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중(中) 백작약(白芍藥)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劑)의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Applications of prescriptions including Paeoniae Radix as a main component in Dongeuibogam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8 no.2, 2010년, pp.53 - 76  

이치웅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국윤범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port describes 173 formulas related to which are mainly used Paeoniae Radix in Dongeuibog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induced through investigations on the formulas that are used Paeoniae Radix as a main component. 1. We found the formulas in Dongeuibogam that Paeoniae Radix is us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白芍藥은 配伍되는 약물에 따라 다양한 效能을 발휘하고 있는데, 著者는 『東醫寶鑑』 중에서 白芍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174處方에 대한 治療領域, 病症 및 主治, 使用量, 處方構成 等에 대한 文獻的인 調査를 하여 白芍藥의 方劑學的인 活用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報告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白芍藥에는 어떠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白芍藥에는 paeoniflorin이 함유되어 있고 精油, 脂肪油, 樹脂, tannin, 糖, 澱粉, 粘液質, 蛋白質이 들어 있고 그 외에 安息香酸이 0.92% 들어있다5).
주로 白芍藥은 어느 계절에 채취하여 말리는가? 白芍藥은 毛莨科(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재배종 함박꽃과 산작약의 類白色을 띤 根이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去皮한 후 煮하여 晒乾한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1-2).
白芍藥이란 무엇인가? 白芍藥은 毛莨科(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재배종 함박꽃과 산작약의 類白色을 띤 根이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去皮한 후 煮하여 晒乾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全國韓醫科大學本草學敎授共編著. 本草學. 서울:永林社. 1991:195-6, 581-3. 

  2. 辛民敎編著. 臨床本草學. 서울:永林社. 2000: 240-3. 

  3. 黃度淵原著. 新增方藥合編. 서울:永林社. 2003: 412-3. 

  4.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편. 한의학대사전. 서울: 정담. 1998:118, 519, 645, 692, 792-3, 889, 1338. 

  5. 鄭普變, 辛民敎編著. 鄕藥大事典. 서울:永林社. 2002:523-5. 

  6. 安德均著. 韓國本草圖鑑. 서울:敎學社 2003:665. 

  7. 許濟群, 王綿之主編. 方劑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5:14. 

  8. 李飛, 主編. 方劑學(上冊).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2:68. 

  9. 許浚. 對譯 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 150, 188, 214, 215, 217, 221, 230, 231, 262, 263, 265, 266, 279, 288, 331, 360, 361, 363, 365, 368, 369, 370, 372, 373, 433, 434, 436, 437, 440, 442, 448, 449, 450, 451, 455, 456, 458,463, 500, 528, 530, 533, 552, 578, 641, 663, 670, 703, 735, 755, 789, 809, 823, 837, 839, 844, 872, 874, 950, 961, 962, 967, 968, 976, 978, 986, 987, 989, 1003, 1016, 1017, 1019, 1050, 1052, 1059, 1066, 1077, 1078, 1082, 1111, 1117, 1138, 1154, 1172, 1176, 1177, 1188, 1191, 1218, 1232, 1233, 1237, 1266, 1281, 1332, 1335, 1352, 1367, 1375, 1385, 1415, 1418, 1423, 1426, 1442, 1455, 1527, 1599, 1600, 1603, 1606, 1612, 1617, 1619, 1620, 1621, 1623, 1625, 1636, 1640, 1644, 1645, 1685, 1728, 1746, 1759. 

  10. 尹用甲著.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醫聖堂. 2007:55-6, 214-5, 250-3, 782-3. 

  11. 韓醫科大學方劑學敎授共編著. 方劑學. 서울: 永林社. 1999:28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