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패모(川貝母)와 절패모(浙貝母)의 처방활용(處方活用)에 관한 고찰(考察) -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중심으로 -
Study on practical usage of Fritillaria Bulb and Fritillaria Thunbergii Bulb in formula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8 no.2, 2010년, pp.109 - 124  

김안나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장현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오용택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배순희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김상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김진현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김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송미영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usecase of formulas containing either Fritillaria Bulb (川貝母) or Fritillaria Thunbergii Bulb (浙貝母). These two medicinal materials are distinguish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and circulating the market separately. But only term "貝母" is traditionally written for desc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기존의 연구들이 川貝母와 浙貝母의 기원식물 고증과 본초간 效能 主治 비교연구 등 본초 연구에 집중되어 있거나 川貝母와 浙貝母의 구분 없이 貝母가 主藥으로 사용된 처방의 병증연구가 수행되었으나, 川貝母와 浙貝母의 처방 내 실제 활용에 관한 분석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東醫寶鑑》 및 《方藥合編》을 중심으로 貝母가 主藥으로 활용된 처방 54개에 대하여, 처방 主治 및 처방 내 配伍本草의 관계분석을 통해 貝母를 川貝母와 浙貝母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동의고전의 처방 내에서 貝母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기재되어있는 본초를 川貝母와 浙貝母로 구분하여 좀 더 정교한 본초의 사용을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본초의 性, 味, 歸經, 效能, 主治와 貝母가 사용된 처방의 效能 및 主治를 함께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川貝母와 浙貝母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貝母는 淸代에 들어와《本草綱目拾遺》에서 浙貝가 수록되면서3) 川貝母와 浙貝母로 산지 및 效能에 따라 구분되기 시작했다. 두 본초를 비교해 보면 歸經은 肺, 心經으로 동일하지만 川貝母의 경우 性이 微寒하고 味는 苦甘인데 반해 浙貝母는 性이 寒하고 甘味가 없이 苦하기만 하며, 效能 및 主治 면에서 川貝母는 淸熱潤肺, 化痰止 咳하여 陰虛나 肺燥咳嗽에 多用하고, 浙貝母는 淸 熱散結, 化痰止咳하여 風熱이나 痰火鬱結의 咳嗽에 응용하는 것이 좋다2). 대한약전4,5)에서는 川貝母(Fritillaria Bulb)는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 cirrhosa D.
대한약전에 따르면 川貝母는 무엇인가? 두 본초를 비교해 보면 歸經은 肺, 心經으로 동일하지만 川貝母의 경우 性이 微寒하고 味는 苦甘인데 반해 浙貝母는 性이 寒하고 甘味가 없이 苦하기만 하며, 效能 및 主治 면에서 川貝母는 淸熱潤肺, 化痰止 咳하여 陰虛나 肺燥咳嗽에 多用하고, 浙貝母는 淸 熱散結, 化痰止咳하여 風熱이나 痰火鬱結의 咳嗽에 응용하는 것이 좋다2). 대한약전4,5)에서는 川貝母(Fritillaria Bulb)는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 cirrhosa D. Don, 암자패모(暗紫貝母) Fritillaria unibracteata Hsiao et K. C. Hsia, 감숙패모(甘肅貝母) Fritillaria prezewalskii Maximowicz 또는 사사패모(梭砂貝母) Fritillaria delavayi Franchet의 비늘줄기이며 성상에 따라 松貝 및 靑貝라 한다고 하였고, 浙貝母(Fritillaria Thunbergii Bulb)는 절패모(浙貝母) Fritillaria thunbergii Miquel의 비늘줄기로 芯芽를 제거한 것을 大貝, 芯芽를 제거하지 않은 것을 珠貝라 부르며 芯芽를 제거하고 두텁게 쪼갠 것을 浙貝片이라고 부른다고 하여 기원식물에 따른 두 본초의 구분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시중의 약재유통 역시 貝母가 아닌 川貝母와 浙貝母로 명확히 구분되어 유통되고 있다.
《東醫寶鑑》ㆍ草部에 따르면 貝母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貝母(FRITILLARIAE BULBUS)는《神農本草 經》에 中品으로 수록되어졌을 정도로 한의학에서 오랜 세월동안 사용해 온 본초이다.《東醫寶鑑》ㆍ草部에는 貝母의 氣가 平 혹은 微寒하고, 味는 辛苦無毒하며, 消痰, 潤心肺등의 效能이 있어 肺痿咳嗽, 肺癰, 唾膿血, 除煩止渴, 療金瘡, 惡瘡을 치료한다고 되어 있으며,《東醫寶鑑》ㆍ痰飮門을 보면 貝母를 單方으로 수록하여 痰을 없애고 胸膈의 痰氣를 없애는데 가장 오묘한 약이라고 되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222, 2174. 

