim SD. 1995.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chitosan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932-936. 

  11. Park WP, Park KD, Um HS. 2002. Effects of safflower seed 

  12. Somogyi M. 195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13.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14. Kim ES, Kim JS, Cho KH. 1998. Taurine level in human milk and estimated intake of taurine by breast-fed infants during the early period of lactation. Korean J Nutr 31: 363-368. 

  15. AOAC. 196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0th ed. Association 

  16. Son YM, Kim KO, Jeon DW, Kyung KH. 1996.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with and without other preserva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88-896. 

  17. Yu HG, Kim KG, Yoon S. 1992. Effects of fermentable sugar on storage stability and modeling prediction of shelf-life in Kimchi .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07-110. 

  18. Kim MH, Shin MS, Jhon DY, Hong YH, Lim HS. 198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s with different ingred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 268-277. 

  19. Park WP. 1991. Effects of various Kimchi ingredients on fermentatio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Han GJ, Shin DS, Jang MS. 2009.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ore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vitamin C, reducing sugar, total chlorophyll,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30-336. 

  21. Lee GC, Han JA. 1992.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4: 201-206. 

  22. Park YH, Jung LH, Lee SS.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26-431. 

  23. Rhie SG, Chun SK. 1982.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Nutr Food 11: 63-66. 

  24. Oh SC, Cho JS,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16: 173-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