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작물 재배와 관련된 이상기온 출현 일수의 기후학적 지역 특성
The Climatological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ccurrence of Extraordinary Temperature Events Associated with Crop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2 no.3, 2010년, pp.157 - 172  

이재규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유진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정선희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초록

월별 $2{\sigma}$값 분포를 보면, 4~7월까지 4개월 동안, 전국에서 $2{\sigm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곳은 강릉이었으며, 또한, 동해안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큰 값이 나타나, 기후학적으로 기온 변동폭이 큰 지역임을 뚜렷이 잘 보여주었다. 그리고 전 지역 평균한 $2{\sigma}$값의 월별 크기를 비교해보면, 4월의 $2{\sigma}$값이 5.6도로 제일 컸다. 월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출현일수 분포에서는, 4월의 경우, 30일 이상의 이상고온 출현 일수를 기록한 지역은 대부분의 서해안 지역과 동해안 지역인 속초와 영덕, 그리고 제주이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무려 45일이나 되었으며, 조사 월인 4~10월 중에서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제일 많은 월로, 그리고, 이상저온 출현 일수가 제일 적게 나타난 월이었다. 따라서 4월의 경우, 동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은 이상저온에 따른 냉해보다는 이상고온에 따른 피해 대책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한편, 8월은 기후학적으로 제일 더운 계절이지만, 이상저온 출현 일수가 30일 이상이 되는 지역이 분석기간 중에서 제일 광범위하며, 또한 이상저온 출현 일수가 제일 많은 달이다, 특히, 강원도 내륙, 충청도 내륙, 그리고 남부 지방에서 최다인 반면에,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제일 적게 나타난 월이었다. 따라서 8월은 모든 월 중에서 이상고온보다는 이상저온과 관련하여 농작물 재배에 있어 제일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는 월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61 observation data of the recent 30 years from 1979 to 2008, we have identified the areas which had climatologically frequent occurrence of extraordinary low and high temperature leading to meteorological disasters. The station of the highest temperature deviation was Gangneungduring the per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앞에서 언급한 최근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여름과 겨울이라는 계절별로 이상고온 및 이상저온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였고, 또한 그것도 10일을 최소단위로 하여 순별 평균값을 평년값으로 하였기 때문에, 1일을 최소단위로 한 일별 평균값을 평년값으로 하여 이상고온 및 이상저온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있는 기상청의 공식적인 61개 관측소의 일별 30년 기후 평년값을 각각 구하여 그 평년값과의 편차를 계산하여 이상저온과 이상고온의 출현 일수를 구한 후, 그 일수를 각 월별로 합계를 내어 기후학적인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지역별 분포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006)은 관측지점의 이동에 따른 기상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바람이나 증발량에서는 이동에 따른 약간의 차이점을 볼 수 있으나 기온의 영향은 아주 미미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지점의 이동에 따른 기온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은 이상저온에 따른 냉해보다는 이상고온에 따른 피해 대책에 더욱 유의해야 하는 이유는? 월별 $2{\sigma}$값 분포를 보면, 4~7월까지 4개월 동안, 전국에서 $2{\sigm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곳은 강릉이었으며, 또한, 동해안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큰 값이 나타나, 기후학적으로 기온 변동폭이 큰 지역임을 뚜렷이 잘 보여주었다. 그리고 전 지역 평균한 $2{\sigma}$값의 월별 크기를 비교해보면, 4월의 $2{\sigma}$값이 5.6도로 제일 컸다. 월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출현일수 분포에서는, 4월의 경우, 30일 이상의 이상고온 출현 일수를 기록한 지역은 대부분의 서해안 지역과 동해안 지역인 속초와 영덕, 그리고 제주이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무려 45일이나 되었으며, 조사 월인 4~10월 중에서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제일 많은 월로, 그리고, 이상저온 출현 일수가 제일 적게 나타난 월이었다. 따라서 4월의 경우, 동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은 이상저온에 따른 냉해보다는 이상고온에 따른 피해 대책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월별 $2{\sigma}$값 분포를 보면, 4~7월까지 4개월 동안, 전국에서 $2{\sigm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곳은 어디인가? 월별 $2{\sigma}$값 분포를 보면, 4~7월까지 4개월 동안, 전국에서 $2{\sigm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곳은 강릉이었으며, 또한, 동해안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큰 값이 나타나, 기후학적으로 기온 변동폭이 큰 지역임을 뚜렷이 잘 보여주었다. 그리고 전 지역 평균한 $2{\sigma}$값의 월별 크기를 비교해보면, 4월의 $2{\sigma}$값이 5.
월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출현일수 분포에서는, 4월의 경우, 30일 이상의 이상고온 출현 일수를 기록한 지역은 어디인가? 6도로 제일 컸다. 월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출현일수 분포에서는, 4월의 경우, 30일 이상의 이상고온 출현 일수를 기록한 지역은 대부분의 서해안 지역과 동해안 지역인 속초와 영덕, 그리고 제주이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무려 45일이나 되었으며, 조사 월인 4~10월 중에서 이상고온 출현 일수가 제일 많은 월로, 그리고, 이상저온 출현 일수가 제일 적게 나타난 월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1986: Korea's agricultural climate features and a measure to mitigate meteorological disaster of affecting paddy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4pp. 

  2. Choi, G. Y., W. T. Kwon, K. O. Boo, and Y. M. Cha,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5), 681-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omonkos, P., J. Kysely, K. Piotrowicz, P. Petrovic, and T. Likso, 2003: Variability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south-central Europe during the 20th century and its relationship with large-scale circ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987-1010. 

  4. Ha, K. J., E. H. Ha, C. S. Yoo, and E. H. Jeon, 2004: Temperature trends and extreme climate since 1909 at big four cities of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0(1),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eo, I. H., and S. H. Lee, 2006: Changes of unusual temperature events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94-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eo, I. H., S. H. Lee, and W. T. Kwon, 2006: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and winter unusu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Korea.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the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40-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Im, E. S., and J. B. Ahn, 200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inter temperature variability and global circulation indice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0(4), 441-4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The scientific basis.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996pp. 

  9. Jeong, Y. J., 1983: On the occurrence of extraordinary high and low temperature of the winter in South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19(2), 78-87. (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Y. K., and Y. S. Suh, 1986: relationships between air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2(3), 7-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H. G., K. D. Min, K. E. Kim, and K. M. Lee, 1997a: Summer extraordinary low temperature in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irculations verNorthern Hemisphere. PartI:Onset of the summer extraordinary low temperature and its synoptic aspect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3(1), 137-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H. G., K. D. Min, K. E. Kim, and K. M. Lee, 1997b: Summer extraordinary low temperature in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irculations verNorthern Hemisphere. PartII: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circulation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3(1), 155-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 S., and S. G. Hong, 1996: A study of quasi-Foehn in the Youngdong-district in late spring orearly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2(4), 593-6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Ryoo, S. B., Y. H. Kim, T. H. Kwon, and I. S. Park, 2006: Inhomogeneities in Korea climate data (I): Due to site relo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16(3), 215-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Wettstein, J. J., and L. O. Mearns, 2002: The influence of the North Atlantic-Arctic Oscillation on mean, variance, and extremes of temperature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Journal of Climate 15, 3586-3600. 

  16. Yun, J. I., 1999: Agricultural meteorology. Arche Inc., 337pp.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