  2. 全國韓醫科大學共同敎材編纂委員會編著. 本草學. 서울:永林社. 2004:503. 

  3. 肖培根主編. 新編中藥志第一卷. 北京:化學工業出版社. 2002:851, 854, 111, 115. 

  4.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 제9개정. 서울:신일북스. 2009:978. 

  5.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 제9개정. 서울:신일북스. 2008:971. 

  6. Hyunchul Jang, Jinhyun Kim, Sang-Kyun Kim, Chul Kim, Soon-Hee Bae, Anna Kim, Dong- Myung Eum, Mi-Young Song. Ontology for Medicinal Material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ioinformatics. 2010:2359-60. 

  7. 程??, 川貝母, 浙貝母的鑑別與臨床應用. Heilongjia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6: 49. 

  8. 孫丹, 任廷久, 張敬杰, ???, 王文芝. 貝母的本 草考證. 中醫藥信息. 1998:31. 

  9. 임대환, 윤용갑. 東醫寶鑑中貝母가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活用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5;13(2):126-40. 

  10.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第八卷. 北京:上 海科學技術出版社. 1999:91-3, 94-100. 

  11.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정보부. DIGITAL 本草 集成. ISBN 89-5970-005-3. 2006. 

  12. 오용택 이병욱 김은하. 본초 효능 용어에 관한 연구.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0;23(5):35-50. 

  13. 全國韓醫科大學共同敎材編纂委員會編著. 本草學. 서울:永林社. 2004:575, 640, 649. 

  14. 동의학사전편찬위원회. 新東醫學辭典. 서울:여강출판사. 2005:113, 135. 

  15.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670 

  16. 全國韓醫科大學共同敎材編纂委員會編著. 本草學. 서울:永林社. 2004:518. 

  17. 全國韓醫科大學肺系內科學敎室編著. 東醫肺系內科學. 서울:도서출판 나도. 2007:18. 

  18. 동의학사전편찬위원회. 新東醫學辭典. 서울:여강출판사. 2005:919. 

  19. 黃度淵原著. 辛民敎, 永林社編輯部共編著. 新增方藥合編. 서울:영림사. 2003:150. 

  20. 동의학사전편찬위원회. 新東醫學辭典. 서울:여강출판사. 2005:1354. 

  21. 김동희, 김성우, 김성훈, 김정범, 맹웅재, 문준전, 박종오, 박종현, 신상우, 신영일, 안규석, 엄현섭, 이광규, 이선구, 임진석, 전영완, 지규옹, 최정우共著. 現代傷寒論. 서울:한의문화사. 2005: 242. 

  22.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23. 

  23. 全國韓醫科大學肺系內科學敎室編著. 東醫肺系內科學. 서울:도서출판 나도. 2007:578. 

  24.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433. 

  25. 동의학사전편찬위원회. 新東醫學辭典. 서울:여강출판사. 2005:768. 

  26. 全國韓醫科大學肺系內科學敎室編著. 東醫肺系內科學. 서울:도서출판 나도. 2007:164-5, 168. 

  27.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22. 

  28. 全國韓醫科大學肺系內科學敎室編著. 東醫肺系內科學. 서울:도서출판 나도. 2007:577. 

  29.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07. 

  30.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04. 

  31.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14-5. 

  32.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1311. 

  33. 許浚.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458. 

  34. 朱榮丞編著. 耘谷本草學. 서울:書林薺. 2004:181, 183. 

  35. 趙學梅. 本草綱目拾遺. 商務印書館香港分館. 1986: 139. 

  36. 馬子密, 傳延齡主編. 歷代本初藥性?解.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2:304, 305, 3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