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합 구근 분말 첨가가 반죽 물성 및 제빵 가공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lium davidi's Root Powder Additions on the Rheology of the Dough and Processing Adaptability for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287 - 293  

정용면 (창원전문대학 호텔제과제빵학과) ,  이경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황성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손만자 (충남제과제빵기술학원) ,  이기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맥분에 백합 구근분말을 첨가한 물리적 특성은 백합 구근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farinogram에서 탄력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점탄성, 흡수율, 흡수 시간 및 안정도는 3%이상 첨가 시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apid viscoanalyzer(RVA)에서 유지 강도, 최종점도, breakdown, setback 값, alveogram의 $P_{max}$값과 falling number 값은 감소하였다. 소맥분에 백합 구근의 첨가량과 입도 차에 의한 호화도 특성에서 초기 호화온도는 일반 분쇄 및 미분쇄($10\;{\mu}m$) 백합 구근분말의 종류와 양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heofermentometer로 측정한 gaseous release는 전체 $CO_2$ 가스 발생량과 보유량이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백합 구근분말의 입도와 첨가 비율에 따른 식빵의 가공적성에서 식감, 향미, 맛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촉감과 크럼 색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빵의 가공 적성에서 일반 분쇄 3%와 초미분쇄 3% 첨가군이 양호하였으나,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대조구 다음으로 미분쇄 백합 구근분말 3% 첨가군에서 우수하였다. 이미 백합 구근의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은 검증되어져 발표되어 있는 만큼 제빵 가공에서 조직감의 문제를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건강 기능성 제빵으로 상품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dded with lily's root powder, elasticity in farinograms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added lily's root powder increased. However, viscoelasticity, absorptivity, absorption time, and stability tended to decrease after an initial increase when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백합 구근을 일반 분쇄(70 μm) 및 미분쇄(minute powder, 10 μm) 공정을 이용하여 백합 구근분말을 제조한 후 소맥분 대비 각각 3, 5%를 첨가하여 물성과 발효력 등을 분석함으로써 제빵 가공에서 조직감의 문제를 보완해 건강기능성 제빵으로 상품화 최적 첨가비율을 결정하고자 하였다(8,9).

가설 설정

  • 1)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합이란? 백합(Lilium davidi)은 백합과(Liliaceae) 속하는 내한성 경구 근초(hardy bulbous)로 예로부터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백합은 관상용으로 주로 쓰이지만 꽃뿐만 아니라 뿌리인 구근도 식용으로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하였다(5).
미분쇄 공정기술을 통해 식품소재를 미분화함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인삼, 도라지 등 식물섬유를 포함한 물질의 미분쇄에는 전단력과 충격력의 복합작용을 부여하는 고속회전식 충격 분쇄기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식품소재를 미분화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식감의 개선, 소화, 흡수의 개선, 풍미와 색채 등을 들 수 있으며 인간의 혀로 인식할 수 있는 입도는 약 20 μm까지라고 일컬어진다(1). Miyakawa(2)는 미분쇄한 시료는 입자 크기 및 밀도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 단백질, 전분, 무기질, 식이섬유 등을 함유한 여러 가지 기능성식품 소재와 한방 원료의 가공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인간의 혀로 인식할 수 있는 입도는 얼마인가? 인삼, 도라지 등 식물섬유를 포함한 물질의 미분쇄에는 전단력과 충격력의 복합작용을 부여하는 고속회전식 충격 분쇄기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식품소재를 미분화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식감의 개선, 소화, 흡수의 개선, 풍미와 색채 등을 들 수 있으며 인간의 혀로 인식할 수 있는 입도는 약 20 μm까지라고 일컬어진다(1). Miyakawa(2)는 미분쇄한 시료는 입자 크기 및 밀도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 단백질, 전분, 무기질, 식이섬유 등을 함유한 여러 가지 기능성식품 소재와 한방 원료의 가공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hu TS, Lee G, Seo YK, Lee KP, Kim DJ. 2004. Micro particle technology in food science. Food Science and Industry 30: 17-21. 

  2. Miyakawa HN. 1999. Up-to-data food processing. Health Industry News Paper Tokyo Japan 35: 37-42. 

  3.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Porio coco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554-562. 

  4. Hlynka I. 1970.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 bread making process. In The Bakers Digest. Grain Research Laboratory, Winnipeg Man., Canada. 

  5. Lee JY. 2003. Utilization of Korean Wild Lily. Korea Academy of Native Species, Chungnam, Korea. p 47-58. 

  6. Lee JA, Chun HP. 1996.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in three Lilium cultivars. J Korean Soc Hort Sci 43: 343-346. 

  7.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8. Fujiyama Y. 1981. Method of experiment. Japan International baking school, Tokyo, Japan. p 3-57. 

  9. Campos NG, Webby RF, Markham KR, Michael KA, Cunha AP. 2003. Age induced diminu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bee pollens and the contribution of constitution of constituent flavonoids. J Agric Food Chem 51: 742-745. 

  10. AACC. 199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Minnesota, USA. p 08-01, 10-10b, 38-10, 44-15A, 46-10, 50-11, 54-21, 54-30, 56-81B. 

  11. Deffenbaugh LB, Walker CE. 1989. Comparison of starch pasting properties in the Brabender visco-amylograph and the rapid visco analyzer. Cereal Chem 66: 493-499. 

  12. $F_3$ rheofermentometer instruction manual. 1996. Operating principle result analysis. Chopin SA, Villeneuve La Garenne Cedex, France. p 1-18. 

  13. Lee HG, Chung RW, Sin SJ. 2004.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ckhapbyung by different ratios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0-486. 

  14.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sixth revision. p 352-357. 

  15. Lee HS. 2002. Effect of barley varieties and pearling rate on baking properties.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6. Pomeranz Y, Shorgen MD, Finney KF, Bechtel DB. 1997. Fiber in bread making 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17. Dong W, Hoseney RC. 1995. Effects of certain bread making oxidants and reducing agents on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Cereal Chem 72: 58-64. 

  18. Rosell CM, Wang S, Bean S, Lookhart G. 2003. Wheat flour proteins as affected by transglutaminase and glucose oxidase. Cereal Chem 80: 52-55. 

  19. Valjakka TT, Ponte JG, Kulp K. 1994. Studies on a raw-starch digesting enzyme. Ⅰ. Comparison to fungal and bacterial enzymes and an emulsifier in white pan bread. Cereal Chem 71: 139-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