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25 - 330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은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명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김대중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박동식 (국립식량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세포(NCI-H460)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일부 품종의 경우 발아 후에 1 mg/mL 농도에서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품종은 흑광벼로 발아 에탄올 추출물 18.89%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폐암세포주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 발아 에탄올 추출물은 5~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에 대하여 5~10%의 생존율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 후 벼의 성분분석 및 추후 항암실험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항암활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of various germinated-rough rice cultivars: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HCT116 and NCI-H46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종의 발아벼가 인체유래 암세포주(위암, 대장암 및 폐암)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암 예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의 구성요소는? )는 세계 3대곡물 중 하나이며, 벼를 도정한 쌀은 세계인구의 절반이상이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다(1,2). 벼는 80% 현미, 20% 왕겨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겨층을 제거한 것을 현미라 하는데 이 현미는 과피(pericarp), 종피(seed coat) 및 호분층(aleurone layer)으로 구성된 미강층을 배아(embryo) 및 배유(endosperm)로 이루어져 있다(3,4).
발아된 벼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벼의 종자는 씨눈과 배젖에 있는 비활성 상태의 DNA 유전정보와 각종 효소, 영양소 등이 외적환경 여건이 좋아지면 활성화되어 발아되는데, 일반적으로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증가되거나 생성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발아된 벼는 γ-orizanol이나 arabinoxylane, γ-aminobutyric acid(GABA), vitamin E 등의 생리활성 성분들이 증가하고 발아 중에 효소가 활성화되어 영양성분들의 체내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최근, 발아에 의하여 탄수화물(6), 단백질과 아미노산(7), 지방산(8,9), 무기질(10) 및 비타민(8,11) 등 영양성분의 함량 변화와 더불어 각종 효소나 효소 저해제의 하나인 트립신 저해제의 변화(6,12)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발아된 벼에 증가하는 생리활성 성분은? 벼의 종자는 씨눈과 배젖에 있는 비활성 상태의 DNA 유전정보와 각종 효소, 영양소 등이 외적환경 여건이 좋아지면 활성화되어 발아되는데, 일반적으로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증가되거나 생성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발아된 벼는 γ-orizanol이나 arabinoxylane, γ-aminobutyric acid(GABA), vitamin E 등의 생리활성 성분들이 증가하고 발아 중에 효소가 활성화되어 영양성분들의 체내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최근, 발아에 의하여 탄수화물(6), 단백질과 아미노산(7), 지방산(8,9), 무기질(10) 및 비타민(8,11) 등 영양성분의 함량 변화와 더불어 각종 효소나 효소 저해제의 하나인 트립신 저해제의 변화(6,12)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wak TS, Teo JH. 2004. Varietal variation of ripen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rice ecotypes. J Korean Intl Agric 16: 130-135. 

  2.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2005.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Agricultural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3. Kim LS,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J Korean Crop Sci 46: 

  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2005.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Agricultural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Stock Farm Product Annual per Consumption Trend. 

  5.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6.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1994. 

  7. Cho BM, Yoon SK, Kim WJ. 1985.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8. Choi KS, Kim ZU.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J Korean Food Sci Technol 17: 271-275. 

  9. Colmenarse DRAS,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s of amaranth grain. Cereal Chem 67: 519-523. 

  10. Kim IS, Kwon TB, Oh SK. 1985.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J Korean Food Sci Technol 17: 371-376. 

  11. Hsu D, Leung HK, Finney PL, Morad MM. 1980.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J Food Sci 45: 87-91. 

  12. Ikeda K, Arioka K, Fujii S, Kusano T, Oku M. 1984.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m 61: 236-240. 

  13.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14. Hong MY, Seeram NP, Zhang Y, Heber D. 2008. Anticancer effects of Chinese red yeast rice versus monacolin K alone on colon cancer cells. J Nutr Biochem 19: 448-458. 

  15. Manson MM, Gescher A, Hudson EA, Plummer SM, Squires MS, Prigent SA. 2000. Blocking and suppressing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by dietary constituents. Toxicology Lett 112: 499-505. 

  16. Lee DJ, Kim KH, Kang JH, Lee TS, Kim HW. 2006.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in grains of the Korean rice laneraces. J Korean Intl Agric 18: 264-269. 

  17. Kuno T, Hirose Y, Yamada Y, Hata K, Quiang SH, Asano N, Oyama T, Zhi H, Iwasake T, Kobayashi H, Mori H. 2006. Chemoprevention of mouse urinary bladder carcinogenesis by fermented brown rice and rice bran. Oncol Rep 15: 533-538. 

  18. Tian S, Nakamura K, Cui T, Kayahara H. 2005.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J Chromatogr A 1063: 121-128. 

  19. Kang BR, Park MJ, Lee HS.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20. Craig WJ. 1997. Phytochemicals: guardians of our health. J Am Diet Assoc 97: S119-S204. 

  21. Adom KK, Liu RH.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grains. J Agric Food Chem 50: 6182-6187. 

  22. Kang MY, Kim SI, Koh HJ, Chin JH, Nam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of germinated specialty rices. J Korean Food Sci Technol 36: 624-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