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육모의 연구에 의한 한반도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및 적응기술 평가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and Adaptation Method in Korea as Evaluated by Simulation Stud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4 no.4, 2012년, pp.207 - 221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준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손지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양운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영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경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광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작물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주요 변동요인인 온도 및 $CO_2$ 농도와 적응수단인 재배시기가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작물모형은 영화수 및 임실율 모델을 모델을 도입하고, 종실중 및 등숙율 모듈을 추가하여 벼 수량결정 방법을 개선한 'ORYZA2000'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입력자료인 품종특성 모수는 벼 생태형별로 종생종인 오대벼, 중생종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일품벼의 품종특성 모수를 사용하였으나 발육속도 품종특성 모수는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생육모의 지역은 기상청 소속 기상대와 관측소가 소재하는 지역 중에 30년 이상 기상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56개 지역을 북부, 중부, 남부의 3개 기후지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여부는 최적파종기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는데,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온도가 22.5가 되는 파종기를 지역별 최적파종기로 설정하였다. 기상자료는 1981~201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기상연구소에서 제작한 2011~2100년 기간의 3개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의 A1B 기후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일별 기후자료로 작성하였으며, 생육모의 조건은 기준년도(1981~2010)를 기준으로 온도 및 $CO_2$ 농도만 변화를 주거나 기후변화에 따라 온도, $CO_2$ 농도 및 재배시기 등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 생육모의 결과 기준년도(1981~2010)를 기준으로 온도만 변화를 주었을 경우 $1^{\circ}C$ 온도 상승에 따라 벼 수량은 6.7~10.6%까지 감소하였으며, $CO_2$ 농도만 변화를 주었을 때는 100ppm $CO_2$ 농도 증가에 따라 1.0~2.7% 증가하였다. 벼 생산성은 벼 생태형 및 기후지대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재배시기를 고정하였을 때 기후변화에 따른 벼 수량의 증감율은 조생종에서 -0.3~-23.4, 중생종에서 -1.9~-27.3, 중만생종에서 -1.7~-28.6%이었으며, 재배시기를 조정하였을 때는 조생종에서 3.3~-0.2, 중생종에서 1.8~-5.9, 중만생종에서 2.3~-7.4%로 조중생종에 비해 중만생종의 수량 감소율이 컸으며, 재배시기 조정여부에 따른 벼 생산성 변화의 차이가 컸다. 기상환경 및 재배 요인 중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변화에 대한 기여도는 기후온난화가 59.8%로 가장 크며, 재배시기 11.8, $CO_2$ 비료효과 9.7, 벼 생태형 1.7%의 순이었다. 온도와 재배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1.5%이었으며, 그 외 모든 상호작용 효과는 1% 이내로 생산성 변화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수량관련 생육형질 중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는 재배시기가 고정되었을 경우 영화수가 13.5~45.8%, 등숙율이 53.1~86.2%였으며, 재배시기를 변경할 경우 영화수는 46.2~78.3%, 등숙율은 21.6~53.4%로 재배시기 여부에 따른 수량관련 생육형질의 기여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벼 생태형간에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임실율은 벼 수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 temperature in Korea has increased by $1.5^{\circ}C$ over the last 100 years, which is nearly twice the global average rate during the same period. Moreover, it is projected that such change in temperature will continue in the 21st centu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국제미작연구소와 네덜란드 Wageningen 대학에서 공동 개발한 벼 모델 ‘ORYZA2000’을 일부 개선한 모델을 이용하여 기후 변화(SRES A1B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의 벼 생산성 변화를 생육모의 하고, 추가로 기후변화 주요 변동요인인 온도 및 CO2 농도와 적응수단인 재배 시기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조건에서의 생육모의를 통해 벼 생산성에 미치는 이들 요인들의 개별 및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 중 중만생종은 비교적 최적파종기에 근접해서 파종을 하고 있으나 조생종 및 중생종 품종은 대체적으로 최적파종기에 비해 일찍 파종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최적파종기를 준수하는 정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파종기 조건을 적용해서 분석할 경우에는 기후변화에 따라 재배 시기를 조정할 때 벼 생태형별로 비교 기준이 달라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벼 생태형별로 최적 파종기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 본 연구에서는 작물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주요 변동요인인 온도 및 CO2 농도와 적응수단인 재배시기가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작물모형 중 개선된 ORYZA2000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작물모형에서 온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준년도(1981~2010)의 기상조건보다 일 최고 및 최고온도의 온도를 1~6℃까지 1℃간격으로 상승한 조건에서 생육모의를 하였으며, CO2 농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준년도의 CO2 농도인 362ppm보다 100~600ppm까지 100ppm 간격으로 증가한 조건에서 생육모의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04년 이후 2000년까지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어느 정도 상승하였는가? 최근 100년간(1906~2005년) 세계의 평균기온이 0.74oC 상승한 반면, 1904년 이후 2000년까지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1.5oC 상승하였으며(NIMR, 2004), A1B의 기상시나리오에 따르면 100년 후 전지구적인 기온상승은 2.8oC인데 비하여(IPCC, 2007), 한반도는 4.
기후변화란 무엇인가? 기후변화란 기후 특성의 평균이나 변동성의 변화를 통해 확인 가능하고 수십 년 혹은 그 이상 오래 지속되는 기후상태 변화를 뜻하는데, 자연적 변동성 때문이든 인간 활동에 따른 결과이든 시간경과에 따른 모든 기후변화를 일컫는다(IPCC, 2007). 최근 100년간(1906~2005년) 세계의 평균기온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chelet, D., J. Kern, and M. Tolg, 1995: Balancing the rice carbon budget in China using spatially-distributed data. Ecological Modelling 79 (1), 167-177. 

