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비래염분 침투 특성
Penetra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on Concrete Exposed in Marine Environment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5, 2012년, pp.553 - 558  

이종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구조연구실) ,  안기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구조연구실)

초록

대기 중의 비래염분은 해풍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되고 해안 인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비래염분 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염분량은 비래염분량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래염분량의 분포 특성에 따라 표면염분량도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래염분 환경 하의 구조물은 해수에 직접접하는 구조물과 달리 표면부의 염분량을 예측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침투되는 경향 또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과를 얻는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래염분 환경에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투하는 염분을 표면염분량과 침투 염분량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해안 현장에서 옥외노출실험을 3년간 실시하였으며, 노출기간 1년과 2년, 3년차에서 시험체를 회수하여 표면염분량 및 표면으로부터 깊이별 비래염분 침투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콘크리트의 표면조도에 따라 표면염분량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강우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 더 많은 표면염분량이 존재하였다. 침투 염분량은 대기중의 비래염분량 및 노출기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표면부보다 콘크리트 내부에서 많은 염분량을 나타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borne chlorides are transported to inland by sea wind to be attached to seashore concrete structure surface then penetrated into concrete structure members. Since the surface attached chloride amount are dependent on th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the prediction of distribution of airborne ch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현장여건상 많은 시험체를 옥외노출 시험하기가 어려워 여러 종류의 물-시멘트비를 적용하지는 못하였으나, 비래염분 환경에서의 염분 침투에 대한 다양한 기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창 10 m 및 장흥 200 m의 시험체는 옥외노출 시험 중 유실되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래염분 환경에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투하는 염분을 표면염분량과 침투 염분량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절에서는 해안 대기 중 비래염분량의 다소(多少)가비래염분의 콘크리트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비교대상 지점은 3년 동안의 일평균 비래염분량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가장 중요한 열화 메커니즘 중의 하나는? 해양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열화 메커니즘 중의 하나는 염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해양환경에서의 염해에 대하여 연구해 왔으며, 주로 해수에 침적된 구조물 및 간만대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1-5) 그러나, 최근 해양 대기 중의 비래염분 환경에 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해수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기 중의 염분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열화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비래염분 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염분량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대기 중의 비래염분은 해풍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되고 해안 인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비래염분 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염분량은 비래염분량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래염분량의 분포 특성에 따라 표면염분량도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래염분 환경 하의 구조물은 해수에 직접 접하는 구조물과 달리 표면부의 염분량을 예측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침투되는 경향 또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과를 얻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비래염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여러가지 인자에 대한 많은 현장 자료들이 요구되는 이유는? 그러나, 대기 중의 비래염분에 대한 연구는 실험실에서 현장을 모사하거나, 촉진실험을 실시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로 현장의 자연환경에서 실험이 실시되어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래염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여러가지 인자에 대한 많은 현장 자료들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homas, M., "Chloride Thresholds in Marin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6, No. 4, 1996, pp. 513-519. 

  2. Thomas, M. D. A. and Matthewsb, J. D., "Performance of pfa Concrete in a Marine Environment-10-Year Result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6, No. 1, 2004, pp. 5-20. 

  3. Sandberg, P., Tang, L., and Andersen, A., "Recurrent Studies of Chloride Ingress in Uncracked Marin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8, No. 10, 1998, pp. 1489-1503. 

  4. Ann, K. Y., Ahn, J. H., and Ryou, J. S., "The Importance of Chloride Content at the Concrete Surface in Assessing the Time to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Issue 1, 2009, pp. 239-245. 

  5. Song, H. W., Lee, C. H., and Ann, K. Y., "Factors Influencing Chloride Transport in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Issue 2, 2008, pp. 113-121. 

  6. Castro, P., De Rincon, O. T., and Pazini, E. J., "Interpretation of Chloride Profiles from Concrete Exposed to Tropical Marine Environ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1, Issue 4, 2001, pp. 529-537. 

  7. Roy, S. K., Chye, L. K., and Northwood, D. O., "Chloride Ingress in Concrete as Measured by Field Exposure Tests in the Atmospheric, Tidal and Submerged Zones of a Tropical Marine Environ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3, No. 6, 1993, pp. 1289-1306. 

  8. Mustafa, M. A. and Yusof, K. M., "Atmospheric Chloride Penetration into Concrete in Semitropical Marine Environ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4, No. 4, 1994, pp. 661-670. 

  9. Meira, G. R., Andrade, C., Padaratz, I. J., Alonso, C., and Borba Jr., J. C., "Chloride Penetration into Concrete Structures in the Marine Atmosphere Zone-Relationship between Deposition of Chlorides on the Wet Candle and Chlorides Accumulated into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9, No. 9, 2007, pp. 667-676. 

  10. Swatekititham, S., "Computational Model for Chloride Concentration on Concrete Surface under Actual Environmental Condition," PhD Dissertation, Kochi University, Japan, 2004, 71 pp. 

  11. Abu-Tair, A. I., Lavery, D., Nadjai, A., Rigden, S. R., and Ahmed, T. M. A., "A New Method for Evaluating the Surface Roughness of Concrete Cut for Repair or Strengthen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4, No. 3, 2000, pp. 171-176. 

  12. Andrzej Garbacz, Luc Courard, and Katarzyna Kostana,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Surface Roughness and Its Relation to Adhesion in Repair Systems," Materials Characterization, Vol. 56, No. 4-5, pp. 281-289. 

  13. Moon, H. Y. and Lee, J. S., "A Study on Performance of Devices for Measuring the Sea-Salt Flying to the concrete Structures in the Seasho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2A, 2004, pp. 417-422. 

  14. KSF2713, "Testing Method for Analysis of Chloride in Concrete and Concrete Raw Material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2, 8 pp. 

  15. Meira, G. R., Andrade, C., Alonso, C., Borba Jr., J. C., and Padilha Jr., M.,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in Marine Atmosphere Zones-The Use of Chloride Deposition Rate on the Wet Candle as an Environmental Indicator,"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2, Issue 6, 2010, pp. 427-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