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격적 사고를 목격한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A Clinical Study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ho Witnessed a Tragic Accident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3 no.2, 2010년, pp.143 - 150  

김선현 (CHA 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임상미술치료) ,  장영윤 (CHA 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소아분과)) ,  권복자 (한국학교보건학회) ,  장은희 (CHA 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can be seen in children's paintings,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what role art therapy plays in diagno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hildren who experienced trauma, through an art therapy progra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wit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이 외현적으로 나타나기 전에 그림을 통해 미리 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첫 번째 진단에서 정상으로 분류된 아동들 중에서 추후 실시된 검사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된 아동들의 그림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여러 아동들의 그림 속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발전될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그림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방사고로 학부모들의 사망을 목격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미술치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이 외현적으로 나타나기 전에 그림을 통해 미리 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첫 번째 진단에서 정상으로 분류된 아동들 중에서 추후 실시된 검사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된 아동들의 그림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여러 아동들의 그림 속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발전될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그림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하지만 주제 제시 시 외상과 관련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고, 아동이 다른 주제로 그리고 싶어 하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그리고 싶은 것을 그릴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미술치료는 전체 미술치료의 진행 과정에서 가장 초기 단계의 개입이며, 아동의 정서적 진단과 감정 표출에 도움을 주고자 진행된 단기간의 개입이다.
  • 본 연구에서는 3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함께 진행된 아동발현불안검사에서 모두 '아니오' 로 표기하며 검사 자체를 거부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 아동들의 미술치료 진행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심리 검사나 치료적 개입을 거부하는 아동들에게 미술치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아동의 심리 진단적인 측면의 가능성과 함께, 미술치료가 충격적 사고를 목격한 아동에게 언어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억눌려 있던 부정적인 감정을 가장 안전한 방식으로 표출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임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상을 경험한 아동의 심리 내적인 진단이 기존의 인터뷰나 설문지 방식의 평가 도구로는 진단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비언적인 의사소통 방식의 미술 치료가 투사적 도구로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예측 진단이 가능한지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미술치료가 아동들의 외상을 시각화하여 내면에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국내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소방사고를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사례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미술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는 무엇인가? 이러한 외상의 경험에 있어서 아동들 역시 예외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아동은 성인에 비해 외상에 더욱 취약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나타내는 비율도 높다 (Frederick, 1985).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에 오는 전반적인 불안장애로,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정신적 충격에 의한 스트레스를 경험하였을 때 나타나는 장애이다.
정신적 충격에 의한 스트레스 증상들에 대한 중재가 지연 될 경우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아동은 아직 성장하는 과정이고 표현력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동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어 성인보다 더욱 심각한 무기력을 느끼게 되며 정신적 충격, 마음의 상처를 받을 수 있어 전 인생에 걸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정신적 충격에 의한 스트레스 증상들에 대한 중재가 지연 될 경우, 아동은 일반적으로 야뇨증, 야경증, 악몽, 분리불안, 퇴행이나 식욕저하,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 등의 부적응 행동 증상들을 발전시킬 수 있고 (이은진, 2007), 외상사건의 피해를 상기시키는 고통과 자극 (예: 학교건물, TV장면, 사람들)에 대한 공포증을 보일 수 있다 (김청송, 2003). 따라서 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조기 발견하고, 심리 치료적인 개입을 통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술치료로 해결할 수 있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술치료는 아동이 경험한 외상에 대해 언어적으로 이야기하기 전에 시각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 그들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Malchiodi,1997). 자신의 내적인 문제를 그림이라는 비언어적 자기표현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러한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아동이 가질 수 있는 방어나 저항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갈등, 불안과 위기가 감소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윤경 (2001).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표출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 김청송 (2003). 정신장애 사례연구; DSM-IV를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3. 이지영 (2007). 가정폭력으로 인한 외상을 경험한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전순영 (2000). 학대받은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제7권, 제2호. 

  5. 최진숙, 조수철 (1990). 소아 불안의 측정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신경정신의학, 29(3), 691-702. 

  6. 홍은주 (2001). 아동학대와 미술 치료적 접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5. 

  7. Burns, R. C., & Kaufman, S. H (1972). Action, style,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s (K-F-D): An interpretative manual. New York: Brunner/Mazel. 

  8. Frederick, C. J. (1985). Selected foci in the spectrum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In S. Murphy & Laube (Eds) Perspectives on disaster recovery. New York: Appleton Century-Crofts. 

  9. Hammer, E. (1969). The clinical application of projective drawings.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10. Machover, K. (1949). Personality projection in the drawing of the human figure. Springfild, IL: Charles C Thomas. 

  11. Malchiodi, C. A. (1997). Breaking the silence: Art therapy with children from violent homes (2nd ed.). New York: Brunner-Routledge. 

  12. Malchiodi, C. A., 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공역 (2001). 아동미술심리 이해. 서울: 학지사. 

  13. Oaklander Violet, 김정규, 윤인, 이영이 공역 (2006).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게슈탈트 예술치료. 서울: 학지사. 

  14. Terr, L. (1981). Psychic trauma in children: Observations following the Chowchilla school bus kidnapping. Am J Psychiatry, 138, 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