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고산 PM10, PM2.5, PM1.0 중 OC와 EC의 계절별 변화 특성
Seasonal Variations of OC and EC in PM10, PM2.5 and PM1.0 at Gosan Superstation o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6 no.5, 2010년, pp.567 - 580  

임세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미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강경식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for $PM_{10}$, $PM_{2.5}$ and $PM_{1.0}$ aerosols particles collected at Gosan Superstation on Jeju Island from August 2007 to September 2008. Aerosols were collected on quartz filters for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OC와 EC의 입경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 고산의 탄소성 입자의 계절적 농도 분포와 기원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탄소성 입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OC와 EC의 입경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 고산의 탄소성 입자의 계절적 농도 분포와 기원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탄소성 입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C란 무엇인가? 탄소성 입자는 흔히 Elemental Carbon (무기탄소, 이하 EC)와 Organic Carbon (유기탄소, 이하 OC)로 분류된다. EC는 Black Carbon (BC) 혹은 숯검댕(soot)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주로 화석연료와 생체(biomass)의 불완전연소로부터 대기 중으로 직접 방출되고 토양과 육상퇴적물에는 항상 존재한다(Schmidt and Noack, 2000). 이러한 EC는 비휘발성과 빛을 흡수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Han et al.
제주도 고산 배경 농도 측정소에서의 기존 먼지 측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08).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PM1.0과 같은 미세입자의 관측은 매우 미미하였다(Lim, 2009). 기후변화의 복사강제력 결정에 입자의 입경은 매우 민감한 요소이고(Brink et al., 2009), 특히 대기오염에 의한 입자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 μm 이하의 입자 연구가 필수적이다. 또한 최근에 들어 여러 차례의 집중 관측이 실시되었지만 장기간의 상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탄소성 입자의 농도 분포와 계절적 변화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매우 적다.
기후변화에 대한 탄소성 입자의 역할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무엇인가? 전 지구적 혹은 지역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탄소성 입자의 역할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탄소성 입자의 발생원을 규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Street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권원태, 김 준, 류상범, 민경덕, 민승기, 신임철, 양진석, 엄향희, 오재호, 이동규, 이승호, 이우진, 이장렬, 이현영, 전종갑, 조영순, 최영은, 허창회(2004) 한국의 기후, 기상청 기상연구소, 417. 

  2. Andrews, E., P. Saxena, S. Musarra, L.M. Hildemann, P. 

  3. Brink, H., R. Otjes, P. Jongejan, and G. Kos (2009) Monitoring 

  4. Cachier, H., C. Liousse, M.-H. Pertuisot, A. Gaudichet, F. 

  5. Cao, J.J., J.C. Chow, S.C. Lee, Y. Li, S.W. Chen, Z.S. An, K. 

  6. Cao, J.J., S.C. Lee, K.F. Ho, X.Y. Zhang, S.C. Zou, K. Fung, 

  7. Chow, J.C., J.G. Watson, P.K. Louie, L.W. Chen, and D. Sin 

  8. Chow, J.C., J.G. Watson, Z. Lu, D.H. Lowenthal, C.A. Frazier, 

  9. Dan, M., G. Zhuang, X. Li, H. Tao, and Y. Zhuang (2004) 

  10. Dommen, J., A. Metzger, J. Duplissy, M. Kalberer, M.R. 

  11. Gard, E.E., M.J. Kleeman, D.S. Gross, L.S. Hughes, J.O. 

  12. Gray, H.A., G.R. Cass, J.J. Huntzicker, E.K. Heyerdahl, and 

  13. Guenther, A., T. Karl, P. Harley, C. Wiedinmyer, P.I. Palmer, 

  14. Gustafsson, O., M. Krusa, Z. Zencak, R.J. Sheesley, L. 

  15. Hagler, G.S., M.H. Bergin, L.G. Salmon, J.Z. Yu, E.C.H. Wan, 

  16. Han, Y., J. Cao, J.C. Chow, J.G. Watson, Z. An, Z. Jin, K. 

  17. IPCC (2007)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18. Jang, M., S. Lee, and R.M. Kamens (2003) Organic aerosol 

  19. Jones, A.M. and R.M. Harrison (2005) Interpretation of particulate 

  20. Kim, E. and P.K. Hopke (2004a) Source apportionment of fine 

  21. Kim, E. and P.K. Hopke (2004b) Improving source identification 

  22. Kim, E., P.K. Hopke, D.M. Kenski, and M. Koerber (2005) 

  23. Kim, E., P.K. Hopke, and E.S. Edgerton (2004) Improving 

  24. Kim, I., S. Li, and K.-R. Kim (2008) Variations of trace gases 

  25. Kim, Y.P., J.H. Lee, N.J. Baik, J.Y. Kim, S.G. Shim, and C.H. 

  26. Kim, Y.P., K.-C. Moon, and J.H. Lee (2000) Organic and elemental 

  27. Kondo, Y., Y. Miyazaki, N. Takegawa, T. Miyakawa, R.J. 

  28. Kroll, J.H., N.L. Ng, S.M. Murphy, R.C. Flagan, and J.H. Seinfeld 

  29. Lee, H.-W., T.J. Lee, and D.S. Kim (2009) Identifying ambient 

  30. Lee, J.Y., Y.P. Kim, G.N. Bae, S.M. Park, and H.C. Jin (2008) 

  31. Lee, M., M. Song, K.J. Moon, J.S. Han, G. Lee, and K.-R. Kim 

  32. Lim, S. (2009) Source signature of ions and carbonaceous 

  33. Maria, S.F., L.M. Russell, M.K. Gilles, and S.C.B. Myneni 

  34. Moon, K.J., J.S. Han, Y.S. Ghim, and Y.J. Kim (2008) Source 

  35. Ng, N.L., A.J. Kwan, J.D. Surratt, A.W.H. Chan, P.S. Chhabra, 

  36. Park, S.S., Y.J. Kim, and K. Fung (2001) Characteristics of 

  37. Ramanathan, V., M.V. Ramana, G. Roberts, D. Kim, C. Corrigan, 

  38. Ramanathan, V. and G. Carmichael (2008) Global and regional 

  39. Russell, L.M., S.F. Maria, and S.C.B. Myneni (2002) Mapping 

  40. Schmidt, M. and A. Noack (2000) Black carbon in soils and 

  41. Shah, J.J., R.L. Johnson, E.K. Heyerdahl, and J.J. Huntzicker 

  42. Shin, H.J., J. Kim, B.C. Choi, S.N. Oh, J. Yu, and K. Bower 

  43. Simoneit, B.R.T., M. Kobayashi, M. Mochida, K. Kawamura, 

  44. Stohl, A., C. Forster, A. Frank, P. Seibert, and G. Wotawa 

  45. Streets, D.G., T.C. Bond, G.R. Carmichael, S.D. Fernandes, 

  46. Surratt, J.D., S.M. Murphy, J.H. Kroll, N.L. Ng, L. Hildebrandt, 

  47. Szidat, S., M. Ruff, N. Perron, L. Wacker, H.-A. Synal, M. 

  48. Wang, G.H., K. Kawamura, and M. Lee (2009) Comparison 

  49. Yang, F., K. He, B. Ye, X. Chen, L. Cha, S.H. Cadle, T. Chan, 

  50. Zhao, W. and P.K. Hopke (2006) Source identification for fin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