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에 침적되어 있는 구조물은 일정한 외부 염화물 조건을 가지게 되지만 비래염분의 환경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역, 해안으로부터 거리, 구조물의 방향, 풍향 등 주변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조건의 외부 염화물 조건을 갖게 된다. 따라서, 해수와 직접 접하지 않더라도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비래염분에 의한 염해를 받을 수 있으며, 그러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래염분 환경조건을 규명하기는 쉽지 않아 이제까지는 많은 연구가 행하여 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해안가 27개 지역 72개 지점을 선정하여 3년간 대기중의 비래염분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래염분은 지역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계절적인 영향 또한 크게 나타났다. 또한,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라서 $y=ax^{-b}$의 함수의 경향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비래염분 분포에 대한 분석결과는 향후 해안 인근 구조물의 내구성 설계나 유지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rete structures immersed in seawater are exposed to uniform chloride concentration. However, seashore concrete structures are subjected to various airborne chlorides concentration depending on areas, distance from seashore, orientation of structures and wind direction etc. Therefore, structur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해, 서해, 남해안의 27개 지역, 72개 지점을 선정하여 '03년 7월부터 '06년 6월까지 매월 1회 1개월간의 누적 비래염분량을 3년간 측정하여 우리나라의 비래염분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가의 비래염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해, 서해 및 남해안의 27개 지역 72개 지점에서 비래염분을 측정하여, 지역 및 계절별 특성과 해안으로부터 거리별 감소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8과 같은 계절풍에 의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12)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북서풍이 강하게 부는데 이러한 계절풍에 의해 내륙방향으로 비래염분이 많이 흘러갈 수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가진 곳은 서해안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환경하에 건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제점은? 해양 환경하에 건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장기간 염해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구조물 내부로의 염화물 침입 및 이에 따른 철근의 부식 등이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 하여 왔다.
비래염분은 어떻게 발생하나? 해수와 직접 접하지 않는 구조물의 염해는 주로 대기 중의 비래염분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비래염분은 파도에 의해 부서지는 해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대기중에 부유하여 해풍이나 계절풍 등에 의해 내륙으로 날아 들어와 구조물에 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비래염분을 측정평가하는 것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이미 전국 해안의 비래염분 측정을 완료하였지만 관련 자료를 참고자료로만 활용이 가능한 이유는? 일본의 경우 일본토목연구소에서 이미 3년간에 걸친 전국 해안의 비래염분 측정을 완료하여 해안 인근 콘크리트 교량의 염해대책 방법을 강구하였다.9) 그러나, 일본의 비래염분량 전국조사는 일본 토목연구소의 스테인리스식 포집기를 사용하여 비래염분의 포집성능에 있어 문제점이 지적되었을 뿐만 아니라,10) 비래염분은 계절풍, 지역풍, 해안의 형상, 조수간만의 차이, 수심 및 지리적 위치 등 환경적인 요인이 지배적인 변수로서 지역적인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본에서 측정되었던 비래염분 관련 자료들은 참고자료로서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문한영, 김성수, 류재석, “염분환경하에 있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의 염분 확산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5권, 2호, 1995, pp. 283-292. 

  2. 문한영, 김홍삼, 이승태, “해수 침식을 받은 콘크리트의 성능저하 원인 규명,”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2권, 1-A호, 2002, pp. 171-179. 

  3. Cady, P. D. and Weyers, R. E., “Chloride Penetr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Bridge Decks,” Cement Concrete and Aggregates, Vol. 5, No.2, 1983, pp. 81-87. 

  4. Andrade, C, “Calculation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in Concrete from Ionic Migration Measur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3, 1993, pp. 724-742. 

  5. Uji, K., Matsuoka, Y., and Maruya, T., “Formation of an Equation for Surface Chloride Content of Concrete due to Permeation of Chloride,” Corrosion of Reinforcement in Concrete, Elsevier Applied Science, 1990, pp. 258-267. 

  6. Riple, A. B. and Suprenant, B. A., “Colorado Department of Highways Chloride Content Evaluation Program for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s,” CDOT-DTD-R-92-7, Univ. of Colorado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1992. 

  7. Weyers, R. E., “Concrete Bridge Protection and Rehabilitation, Chemical Physical Techniques, Service Life Estimates,” SHRP-S-668,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994. 

  8. Swatekititham, S., “Computational Model for Chloride Concentration on Concrete Surface under Actual Environmental Condition,” Ph.D Dissertation, Kochi University, Japan. 

  9. 日本土木硏究所, 飛來鹽分量全國調査 (I), ISSN 0386-5878 土木硏究所資料 第2203號, 1985. 

  10. 문한영, 이종석, “해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래하는 염분 포집장치 성능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4권, 2A호, 2004, pp. 417-422. 

  11. JIS Z 2382, 大氣環境の腐食性を評價するための環境汚染因子の測定, 1998. 

  12. 이종석, “비래염분 측정에 의한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염분량 추정,”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