  2. Baker, J. T., 2004: Yield responses of southern US rice cultivars to $CO_{2}$ and tempera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2, 129-137. 

  3. Baker, J. T., L. H. Allen Jr, and K. J. Boote, 1992: Temperature effects on rice at elevated $CO_{2}$ concentr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3, 959-964. 

  4. Bouman, B. A. M., M. J. Kropff, T. P. Tuong, M. C. S. Wopereis, H. F. M. ten Berge, and H. H. van Laar, 2001: ORYZA2000: modeling lowland rice. Los Banos (Philippines);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and Wageningen: Wageningen University and Research Centre. 235p. 

  5. Chung, U., K. S. Cho, and B. W. Lee, 2006: Evaluation of site-specific potential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4), 229-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i, R. X., and B. W. Lee, 2002: Spikelet number estimation model using nitrogen nutrition status and biomass at panicle initiation and heading stage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7(5), 390-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agadish, S. V. K., P. Q. Craufurd, and T. R. Wheeler, 2007: High temperature stress and spikelet fertility in rice (Oryza sativa L.).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8, 1627- 1635. 

  8. Kim, H. Y., M. Lieffering, K. Kobayashi, M. Okada, M. W. Mitchell, and M. Gumpertz, 2003: Effects of free-air CO2 enrichment and nitrogen supply on the yield of temperate paddy rice crops. Field Crops Research 83, 261-270. 

  9. Kondo, M., 2009: Effect of global warming on rice culture and adoptive strategies. International symposium 'Rice research in the era of global warming' 1-9pp. 

  10. Krishnan, P., D. K. Swain, C. Bhaskar, S. K. Nayak, and R. N. Dash, 2007: Impact of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on rice yield and methods of adaptation as evaluated by crop simulation studi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22, 233-242. 

  11. Lee, B. W., J. C. Shin, and J. H. Bong, 1991: Impact of climate change induced by the increasing atmosphere $CO_{2}$ concentration on agroclimatic resource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rice yield potential in Ko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6(2), 112-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C. K., K. S. Kwak, J. H. Kim, J. Y. Shon, and W. H. Yang,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Growing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3), 233-2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ll, R. K., and P. K. Aggarwal, 2002: Climate change and rice yields in diverse agro-environments of India. I. Evaluation of impact assessment models. Climatic Change 52, 315-330. 

