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려운 기관 내 삽관이 예상되는 환자의 기도관리 -증례 보고-
Airway Management in the Patients of Expected Difficult Intubation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v.10 no.2, 2010년, pp.190 - 196  

오세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진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icult airway management including difficult intubation, difficult ventilation and difficult mask ventilation is a life threatening issue during anesthesia care. A 23-year-old woman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was scheduled for distraction osteogenesis. She had hypoplasia of mandible and ma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원광대학교 대전 치과병원에서는 기관 내 삽관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들에서 굴곡성 기관지경 유도 하에 기관 내 삽관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을 위한 전신마취가 예정된 환자에게 필수적인 것은? 수술을 위한 전신마취가 예정된 환자에서 기관 내 삽관은 필수적이며, 기관 내 삽관의 실패는 마취와 관련된 위중한 합병증 및 사망 사례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Benumof, 1991). 어려운 기관 내 삽관에 관해서는 18세기에 영국의 Charles Kite가 처음 기술하였고 그 이후로 삽관의 방법이나 기구 등은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Brandt, 1987).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 내 삽관은 어떤 방법인가?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 내 삽관은 1967년 Murphy에 의해 소개된 이후 어려운 기관 내 삽관 시 직접 후두경의 대안으로 제시된 방안 중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고(Murphy, 1967), 기관 내 삽관뿐만 아니라 중환자, 경추부 손상 환자의 기도관리 등 다양한 기도 관리에 이용되고 있다(Fan et al, 1988; Fuchs et al, 1999; Ezri et al, 2003).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각성 하 기관 내 삽관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은? 최근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각성 하 기관 내 삽관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시술 시 동통, 기침, 구역질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시행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술 전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이해, 국소마취제의 인후두 도포마취, 상후두신경 차단, 경기관 차단, 진정제, 마약 등의 사용을 통한 약물학적 처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Reed, 1992). 그러나 실제로 10% lidocaine 분사나 4% lidocaine gargling은 구강 내와 인두부를 표피마취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후두부와 기관 내를 표피마취하기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numof JL: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dult airway. Anesthesiology 1991; 75: 1087-110. 

  2. Brandt L: The first reported oral intubation of the human trachea. Anesth Analg 1987; 66: 1197-8. 

  3. Braz LG, Braz DG, Cruz DS, Fernandes LA, Modolo NS, Braz JR: Mortality in anesthesia: a systematic review. Clinics (Sao Paulo) 2009; 64: 999-1006. 

  4. El-Ganzouri AR, McCarthy RJ, Tuman KJ, Tanck EN, Ivankovich AD: Preoperative airway assessment: predictive value of a multivariate risk index. Anesth Analg 1996; 82: 1197-204. 

  5. Ezri T, Szmuk P, Warters RD, Katz J, Hagberg CA: Difficult airway management practice patterns among anesthesiologists practicing in the United States: have we made any progress? J Clin Anesth 2003; 15: 418-22. 

  6. Fan LL, Sparks LM, Fix FJ: Flexible fiberoptic endoscopy for airway problem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hest 1988; 93: 556-60. 

  7. Fuchs G, Schwarz G, Baumgartner A, Kaltenbock F, Voit-Augustin H, Planinz W: Fiberoptic intubation in 327 neurosurgical patients with lesions of the cervical spine. J Neurosurg Anesthesiol 1999; 11: 11-6. 

  8. Hartley M, Morris S, Vaughan RS: Teaching fiberoptic intubation. Effect of alfentanil on the haemodynamic response. Anaesthesia 1994; 49: 335-7. 

  9. Jacobsen J, Jensen E, Waldau T, Poulsen TD: Preoperative evaluation of intubation conditions in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Acta Anaesthesiol Scand 1996; 40: 421-4. 

  10. Janssens M, Hartstein G: Management of difficult intubation. Eur J Anaesthesiol 2001; 18: 3-12. 

  11. Khan ZH, Kashfi A, Ebrahimkhani E: A comparison of the upper lip bite test (a simple new technique) with modified Mallampati classification in predicting difficulty in endotracheal intubation: A prospective blinded study. Anesth Analg 2003; 96: 595-9. 

  12. Mallampati SR: Clinical signs to predict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prospective study. Can Anaesth Soc J 1983; 30: 316-7. 

  13. Murphy D: A fiberoptic endoscopy used for nasotracheal intubation. Anaesthesia 1967; 22: 489-91. 

  14. Paix AD, Williamson JA, Runciman WB: Crisis management during anaesthesia: difficult intubation. Qual Saf Health Care 2005; 14: e5. 

  15. Pearce A: Evaluation of the airway and preparation for difficulty. Best Pract Res Clin Anaesthesiol 2005; 19: 559-79. 

  16.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irway: an updated report by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Task Force on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irway. Anesthesiology 2003; 98: 1269-77. 

  17. Reed AP: Preparation of the patient for awake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Chest 1992; 101: 244-53. 

  18. Samsoon GL, Young JR: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retrospective study. Anaesthesia 1987; 42: 487-90. 

  19. Shiga T, Wajima Z, Inoue T, Sakamoto A: Predicting difficult intubation in apparently normal patients: a meta-analysis of bedside screening test performance. Anesthesiology 2005; 103: 429-37. 

  20. Wilson ME, Spiegelhalter D, Robertson JA, Lesser P: Predicting difficult intubation. Br J Anaesth 1988; 61: 2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