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ADHD 단독군, 동반 질환을 가진 ADHD군에서의 10회기 사회기술 훈련의 효과 비교
Compared Effectiveness of 10-Session Social Skill Training for Korea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wo Groups Diagnosed as Pure ADHD and ADHD with Comorbidity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6 no.4, 2015년, pp.258 - 265  

이소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운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황선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재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은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우정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조현영 (경산세명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ve problems in social interactions. We compared the effect of 10-session social skill training (SST) among two groups, children with pure ADHD, and those with ADHD with comorbidity. Methods : Consecutive 10-session SST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군을 대상으로 진단에 따라서 순수 ADHD만을 가진 아동군과, 불안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동반한 ADHD 아동군을 대상으로 사회기술훈련 전후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사회기술훈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에 따라 순수 ADHD군과 동반 질환을 가진 ADHD군, 이렇게 두 군으로 나눈 상태에서 부모 설문지와 아동설문지를 통해 사회기술훈련 전후를 비교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은 어떤 질환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7세 이전부터 증상이 발생하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만성 경과를 밟으며 여러 기능 영역(가정, 학교, 사회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1) ADHD 아동들은 쉽게 좌절하고 분노 폭발을 보이는 등의 불안정한 기분 상태의 특성을 보이며, 부모 및 또래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미성숙하고 충동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지속적인 거부 또는 정서불안 등을 빈번히 경험하기도 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특징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7세 이전부터 증상이 발생하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만성 경과를 밟으며 여러 기능 영역(가정, 학교, 사회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1) ADHD 아동들은 쉽게 좌절하고 분노 폭발을 보이는 등의 불안정한 기분 상태의 특성을 보이며, 부모 및 또래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미성숙하고 충동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지속적인 거부 또는 정서불안 등을 빈번히 경험하기도 한다.2)
ADHD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ADHD 아동들의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조기 개입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ADHD에 대한 단일화된 효과적인 치료법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현재 ADHD의 치료법 중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약물치료이며, 약물 복용 시 주의력이 향상되고 과다활동과 공격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3) 하지만 약물치료만으로는 여러 가지 습관화된 충동적인 행동패턴이나 문제해결 방식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올바른 행동과 자기조절 능력을 학습하지 못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4.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2.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2014. 

  3. Pisterman S, McGrath P, Firestone P, Goodman JT, Webster I, Mallory R. Outcome of parent-mediated treatment of preschoolers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J Consult Clin Psychol 1989;57:628-635. 

  4. Hong KE, Oh KJ, Shin MS. Comparison of the treatment effects between medication only and medication-plus-parent training in ADHD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6: 65-73. 

  5. Kim SS, Ahn DH, Lee YH. The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medication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683-699. 

  6. Ahn DH, Kim SS, Han ES.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st ed. Seoul: Hakjisa;2004. p.110-189. 

  7. The MTA Cooperative Group. A 14-month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 strategie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MTA Cooperative Group.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Children with ADHD. Arch Gen Psychiatry 1999;56:1073-1086. 

  8. Shin YO, Hong KE, Cho SC, Kim JS. Comorbidity of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4:91-97. 

  9. Hong KE, Kim JH, Shin MS, Ahn DH.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sychiatrically referred children with inattention or hyperactivity.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7: 190-202. 

  10. Kolko DJ, Loar LL, Sturnick D. Inpatient social-cognitive skills training groups with conduct disordered and attention deficit disordered children.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0;31:737-748. 

  11. Park SY, Kwack KY, Kim MK. Effect of the Social Skill Tmining in ADHD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8;9:154-164. 

  12.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13.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14. Spielberger CD. Test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1980. 

  15. Cho SC, Choi J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eoul J Psychiatry 1989;14:150-157. 

  16. Kim BR, Cho SC, Shin YO. Development of Korean form of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4;33:1351-1369. 

  17. Shin MS, Cho SC, Chun SY, Hong KE.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ADHD diagnostic system.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11:91-99. 

  18. Achenbach TM, Edelbrock CS.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83. 

  19. Oh KJ, Lee H, Hong KE, Ha EH. K-CBCL. Seoul: Chung Ang Aptitude Publishing Co;1997. 

  20. Ahn DH, Kim SS, Han ES. Social skill training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eoul: Hakjisa;2004. p.99-100. 

  21. Biederman J, Faraone SV, Hirshfeld-Becker DR, Friedman D, Robin JA, Rosenbaum JF. Patterns of psychopathology and dysfunction in high-risk children of parents with panic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Am J Psychiatry 2001;158:49-57. 

  22. Pfiffner LJ, McBurnett K. Social skills training with parent generalization: treatment effects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1997;65:749-7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