  14. Matsui, T., O. S. Namuco, L. H. Ziska, and T. Horie, 1997: Effects of high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spikelet sterility in indica rice. Field Crops Research 51, 213-219. 

  15. Matthews, R. B., M. J. Kropff, T. Horie, and D. Bachelet, 1997: Simul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in Asia and evaluating options for adaptation. Agricultural Systems 54, 399-425. 

  16. NIMR, 2004: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NIMR Report, 510p. 

  17. NIMR, 2007: The application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III). NIMR Report, 599p. 

  18. NIMR, 2011: Cliamate change scenario report for 5th IPCC report. NIMR NIMR Report. 

  19. Ohe, I., K. Saitoh, and T. Kuroda, 2007: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growth, yield and dry-matter production of rice grown in the paddy field. Plant Production Science 10, 412-422. 

  20. Peng, S., H. Jianli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Z. Xuhua, H.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s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 9971-9975. 

  21. Sakai, H., T. Hasegawa, and K. Kobayashi, 2006: Enhancement of rice canopy carbon gain by elevated $CO_{2}$ is sensitive to growth stage and leaf nitrogen concentration. New Phytologist 170, 321-332. 

  22. Sasaki, H., T. Hara, S. Ito, N. Uehara, H. Y. Kim, M. Lieffering, M. Okada, and K. Kobayashi, 2007: Effect of free-air $CO_{2}$ enrichment on the storage of carbohydrate fixed at different stages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Crops Research 100, 24-31. 

  23. Seo, B. S., D. N. Nguyen, and B. W. Lee, 2010: A simulation model to predict the stability model induced by high temperature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rice. Proceeding of 40th biological systems simulation conference. 

  24. Sheehy, J. E., P. L. Mitchell, and A. B. Ferrer, 2006: Decline in rice grain yields with temperature: Models and correlations can give different estimates. Field Crops Research 98, 151-156. 

  25. Shen, S. H., S. B. Yang, Y. X. Zhao, Y. L. Xu, X. Y. Zhao, Z. Y. Wang, J. Liu, and W. W. Zhang, 2011: Simulating the rice yield chan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under SRES B2 scenario. Acta Ecologica Sinica 31, 40-48. 

  26. Shim, K. M., K. A. Roh, K. H. So, G. Y. Kim, H. C. Jeong, and D. B. Lee, 2010: Assess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rice growth and production in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1(2), 121-131. 

  27. Shim, K. M., D. B. Lee, S. H. Min, G. Y. Kim, H. C. Jeong, S. B. Lee, and K. K. Kang, 2011: Assessing impacts of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based on A1B climate change scenario on potential yield of winter covered barley in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2(4), 317- 331. 

  28. Shin, J. C., and M. H. Lee, 1995: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s. In: R. B. Matthews, M. J. Kropff, D. Bachelet, and H. H. van Laar (Eds). Model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in Asia. IRRI &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199-215. 

  29. Yang, L. X., J. Y. Huang, H. J. Yang, G. C. Dong, G. Liu, J. G. Zhu, and Y. L. Wang, 2006: Seasonal changes in the effects of free-air $CO_{2}$ enrichment (FACE)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ice (Oryza sativa L.). Field Crops Research 98, 12-19. 

  30. Yoshida, S., 1973a: Effects of temperature on growth of the rice plant (Oryza sativa L.) in a controlled environment.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19, 299-310. 

  31. Yoshida, S., 1973b: Effects of $CO_{2}$ enrichment at different stages of panicle development on yield components and yield of rice (Oryza sativa L.).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19, 311-316. 

  32. Ziska, L. H., P. A. Manalo, and R. A. Ordonez, 1996: Intraspecific variation in the response of rice (Oryza sativa L.) to increased $CO_{2}$ and temperature: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17 cultivar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7, 1353-13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