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경향 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Tendenc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3 no.2, 2010년, pp.237 - 245  

임윤희 (본리초등학교) ,  김미한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to the children with tendenc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ethods: This study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were 18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게 사회기술 훈련의 각 영역별로 적절히 배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 현장에서 주 5회 매일 아동의 행동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ADHD로 확진 받지는 않았지만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를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보건교사가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의 사회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문제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사회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synchronized design)이다<;표 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ADHD로 진전될 수 있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문제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할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의 사회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사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실험군 8명, 대조군 10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x2 test,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 ADHD는 학령 전기 또는 학령기에 흔히 관찰되는 아동기 발달 장애 중의 하나로 사회기술이 현저히 부족하여 또래 놀이를 방해하거나 또래들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가진다 (Campbell & Paulauskas, 1979). 본 연구는 코너스 평정 척도를 통하여 ADHD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여 사회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 아동의 전체 사회기술 능력과 하위영역인 협동성, 자기주장 및 자기통제에 변화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연구참여에 관한 설명과 승낙 과정은 참여자의 인권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결과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고, 연구 이외의 목적에는 자료를 이용하지 않으며, 프로그램 참여 중에라도 원치 않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아동과 학부모 모두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0명을 난수표를 이용하여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게 사회기술 훈련의 각 영역별로 적절히 배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 현장에서 주 5회 매일 아동의 행동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ADHD로 확진 받지는 않았지만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를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보건교사가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의 사회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집중을 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활달한 과잉행동을 보이며 충동적인 성향을 가지는 발달장애이다 (채규만, 1999). 최근 우리나라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ADHD가 있는 학생을 조사한 결과 5.
아동기 때 ADHD가 있으면 어떤 어려움이 생기는가? 아동기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인데 ADHD가 있으면 학업성취도가 낮아지고 또래관계 형성이 어려우며 열등감이 생겨 그 시기에 성취해야 할 발달 과업 형성에 장애를 갖는다. 또한 이런 상태는 청소년기, 성인기까지 이어져 부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의 근원이 되며 심해지면 물질 남용의 가능성이 높고 직장 및 사회생활의 적응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오원옥과 박은숙, 2007) ADHD 경향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고 초기 중재적 개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ADHD에 대한 치료 중재 중 사회기술 훈련은 어떤 항목들로 범주화 되어있는가? 따라서 최근 ADHD에 대한 중재로 인지-행동요법, 부모 교육 및 훈련, 사회기술훈련 등의 다양한 접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사회기술훈련은 사회적 행동주도하기, 함께 참여하고 놀기, 협동하기, 자기표현이나 타인에게 긍정적 표현하기, 적절한 대화 기술 익히기 등으로 범주화되어 있어 (오혜선, 2005) 대상 아동으로 하여금 또래와 어울리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아동기의 사회적 관계형성이 아동기 이후의 사회적 적응과 직결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의미가 있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미예, 박완주, 서지영, 장군자 (2009).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매뉴얼. 8-12. 서울: 수문사. 

  2. 김향지 (1997). 사회적 기술 중재전략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44, 대구. 

  3. 류병천 (2003). 보상의 수혜자에 따른 ADHD 성향 아동의 욕구 만족 지연 시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17, 서울. 

  4. 박순말 (2005). ADHD 아동을 위한 Multi-modal 접근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45, 수원. 

  5. 심성희 (1998). 인지적 행동수정이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23-24, 석사학위논문, 서울. 

  6. 오혜선 (2005). ADHD성향아동의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연구: 컴퓨터 영상 프로그램과 심리적 시연 기법을 활용하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22, 서울. 

  7. 오원옥, 박은숙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아동 부모의 양육 경험: 정상에 다가가기. 대한간호과학회지, 37(1), 91-104. 

  8. 이명자 (2002).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귀인성향 및 사회적 기술의 차이.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20, 광주. 

  9. 이수진 (2008). 사회적 기술 훈련을 적용한 ADHD아동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0-124, 진주. 

  10. 이정은, 김춘경 (2002).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기술과ADHD 주요증상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18(2), 207-223. 

  11. 임경희, 조붕환 (2004). 성, 학년, 지역에 따른 초등학생의 ADHD 출현을 조사연구. 초등교육연구, 17(1), 235-360. 

  12. 신진원 (2010). ADHD경향 아동의 공감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75, 서울. 

  13. 채규만 (1999). 아동의 학습장애와 ADHD의 진단과 치료적 접근, 99년도 임상심리학회 1차 workshop, 1-6. 

  14. 한은선 (1999).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 (ADHD)아동의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19, 서울. 

  15. 한금선, 임희수, 양보겸, 정혜경, 서용진 (2005). 정신질환자의 자기 주장훈련이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896-903. 

  16. Barkley, R. A. (1989).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E. J. Mash & R. A. Barkley (eds.), Treatment of childhood disorders. 39-72, New York: Guilford Press. 

  17. Campbell, S. B., & Paulauskas, S. L. (1979). Peer relationship in hyperactivity children.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 233-246. 

  1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Frankel, F., Myatt, R., Cantwell, D. P., & Feinberg, D. T. (1997). Parent-assisted transfer of children's social skills training: Effects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36(8), 1056-1064. 

  20. Gresham, F. M., & Elliott, S. N. (1984).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cial skill: A review of methods and issues. School Psychol Rev, 13, 292-301. 

  21. Goyette, C. H., Conners, C. K., & Ulrich, R. F. (1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J Abnorm Child Psychol, 6, 221-236. 

  22. Hinshaw, S. P., Henke, B., & Whalen, C. K. (1984). Self-control in hyperactive boys in anger-including Situations: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raining and of methylphenidate. J Abnorm Child Psychol, 12, 55-77. 

  23. Pfiffner, L., & McBurnett, K. (1997). Social skills training with parent generalization: Treatment effects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65(5), 749- 757. 

  24. Tanya, E. F., Bruce, P. L., Jeffery, N. E., William, J. B., Slavica, K. K., & Robert, S. K. (2007). Prevalenc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national sample of US 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161(9), 857-864. 

  25. Weiss, G. (1989).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In T. H. Ollendick & M. Herse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pathology, 131-169, New York: Plen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