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치제도가 사회정책의 발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Pattern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Social Policy Developments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2 no.3, 2010년, pp.141 - 162  

홍경준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사회정책의 결과는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를 집합적인 의사결정으로 전환하는 기제, 즉 정치제도의 차이와 관련된다는 이론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위특성을 가진 사회성원이 사회정책을 선호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선호를 집합적으로 모으는 제도적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따라 사회정책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회정책에 대한 직능제약 선호만 놓고 보면 일본과 한국은 조정시장경제로 분류되는 다른 국가들 못지않다. 하지만 일본과 한국은 조정시장경제나 자유시장경제로 분류되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발전정도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노동인구를 표적집단으로 하는 사회정책 프로그램의 발전 정도 또한 낮다. 이러한 비교양상은 사회성원들의 선호를 집합적 의사 결정의 바탕으로 삼는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낙후성이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와 실제 사회정책 발전 사이의 괴리라는 현상과 관련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민주주의 정치제도가 어느 정도 발전해 있는 국가들 사이에서는 사회정책에 대한 사회성원들의 직능제약 선호의 차이 뿐 아니라, 선거규칙이라는 정치제도의 측면에서도 차이가 발견된다. 결국 16개 국가들의 종합적 양상은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와 그것을 집합적으로 모으는 정치제도, 그리고 실제 사회정책 발전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tries t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a formal model of social policy development which has been presented in a former paper of this study. In the direct democracy, median voter's social policy preference is critical because he is Condorcet winner in a pair-wise pure majority voting. Bu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정책에 대한 선호의 이질성은 개인의 어떤 점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가? 그리고 그것을 통해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회성원은 소득보장제도, 즉 사회정책의 발전을 선호하나 반대로 효용의 감소를 경험하는 사회성원은 그것의 발전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다. 사회정책에 대한 선호의 이질성은 물론 개인이 가진 어떤 특성(사회경제적 지위, 노동시장에서의 위치, 연령, 위험회피 성향 등등)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정책에 대한 사회성원들의 선호를 그들이 가진 특성의 단조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면 다수결 원칙에 따른 집합적 선택이 가능한데, 이를 선호의 단일 교차성(single crossing property) 조건이라 한다(Gans and Smart, 1996).
소득보장제도는 어떤 기준에 따라 분배하는가? 대표적인 공적 소득이전 제도는 물론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그리고 사회수당을 포함하는 소득보장제도이다. 소득보장제도는 사회성원들로부터 거둔 세금(혹은 기여금)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 분배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회성원은 소득보장제도, 즉 사회정책의 발전을 선호하나 반대로 효용의 감소를 경험하는 사회성원은 그것의 발전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다.
한국과 일본이 자산모형에서 예외적인 사례로 간주될 수 없다고 보는 이유는? 하지만, 이러한 사례가 보편적인 이론의 적용범위를 넘어서는 예외, 혹은 특수한 경우로 간주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왜냐하면, 사회정책에 대한 선호가 실제 사회정책의 발전을 이끌기 위해서는 그러한 선호가 집합적 의사결정 과정에 온전히 반영된다는 전제가 필요하며, 이런 전제는 민주주의 정치제도를 잘 구비한 일부 국가들에만 들어맞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극히 당연한 말이지만 일본이나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 복지국가에 ‘예외’나 ‘혼합’ 등의 딱지를 붙이는 것은 해당 사례가 가진 문제라기보다는 그것에 대한 이론의 문제라는 것이다. 집합적 의사결정의 구체적인 제도적 형태가 사회정책의 결정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할 필요성은 여기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