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돼지 임신 진단을 위한 Heterologous ELISA 법 개발
Development of Heterologous ELISA System for Diagnosis of Pregnancy in Swine 원문보기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 한국동물번식학회지, v.34 no.3, 2010년, pp.161 - 167  

박성민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안나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윤택준 (유한대학 식품영양과) ,  박용수 (경북축산기술연구소) ,  송태준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영훈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안효선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원철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종배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rly diagnoses of pregnancy for animal such as swine and bovine is extremely important to increase income of a farmhouse and for the management of farm. For the development of immunoasaay system of pregnancy in swine, we report a competitive heterologous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히서는 hormone 분석을 통한 가축의 임신 진단에 대한 보고가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젖소의 경우, 혈중 또는 우유 내 proges- terone을 ELEA 법으로 측정한 보고는 되어 있으나 (Kim 등2008), 돼지의 조기 임신 진단에 대한 뇨중 호르몬 대사산물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조기 임신 진단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E1S와 교차 반응을 나타내는 ElQglu- ctuxmide)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heterologous ELA'법을 개발하여 임신 및 비임신 돼지로부터 채취한 오줌 시료 내 E1S 농도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돼지의 임신 진단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이후 돼지 임신 진단에 적용할 수 있는 kit 개발이나 새로운 분석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돼지의 조기 임신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 임신 돼지 오줌 내에 존재하는 E1S를 측정하는 ELISA 법에 관한 것이다. 임신한 돼지의 오줌에 존재하는 E1S는 다른 대사산물에 비하여 높은 농도가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어 조기 임신 진단 방법으로 개발이 시도되었다(Almond 와 Dial, 1986; Atkinson 등, 1987).
  • E1S의 면역 분석법 개발을 위하여 첫 번째로 E1S에 대한 항체의 생산이 요구되는데 E1S의 안정성 문제로 항체 생산이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어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Seren 등, 1983; Almond 등, 1985). 이에 본 연구에선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E1S와 교차 반응을 하는 항체를 이용한 소위 'hetelogous system immxmoassay(Tagawa 등, 2000) 법을 개발하게 되었고 성공적으로 확립하였다. 성공적인 heterologous ELISA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항체의 교차 반응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Ta- gawa 등,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mond GW, Bosu WTK, King GJ (1985): Pregnancy diagnosis in swine: A comparison of two ultrasound instruments. Can Vet J 26:205-208. 

  2. Almond GW, Dial GD (1986): Pregnancy diagnosis in swine: a comparison of the accuracies of mechanical and endocrine tests with return to oestrus. J Am Vet Med Assoc 189:1567-1571. 

  3. Atkinson S, Williamson P (1987): Measurement of urinary and plasma estrone sulphate concentrations from pregnant sows. Domest Anim Endocrinol. 4:133-138. 

  4. Barnard G, Amir-Zaltsmam Y, Lichter S, Gayer B, Kohen F (1995): The measurement of oestrone-3-glucuronide in urine by non-competitive idiometric assay. J Steroid Biochem Molec Biol 55:107-114. 

  5. Choi HS, Kiesenhofer E, Gantner H, Hois J, Bamberg E (1987): Pregnancy diagnosis in sows by estimation of oestrogens in blood, urine or faeces. Animal Reproduction Science 15:209-216. 

  6. Diamandis EP, Bhayana V, Conway K, Reichstein E, Papanastasiou-Diamandis A (1988): Time-resolved fluoroimmunoassay of cortisol in serum with a europium chelate as label. Clin Biochem 21:291-296. 

  7. Garmo RT, Refsdal AO, Karlberg K, Ropstad E, Waldmann A, Beckers JF, Reksen O (2008): Pregnancy incidence in Norwegian red cows using nonreturn to estrus, rectal palpation, pregnancy-associated glycoproteins, and progesterone. J Dairy Sci 91:3025-3033. 

  8. Gaustad-Aas AH, Ropstad E, Karlberg K, Hofmo PO, Dahl E (2002): Oestrone sulphate measurements for the prediction of small or large litters in pigs. Acta Vet Scand 43:157-164. 

  9. Gowan EW, Etches RJ, Bryden C, King GJ (1982): Factors affecting accuracy of pregnancy diagnosis in cattle. J Dairy Sci 65:1294-1302. 

  10. Hattersley JP, Drane HM, Matthews JG, Wrathall AE, Saba N (1980): Estimation of oesterone sulfate in the serum of pregnancy sows. J Reprod Fert 58:7-12. 

  11. Hatzidakis G, Katrakili K, Krambovitis E (1993): Development of a direct and specific enzymeimmunoassay for the measurement of oestrone sulfate in bovine milk. J Reprod Fertil 98:235-240. 

  12. Honjo H, Kitawaki J, Itoh M, Yasuda J, Yamamoto T, Yamamoto T, Okada H, Ohkubo T, Nambara T (1986): Serum and urinary oestrone sulphate in pregnancy and delivery measured by a direct radioimmunoassay. Acta Endocrinol (Copenh) 112:423-430. 

  13. Isobe N, Nakao T (2004): Pregnancy diagnosis in miniature pig by direct ELISA of oestrone derivatives in faeces. Reprod Domest Anim 39:48-51. 

  14. Kim CH, Bhak JS, Shin JS, Kang CB (2008): A study on the early diagnosis by changing of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morphology of ovary in pregnancy and non-pregnancy cows. Korean J Vet Sevr 31:397-414. 

  15. Kim JB, Barnard GJ, Collins WP, Kohen F, Lindner HR, Eshhar Z (1982): Measurement of plasma estradiol-17 beta by solid-phase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n Chem 28:1120-1124. 

  16. Kohen F, Pazzagli M, Kim JB, Lindner HR (1980): An immunoassay for plasma cortisol based on chemiluminescence. Steroids 36:421-437. 

  17. Kohen F, Kim JB, Lindner HR, Collins WP (1981): Development of a solid-phase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for plasma progesterone. Steroids 38:73-88. 

  18. Robert V, Knox RV, Althouse GC (1999): Visualizing the reproductive tract of the female pig using realtime ultrasonography. Swine Health Prod 7:207-215. 

  19. Park ML, Kim YK, Kim CK, Kim JB (1996): Development of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measurenment of total triiodothyronine in serum. J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447-454. 

  20. Seren E, Mattioli M, Gaiani R, Tamanini C (1983): Direct estimation of urine estrone conjugate for a rapid pregnancy diagnosis in sows. Theriogenology 19:817-822. 

  21. Stefanakis A, Boscos C, Alexopoulos C, Krambovitis E (200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rect enzyme immunoassay for oestrone sulphate in urine as a tool for diagnosis of early pregnancy in swine. Anim Reprod Sci 58:127-135. 

  22. Tagawa N, Tamanaka J, Fujinami A, Kiguchi T, Naito T, Takano T, Amino N, Kobayashi Y (2000): Heterologous enzyme immunoassay for serum androstenediol. Clin Chim Acta 296:193-201. 

  23. Wellenberg GJ, Borst GH, Bouwkamp FT (1989): Determination of estrone sulfate levels in the blood and urine of pigs. Tijdschr Diergeneeskd(Dutch) 114:14-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