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및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Mixed Hybrid Fiber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0 no.6 = no.44, 2010년, pp.67 - 75  

신용석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이지민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유명환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조철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김정섭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강섬유(Steel Fib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Fiber; 이하PP)와 PP섬유와 강섬유를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설계기준강도 4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폭렬 방지 방법을 검토하고,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보강근이 없는 보의 구조적 특성 연구를 통하여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 저항거동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하이브리드 섬유를 보강하면 균열 및 폭렬 발생, 중성화 억제 효과 등을 나타내었다. 부재실험에서는 초기균열제어, 연성과 최대내력 증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by using steel fiber, polypropylene fiber and these two hybrid fibers,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explosiv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HSC) with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40MPa are discusse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beam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가 고강도화 됨에 따라 폭렬 및 취성적인 거동을 개선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섬유(polypropylene Fiber ; 이하 PP섬유) 및 강섬유를 혼입하여 재료 시험 및 부재 실험을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폭렬 상황을 검토하고, 섬유 혼입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보강근이 없는 보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변수에 따른 부재실험과 재료시험을 통해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횜 및 전단거동을 파악하여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강섬유(Steel Fib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Fiber; 이하PP)와 PP섬유와 강섬유를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설계기준강도 40㎫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폭렬 방지 방법을 검토하고,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보강근이 없는 보의 구조적 특성 연구를 통하여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 저항 거동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하이브리드 섬유를 보강하면 균열 및 폭렬 발생, 중성화 억제 효과 등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PP섬유를 혼입한 하이브리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시험과 중성화시험 및 부재실험을 실시하여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다음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강도 콘크리트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가? 고강도 콘크리트의 성질은 보통콘크리트의 성질과 마찬가지로 경제성과 압축강도, 강성 등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나 인장, 휨 및 충격강도가 낮고 에너지 흡수능력이 적어 매우 취성적이며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단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가? 또한 보는 휨과 더불어 전단력의 영향이 큰 부재이다. 전단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는 균열이 생기기 전에는 전단응력이 콘크리트 자체의 전단저항에 의하여 저항하나 균열이 발생하면 이러한 전단저항이 감소하고 급작스런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6].
본 연구에서 실험한 강섬유 및 PP섬유를 혼입한 하이브리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중성화 및 부재실험을 통한 특성 결론은 어떠한가? 1)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폭렬의 발생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내화실험 후 실시한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콘크리트에서 압축강도의 잔존율이 보통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중성화 깊이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 경향이 나타나지만 중성화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 휨 실험결관, 강섬유 혼입 실험체와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실험체의 초기균열하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보의 초기균열 제어 효과를 나타내었다. 휨 실험체별 연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실험체의 연성이 기준실험체에 비해 4% 정도 높게 나타났다. 5) 전단보강근이 없는 실험체 실험 결과, 기준실험체 보다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실험체가 44.6% 정도 높게 나타나고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전단보강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초기균열 제어 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최대내력은 기준실험체보다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실험체는 19.4% 정도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JS, Cho CH, Shin YS. A study on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8;8(5):35-42. 

  2. Kim JS, Cho CH, Shin YS.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9(4):131-7. 

  3. Kim DS.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ment Concrete. [PhD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0. 

  4. Shin SW, OH JK, Lee KS, Kwon YH.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Without Shear Confine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89;9(1): 381-94. 

  5. Chung HS, Lee SJ. An Experiment Study on the bending behavior of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89;9(2):475-82. 

  6. Lee WH, Yang WJ, Jee SW, Jung IH. A influence of Parameters on the Flexural and Shear Behavior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6;26(1):225-8. 

  7. HONMA A. A research of Spalling of Concrete, CiNii-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1992:1393-4. 

  8. NISHIDA A, YAMAZAKI N, INOUE H,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short polypropylene fiber for Spalling Resistance, CiNii-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1994:331-8. 

  9. KASAI Y, MATSUI I, YUASA N, ZHOU J. A study on Heat-resisting concrete: Discussion Aggregate, CiNii-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1994:223-4. 

  10. Harmathy TZ. Fire Safety Design & Concrete. Longman Group UK Kimited; 1993. 

  11. Pierre K, Gregoire C, Christophe G. High Temperature Behaviour Concrete of HPC with Polypropyle- ne Fibers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2001;31:1487-99. 

  12. Bilodean A., Malhotra VM, Hoff GC. Hydrocarbon Fire Resistance of High Strengh Normal Weight and Light Weight Concrete Incorporating Polypropylene Fibers,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Performance and Reactive Powder Concrete, Sherbrooke, QC. 1998:271-96. 

  13. Boo CY, Kim JW. A Study on the Shear behavior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Bea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4;14(2):57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